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형 농부시장 마르쉐@의 존재의 지도 : An Onto-cartography of Marché @ Urban Farmer's Market: Thinking Alternative Food Networks within the Affective Perspective
정동적 관점으로 대안먹거리네트워크 사유하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하니

Advisor
정현주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농부시장(farmer's market)정동존재의 지도(onto-cartography)먹거리 실천대안먹거리네트워크(alternative food networks)farmer's marketaffectonto-cartographyfood practicesalternative food networks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ase of urban farmer's market, Marché (마르쉐), in Seoul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Marché farmer's market emerged as a part of social movement to consolidate peoples everyday food practices of growing trustworthy greens admist the food crisis in the early 2010s. After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in Japan, three women activists started sharing their clear common needs for trustworthy food for their friends and family members. While their collective action started from a small-scale attempt to find their autonomous spaces for urban farming and sharing greens, it has now become a full-fledged success case which connects more than ten thousand visitors to hundred small/peasant farmers who owns less than 1 ha of lands. In short, Marché farmers market is becoming a successful case of alternative food networks that facilitate face-to-face interactions among farmers and citizen-consumers who aspire for safe and trustworthy food practices.

This paper is a single case study, which attempts to capture the unique alternative nature of the case. The research applies theoretical insights of the affect theory—Ravi R. Bryants conceptual framework of onto-cartography especially—as an attempt to explore the participants diverse set of everyday food practi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affect in the farmers market: emotions, vitality, feeling, and its intensity (Massumi, 2002: 84). Specifically, the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hrough the analytic lens of affect theory:

1) What is the prevalent affect that is shared within the urban farmers market Marché?
2) What are the patterns of everyday food practices within Marché?
3) How was Marché able to serve as a sustainable case of alternative food network?
And which particular sort of affect within the case were crucial to its viability?

First, Chapter 3 sheds light on various convivial aspects of the Marché farmers market, which served as one of critical factors for its successful establishment. The conviviality here does not simply refer to the size and density of crowds or the boisterous sounds. The conviviality is based on specific food practices that bring about alternative ways of producing or consuming food in everyday life for the urbanites. For example, designing a market as a space that enables an active and passionate conversations about food, promising not to use disposable products, placing dishwashers within the market, and displaying native crops all reflect the convivial nature of this farmers market.

