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 한국어 수 범주 연구 : Number Category in Korean Language: Distributive, Collective and Group Reading of Individuals and Events
개체와 사건의 배분성, 집합성, 집단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상희

Advisor
전영철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단수복수집합집단복수성배분성집합성집단성개별성결속성복수 개체복수 사건numbersingularpluralpluralitydistributivitycollectivitygroupdistiributive readingcollective readinggroup readingplural individualsplural events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1.8. 전영철.
Abstract
본고는 현대 한국어에 나타나는 수(number) 범주의 체계와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 의미가 언어 형식의 실현에 관여하는 현상은 언어 전반에 걸쳐 관찰된다. 이에 본고는 의미 범주의 하나로서 수 범주를 설정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표현론적(onomasiological) 접근 방식으로 수 실현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수 범주 체계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본 논의는 수 관련 선행 연구에 대한 두 가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하나는 그간의 한국어 수 논의가 몇 가지 형식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그러나 수로써 설명 가능한 현상이 생각보다 광범위하므로, 본고는 논의 대상을 명사류의 개체 의미와 동사류의 사건 의미로 확장하여 현상을 폭넓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다른 하나는 수 논의에 관여하는 의미 속성이 단편적으로 이해되어 왔다는 점이다. 그동안 수 논의는 단・복수 및 배분성・집단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다양한 수 관련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화된 체계로서의 수 범주가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의 2장에서는 배분성과 집단성을 대별적 속성으로 파악하던 기존 관점의 한계를 지적하고, 배분성과 집단성의 중간적 속성으로 집합성이 설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배분성・집합성・집단성이 분절적으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의미 속성과 [±개별성, 결속성]의 두 가지 의미 자질을 공유하며 연속적으로 실현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3장, 4장, 5장에서는 각각 배분성, 집합성, 집단성에 대해 다루었다. 각 장의 1절에서는 개체의 속성을, 2절에서는 사건의 속성을 살폈다.
배분성은 복수 개체들의 개별성이 부각되는 수 의미 속성으로 [+개별성, -결속성]으로 정의되며 의미, 형태, 어휘, 통사적 전략을 통해 표현된다. 3.1.에서는 개체의 배분성을 배분 표지, 양화사, 중첩어, 나열 및 접속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개체 배분성을 나타내는 배분 표지로는 들, 씩이 있다. 배분적 양화사로는 기수적으로 해석되는 양화 표현이 해당되고, 배분적으로 해석되는 중첩어는 어기 전체가 반복되는 완전 중첩어로 한정된다. 3.2.에서는 배분 표지, 동사, 부사 등을 중심으로 사건의 배분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들, 씩은 개체 배분과 함께 사건 배분도 표현한다. 동사와 부사 중에서는 어휘 차원에서 사건 배분 의미를 띠는 것들과, 중첩에 의해 사건 배분 의미를 띠는 형식들이 발견된다. 일부 보조 용언을 통해서도 배분적 사건이 표현된다.
집합성은 복수 개체나 사건들의 개별성에 더하여 그것들이 모여 이룬 단위의 결속성도 함께 표현되는 수 의미 속성으로, [+개별성, +결속성]과 같이 정의된다. 집합성도 다양한 언어 범주를 통해 실현된다. 4.1.에서는 개체의 집합성을 다루었다. 개체 집합성은 집합명사, 의존명사, 친족 어휘, 조사 및 접사, 분류사 등에서 관찰되는데 이중 인칭 대명사와 일부 의존명사들에는 수 의미의 연속적 특징이 표본적으로 드러나 있다. 4.2.에서는 집합적 사건을 다루었다. 집합적 사건은 동사, 부사, 중첩어 등의 어휘를 통해 표현되기도 하고 접사, 보조사 등의 문법 형태소에 의해 표현되기도 한다. 통사적으로 집합적 사건을 나타내는 요소로는 연결 어미나 보조 용언이 있다. 집합적 사건은 전환, 반복적 이행, 총망라적 사건, 중첩 나열, 척도 형성 등의 양상을 띠고 나타난다. 이처럼 집합적 사건은 다양한 유형으로 실현되지만 그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공통점이 발견된다. 그것은 개개의 구성사건이 전체 사건의 일부로 기능하며 다른 구성사건들과의 관계 속에서만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체 사건이 구성사건들에 의해 의미 해석을 받는다는 공통점도 발견된다.
집단성은 구성원의 개별성은 사라지고 결속성만 부각되는 의미 속성의 하나로 [-개별성, +결속성]과 같이 정의된다. 5.1.에서는 개체의 집단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개체 집단성을 표현하는 형식은 집단명사, 인칭 대명사, 접사, 의존명사, 양화사, 지시사, 보조사, 분류사 등에서 발견된다. 이중 집단명사, 인칭 대명사, 접사, 의존명사에서는 구성원 정보가 극도로 약화될 때 단수 개체만으로 집단이 구성되는 현상이 공통적으로 관찰된다. 또한 기존에 전칭 양화사로 분류되던 것들은 집합적 전칭 양화사와 집단적 전칭 양화사로 세분될 수 있다. 5.2.에서는 동사, 부사, 보조 용언 연결 어미를 통해 표현되는 집단적 사건에 대해 알아보았다. 집단적 해석을 담보하는 술어 유형으로 개체 층위 술어가 있으며, 전칭 양화 부사에 의해 총칭성이 확보되면 집단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ructure of number category system in Korean language. Furthermore, describing number phenomena of individuals and events, I claim that the number category is one of a valid semantic categories in Korean language.
In order to provide an account of the various semantic number phenomena that occur at all layers of linguistics, I argue that a strict distinction should be made between collective and group reading. It is also proposed to introduce collectivity as a crucial property into the number category. Therefore, there are three types of semantic number properties in Korean, namely, distributive, collective and group reading.
Mainly two semantic features, [±individuated] and [±bounded], are used to distinguish three types of number properties. Specifically, distributive reading is defined as [+individuated, -bounded], group reading is defined as [-individuated, +bounded]. Collective reading is an intermediate property between distributive and group reading, so it is defined as both [+individuated, +bounded].Consequently, the three number properties share semantic features with adjacent properties, establishing a continuum.
Chapter 3 is mainly about the distributive nature of individuals and events. Throughout the chapter, it is observed that the same form such as teul expresses the distributivity of individuals and events in the same way. In particular, the problematic usages of teul are analyzed with syntactic prominency and individuality based on animacy.
Chapter 4 deals with collectivity. Especially duals which represent a special kind of collective reading are analyzed. Besides, the number meanings of personal pronouns are discussed. The degree of productivity and irregularity of personal pronouns is explained based on number hierarchy. I also present that collective events in Korean language are subdivided into exhaustive type, alternative type and scale type.
Chapter 5 describes group reading of individuals and events. It is argued that generic NPs and generic sentences are kinds of group expressions. In addition, it is demonstrated that plural forms including associative plurals frequently yield group reading by singular individual. I also claim that universal quantifiers are divided into collective universal quantifiers and group universal quantifiers.
My analysis, based on the view that number properties form a continuum, has the advantage of explaining usages in which exclusive properties are realized together, and providing a unified analysis that is applied to both events and individual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3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93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