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발달장애아동 대상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 지도자의 경험과 인식 : A Study on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Real-time Distance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병무

Advisor
이용호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 비대면 체육 프로그램발달장애특수체육 지도자프로그램 인식real-time distance physical activity programsdistance physical activity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perceptions of progra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real-time distance physical activity(PA) programs by exploring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APA) instructo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To achieve the purpos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are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organized and implemented for children with DD? (2) What is APA instructo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real-time distance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children with DD? (3) What improvement are needed for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for children with D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qualitative approach based on a constructive paradigm.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20 to June 2021, and the procedure of the study was largely carried out in three phases: plann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results. Eight APA instructors who conducted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for children with DD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snowballing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documentations, videos.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procedures for transcripts,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presented by Wolcott(1994) and the case integration analysis presented by Yin(2003). In addition, to ensure the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used methods of triangulation, review by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sultation among colleagues. In compliance with research ethics regulations, the researcher were careful not to cause any disadvantages or ethical problems for research participa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conducted by APA instructors was analyzed in three aspects: the objectives and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ogram. There were two findings of objectives and goals. (1) The objectives of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differ greatly from face-to-face PA program (2) Although similar objectives were set, they did not set specific goals or have been lowere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influenced by instructors and the classroom environment including equipment owned by children. So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various forms, ranging from full body exercises and activities using small tools to combination of various activities. The methods of the program were influenced by the belief as a APA instructors, the purpose of the program, and the situation of the institution to which instructors belong and conducted in the form of parental participation, 1:1 classes, small group classes, and large group classes. The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in this study were conducted in many different forms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s of APA instructor and children with DD.
Second, APA instructors' perception of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for children with DD was categorized into program needs, meanings, educational availability, and improvements. APA instructors were recognized the need for alternative PA progra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children with DD and social situations where face-to-face programs are impossible due to COVID-19. In addition, based on the need for individualization education suitable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due to various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PA instructors recognized the need for distance program that enable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real-time. The meanings of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was that it was able to prevent de-socialization by acquiring behavior skills that could adapt to the untact culture for children with DD. And they recognized its meaning in that it was an opportunity to foster expertise and grow into more mature instructors.
APA instructo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availability of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have been distinguishabl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Most APA instructors had doubts about whether they could proceed with child with DD before conducting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However, Seol Jiho recognized that the program was feasible based on his belief in the role of the instructor and experience conducting distance program. After the program, APA instructors were divided on whether to use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in the future. Some instructors expressed a positive stance on educational availability of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in the future. They said that although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is less effective than face-to-face program, there is somewhat effectiveness and it can also be suitable depending on children's characteristics. Whereas, the other instructors who focused on communication with children, the efficiency of program, and diversification of activity recognized that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on educational use of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To expand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in the future, instructors argue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needed to be improved, including support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sports equipment. They also emphasized the need for support for assistants who could assist with activities based on the fact that children with DD needed help to participate in program. In addition, instructors said that training and structured guidelines were needed to expand the program and improve the quality of program.
Finally, in conclusion to the findings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implementing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and follow-up research. For implementing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first, in order for a quality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to take place, changes in instructors' perceptions and efforts are needed. Second, active cooperation of institutions and families is needed in conducting real-time distance PA program. Third, in order for quality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to be expand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elines for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s well as dissemination of structured guidelines and training for instructors. For follow-up research, first,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contribution factors and management plans of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Second, action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assistants's perceptions of real-time distance PA programs.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지도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의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아동 대상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고 실행되고 있는가? 둘째, 발달장애 아동 대상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에 관한 지도자의 경험과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지도자가 인식하는 발달장애 아동 대상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의 지원방안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기반을 두고 질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례 연구의 방법으로 2020년 8월부터 2021년 6월 동안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절차는 크게 계획 단계, 자료 수집 및 분석 단계, 결과 단계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과 눈덩이 표집법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을 진행한 8명의 특수체육 지도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 문서자료, 영상자료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의 경우 Wolcott(1994)이 제시한 기술, 분석, 해석의 절차와 Yin(2003)이 제시한 사례통합 분석 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각도 분석, 연구 참여자의 검토, 동료 간 협의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윤리 규정을 준수하여 연구 참여자에게 어떠한 불이익이나 윤리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체육 지도자들이 진행한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내용, 방식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크게 기존의 면대면 프로그램과 달라지거나 기존과 유사한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구체적인 목표를 정하지 않거나 목표가 낮아지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장애 아동들의 소유하고 있는 기자재를 비롯한 수업 환경과 지도자에 영향을 받아 맨몸운동, 소도구를 활용한 활동부터 여러 활동들이 복합적으로 포함된 프로그램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방식은 특수체육 지도자들이 속한 기관의 상황과 프로그램의 취지, 지도자로서의 신념에 따라 1:1 수업, 소그룹 수업, 대그룹 수업과 더불어 부모 참여 방식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은 특수체육 지도자와 장애 아동의 여러 상황과 맥락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에 관한 특수체육 지도자들의 인식은 프로그램의 필요성, 의미, 교육적 활용 가능성, 지원방안으로 범주화되었다. 특수체육 지도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해 기존의 면대면 프로그램이 불가능한 사회적 상황과 발달장애 아동들의 특성과 요구를 바탕으로 대안적인 수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더불어 장애 아동들의 다양한 특성과 요구로 인해 지도 방법과 수업 내용을 변형하여 개별 특성에 맞는 개별화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토대로 실시간으로 쌍방향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원격 수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특수체육 지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의 의미는 장애 아동들에게 있어서 언택트(untact)문화에 적응할 수 있는 적응행동기술을 습득하여 탈사회화를 방지할 수 있었다는 점과 지도자에게 있어서 전문성을 함양하고 한층 성숙한 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았다.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관한 특수체육 지도자들의 인식은 프로그램 진행 전과 후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특수체육 지도자들은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이전에 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설지호 지도자는 원격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으며, 지도자의 역할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바탕으로 해당 프로그램이 실현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을 진행한 이후에 특수체육 지도자들은 향후에도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을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서 입장이 나뉘었다.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을 향후 활용해야한다는 지도자들은 해당 프로그램이 기존의 면대면 프로그램보다 효과성이 떨어지지만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며,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적합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향후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긍정적인 입장을 표하였다. 이에 반해 대상자들과의 소통, 수업의 효율성, 종목의 다양화에 초점을 둔 지도자들은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제한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향후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이 확대되기 위해서 특수체육 지도자들은 전자장비, 운동용품에 대한 지원 등 물리적인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장애 아동들이 원격 수업에 참여하는데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했다는 점을 근거로 활동을 도와줄 수 있는 보조요원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도자들을 위한 연수와 체계화된 가이드라인이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의 실천과 후속 연구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먼저 실천적인 측면에서 첫째, 양질의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도자들의 인식의 변화와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데 있어 기관과 가정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셋째, 양질의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이 확대되기 위해서 물리적 환경의 개선과 지도자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보급 및 연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의 측면에서는 첫째,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와 운영방안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실행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주변인들의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2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7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