Second, Chapter 4 zoomed into the cooperative relationships among various actors that facilitated the collective planning and expanding of the market. When searching for alternative paths, they did not fix their relationships with a priori norms. Instead, they actively and collectively discussed and coordinated their actions. In this process, they found a collective need for institutionalization and shared this vision amo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entrepreneurs, and citizens. However,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generated an unintended consequence of limiting the convivial food practices within the farmer's market. In response to this side effect, the activists have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predominant institutions; while seeking incorporation of the organization to gain legitimacy, it also did not give up on its core practices that sustained the markets conviviality, such as small and intimate conversations about food, small spaces that enable in-person meetings, and small scale of the markets.
본 연구는 서울시 곳곳에서 9년 간 지속되어온 마르쉐 농부시장을 사례로 도시형 농부시장(farmer's market)의 발생과정을 정동 이론(affect theory)을 통해 분석하고, 먹거리 네트워크(food networks)로서 대안성을 탐색한다. 마르쉐 농부시장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사회·문화적으로 도시형 농부시장을 정착시킨 사례로, 서울시 성동구 동숭동 마로니에 공원에서 2012년 10월 처음 열린 이후로 9년간 많게는 회당 1만명 이상의 방문객을 모으며 고정된 장소 없이 약 200여 회 이상 성공적으로 개최되어왔다. 사례의 농부시장이 생기기 이전까지 한국의 농부시장은 농민시장, 농산물 직거래장터 등으로 불리며 농민들에게는 농작물을 소규모로 판매 할 수 있는 하나의 판로로써 시민사회와, 국가 및 지방정부들로부터 소급적으로 주목받고 기획되어왔다. 그러나 한국의 농부시장은 그동안 소비자들과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르쉐 농부시장은 당시 점차 심각해지는 먹거리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들의 자발적인 실천을 결집하며 자생적으로 생겨났다. 뿐만 아니라 사례 농부시장은 현재까지 9년간 서울시민들과 지역의 농부들을 성공적으로 연결하였다. 이처럼 마르쉐 농부시장은 국내 도시형 농부시장의 시초이자 대안먹거리네트워크(alternative food networks)를 선도하는 일례이다. 이러한 면에서 본 사례는 도시계획 분야의 연구의 필요성과 가치가 분명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도시계획 분야에서 농부시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게 이루어져왔다. 특히 국내의 농부시장에 대한 도시계획적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국내에서의 도시형 농부시장의 발생과 증가가 2012년 이후로 비교적 최근이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농부시장의 복합적인 성격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개입이 도시계획 분야에서의 접근을 까다롭게 만들고 있는 까닭일 것으로 짐작된다.
요컨대 도시형 농부시장 마르쉐는 이름없는 대안 먹거리 계획가들(4장 4절)의 일상의 먹거리 실천들에서부터 시작된 자생적 구성체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것은 자와 각도기로 측량 될 수 있는 성격의 공간이 아니다. 이러한 주장은 농부시장을 주제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 기존의 여러 지리학적, 도시계획학적 연구들의 계보 위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 나아가 도시와 자연을 동시적으로 사유하는 공간 및 도시연구들은 그 동안 도시를 토지의 구획과 인구구성, 제도와 담론 만으로 구성된 것이 아님을 보이는 다양한 방법론들을 탐색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방법론의 일환으로 도시와 농촌을 상생의 관점에서 연결하는 대안먹거리네트워크로서 농부시장을 정동이론을 통해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정동적 관점을 통해 공간을 연결의 장치로 이해할 때 우리는 대안먹거리네트워크로서 농부시장의 본질에 더욱 가까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농부시장은 먹거리의 생산과 소비를 마주치게 하고, 이러한 사건적 순간은 정동, 잠재력, 실천적 힘들을 만들어낸다. 즉, 농부시장에서의 강렬한 마주침의 경험들은 점차 먹거리 실천의 윤리를 구성한다. 본 연구의 사례인 마르쉐 농부시장의 경우 논과 밭과 식탁에서의 경험을 상호간 풍부하게 공유하게 하는 다양한 전술들로 강렬한 마주침의 순간을 야기하고, 이는 지난 9년 간 점진적인 대안성을 (재)구축하게 하는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이처럼 먹거리 네트워크의 대안성은 선험적인 규범이 아니며, 경험적으로 (재)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정동적이고 강렬한 경험들을 통해 구성되는 것 이므로 이는 본질적으로 선험적일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대안먹거리네트워크의 대안성은 네트워크의 거리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상대적인 것을 이해할 때 구체화된다. 네트워크의 거리가 상대적임을 이해하는 것은 네트워크를 감각하는 몸들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먹거리 생산과 소비의 경험은 몸들의 일상에 따라 일 년 안에 같은 장소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기도 하고, 지구 반 바퀴를 한 달의 시간을 건너야 가능한 것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의 성격은 농부시장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실천들을 통해 감각된다. 농작물을 새벽에 수확해 실어 나르고, 그것을 매개로 대화하고, 요리하며, 먹는 일련의 실천들은 시장 밖의 일상생활과 부딪히며 강렬함을 선사하고 추상화 되어있던 먹거리 네트워크와 그 대안성에 관한 감각을 자아낸다. 이를 통해 농부시장이라는 3차원 공간은 다양한 대안적 먹거리 실천에 관한 감각들을 연결하는 4차원의 먹거리 네트워크가 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마르쉐 농부시장이라는 특정한 도시의 공간과 문화의 주조에 개입한 행위자들의 관계와 행위성들의 변이, 변용 그리고 이행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특히 마르쉐 농부시장이 먹거리 네트워크로서 대안성을 갖게 되는 과정과 그 정동적 특이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마르쉐 농부시장에 대한 언표들이 어떠한 협의과정을 거치며 정식화 되어 왔는지를 탐색하고, 또한 이의 해체와 재구성 과정을 탐색하였다. 또한 이러한 작업에 선행하여 마르쉐 농부시장의 정동을 구성하는 물질들을 래비 R. 브라이언트의 지도화 개념을 통해 구체화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4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5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