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세대 효과에 관한 연구 : Effect of Generation on Digital Literacy :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Age and Generation
연령과 세대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함동수

Advisor
김동욱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지털 리터러시세대연구고령화미디어패널
Abstract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4대 정보취약계층(장애인, 장노년층, 농어민, 저소득층)을 대상으로한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분류되는 장노년층(50대 이상)의 디지털 역량은 국민 평균의 81.6% 수준이나 60대는 52.7%, 70대 이상은 27.5%로 급격히 낮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연령이 높은 세대일수록 정보취약계층이 되어가고 있으며 이는 심각한 사회현상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세대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각 세대별로 겪은 디지털 경험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산업화세대, 베이비부머세대, 386세대, X세대, 밀레니얼세대, Z세대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정보화역량과 인터넷 활용도 두 가지 측면으로 측정하였다. 활용한 데이터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개년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원자료(raw data)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연령과 세대는 밀접한 관계에 있기에 연령이 세대에 갖는 조절효과 또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령과 세대의 상호작용항을 독립변수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어떠한 변화를 갖는지 실증하였다.
분석 결과, 통계적 결과는 정보화역량을 종속변수로 둔 모형에서는 모든 세대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활용도를 종속변수로 둔 모형에서는 베이비부머세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세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나타냈다. 따라서, 세대별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보화 역량의 경우 신세대가 구세대보다 정보화역량이 높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인터넷 활용도 측면에서는 조금 다른 경향을 보였다.
상호작용항을 활용한 모형의 경우 각 세대별로 기울기를 비교하여 보면 평행하게 나아가는 변수들이 없기에 세대와 연령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산업화세대 기준으로 베이비부머, 386, X세대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정보화역량이 동일한 음(-)의 계수로 기울기를 강화하였다. 밀레니얼과 Z세대에 들어서는 기울기를 되려 완화하며 정보화역량이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현상을 억제하였고 Z세대는 나아가 양(+)의 계수를 보여 기울기를 역전시켰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산업화세대는 세대 내에서 나이가 많던 적던 디지털 리터러시간의 격차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베이비부머, 386, X세대의 경우 조금이라도 어릴수록 디지털에 적응할 수 있었던 기회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밀레니얼과 Z세대의 경우 이미 디지털 세대로 그 격차가 미비하며 Z세대의 특이한 경우는 아직 학생인 응답자가 많아 디지털 경험을 할 시간이 없다는 점과 측정 문항이 Z세대가 즐겨 쓰는 디지털 채널을 포함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각 세대별로 타겟팅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연령이 주요한 세대의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특정하여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을 짜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자면, 디지털 리터러시를 측정하는 항목이 이미 시중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클라우드, AI, 메타버스 등 신기술들에 대한 활용도를 측정하지 못하였다는 점, 설문조사의 한계에 따른 사회적 소망성 편향, 동일방법편의 등의 한계를 보완하지 못하였다 점, 세대를 분류함에 있어서 다양한 기준들을 모두 적용시켜보지 못하였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According to 2018 Digital Divide Survey conducted by Korean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NIA, of the four ICT vulnerable classes(disabled, elderly, farmers and fishermen), those above 50s were classified as the weakest. Based on such sense of the problem, this study seeks to fi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generational effect on digital literacy. Generations of Korean demography are split into six groups in this study: industrial, Baby-boomer, 386, X, Millennial and Z. The groups were utiliz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Digital Literacy as a dependent variable. Digital Literacy was measured in two sections: digital capability and internet utilization. The source of the raw data is from 2017~2020 Korean Media Panel Data by KISDI. OLS Regression method was used to find the generations effect on digital literacy. Also, since age and generation are closely connected the study adopted interaction terms of the two(age*generation) to find out how age has it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and digital literacy.

The statistical result showed that all generat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literacy. In the case of model using interaction terms, no generations moved in parallel. Thus, ages have moderating affect on generation-digital literacy relationship. Based on the industrialized generations slope, Baby-boomers, 386 and X generations slopes strengthened downward all with negative(-) coefficients. However, Z generation suppressed the phenomenon with a positive(+) coefficient, reversing the slope upward.

Through such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 study notes that targeting strategies are needed for each generations to bridge the digital gap.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digital literacy measurements were insufficient to embrace the utilization of new technologies like Cloud, AI, Metaverse services. Also, the limitations of surveys like social-wish-bias have not been supplemented. Finally, the study could only include few criteria when classifying generatio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5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3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