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목판화의 새김 기법을 통한 기억과 망각의 풍경 표현 : An Expression of the landscape of Memory and Forgetting through the Engraving Technique of Woodcut Paintings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성소민

Advisor
신하순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목판새김남김기억망각우연성Woodblocksengravingsremembranceoblivioncoincidences
Abstract
Based on the overall style of woodblock landscape painting, this paper was written around the graduate cour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2019 to 2020, and was designed to check the purpose of the work and systematically organize the direction of the work. In a different way from traditional woodblock prints, the woodblock itself is a form of artwork, revealing the theme of memory and forgetting. While also us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hapes and blanks. Although there are material differences from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s that mainly use ink and paper, explaining the "engraving" that corresponds to strokes, and captures the mental characteristics of oriental paintings through the aforementioned blanks. My works can be told that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are modernized, and they ar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with the discussion of You-wei(有爲) and Wu-wei(無爲), and experiential and private materials. Therefore,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mmarize the above contents with my works and set the future direction of them.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text of past artists using woodblocks, works of modern artists, and my works. Also studying about the Lao-Zi(老子) and Zhang-Zi(莊子)s theoretical background of Xu(虛) and Shi(實) through the elements of works called engraving and leaving. In addition,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n-wei(人爲) and Wu-wei(無爲) that the Lao-Zi and Zhang-Zi's spoke of, and summarized the interfering effects between nature and humans. Ⅰ.The header section describes the overall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paper, describing the basic definition and common theme of my work, Ⅱ.The woodblocks' motives and significance are introduced to the woodblocks' techniques, and the woodblocks' motives are described. Ⅲ.In the field of transformation of scenery and tradition through memory and forgetting, I wanted to explore works that dealt with the individual's feelings, and discuss the ways in which this theme was revealed and modern transformation of arithmetic paintings. Also pointe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ness, meaning Wu-wei and Ren-wei, as a variation of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and explained how the relationship was revealed in his works, and the difference in views between Oriental landscape paintings and Western landscape paintings. Ⅳ.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expression and the production process examine the main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he work, talk ab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trokes drawn on paper, and why woodblocks were used instead of paper. And through the discussions between Xu and Shi confirm how the Lao-Zi and Zhang-Zi's arguments were appli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The on-screen expression that contrasts with coincidence and intention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Wu-wei and Ren-wei. Lastly, Ⅴ.Closing part, I will study the final arrangement of the work, the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work is carried out, what the completed work means to me, and study the overall formability of the work and check the direction of future work.
본 논문은 목판 풍경화에 대한 전반적인 양식을 바탕으로 하여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정에서의 작업을 중심으로 쓰인 논문으로 나의 작품 제작 동기와 조형 의식, 표현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작업의 목적을 점검하고 작품의 방향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여 진행된 작품 연구 논문이다. 기존의 목판화와는 다른 방식의, 목판 자체를 작품화하는 형식으로서 종이에 찍어내는 단계 이전에 각이 새겨진 형상으로 기억과 망각이라는 주제를 드러내는 한편 형체와 여백의 조형적 특성 또한 이용하고자 하였다. 먹과 종이를 주로 사용하는 기존의 동양화와는 재료적 차이가 있으나 획에 대응하는 새김을 설명하고, 앞서 언급한 여백을 통해 동양화가 가진 정신적 특성을 담아내었다. 형상적으로는 전통산수화를 현대적으로 변용하였다고 할 수 있겠으며 유위(有爲)와 무위(無爲)의 논의, 경험적이고 사유적인 소재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상기의 내용을 나의 작품과 더불어 정리해보고 차후의 작업 방향을 설정해보고자 한다.
나는 이 논문에서 목판을 이용한 과거 작가들의 작품과 현대 작가들의 작품, 나의 작품까지 변화해온 맥락을 살피고 여백과 형체에 대한 화론적 배경을 노장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새김과 남김이라는 작품의 요소를 통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더불어 노장에서 말하는 인위와 무위에 대한 관계를 살피고, 자연과 인간 사이의 상호간섭적 영향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Ⅰ.머리말 부분에서는 논문의 개괄적인 전개 방향을 설명하며 나의 작품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와 공통 주제를, Ⅱ.목판 작품의 제작 동기 부분에서는 목판화의 기법을 소개하며 목판 새김 작품의 제작 동기에 대해 밝힌다. Ⅲ.기억과 망각을 통한 풍경과 전통의 변용 장에서는 우리나라 현대 목판화까지 이르러 민중 의식의 표현에서 벗어나 작가 개인의 심상을 다룬 작품들을 살펴보고, 이와 상통하여 기억과 망각이라는 개인적인 주제를 택한 이유에 대해 다루며 본 주제가 작품에서 드러나는 방식과 산수화의 현대적 변용의 측면에서 본 작품을 논하고자 하였다. 또 전통 산수화의 변용으로서 자연스러움, 즉 무위(無爲)와 인위(人爲)의 관계에 대해 짚어보고 그 관계가 어떻게 작품에서 드러나는지와, 동양 산수화와 서양 풍경화의 시각 차이를 설명하였다. Ⅳ. 조형 표현의 특성과 제작 과정 부분에서는 작품 제작 과정과 주된 재료, 기법들을 살피며 종이에 붓으로 그은 획과 목판에 조각도로 파낸 파임의 형상과의 유사성과 차이점, 왜 종이가 아닌 목판을 이용하였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며 허(虛)와 실(實)의 논의를 통해 앞선 문단에서 살핀 노장의 화론이 적용된 방식을 확인한다. 우연과 의도로 대비되면서 어우러지는 화면상의 표현 방식은, 마찬가지로 상반되지만 서로에게 간섭하는 무위와 인위의 실례라고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Ⅴ. 맺음말 부분에서는 작업의 최종 정리와 본 작업을 진행하는 일련의 과정, 그리고 완성된 작품이 나에게 어떤 의미로서 다가오는지, 또 작품의 전반적인 조형성을 연구하고 향후 작업에 대한 방향을 점검해 보기로 하겠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0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6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