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시 청년 1인 가구 분포 현황과 밀집 지역의 유형별 특성 분석 :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Statu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Living in Seoul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nse areas by Typ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준영

Advisor
김세훈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년 1인 가구밀집 지역공간 분포GIS 분석상관관계분석군집분석Young Single-person HouseholdsDense AreasSpatial distributionGIS analysisCorrelation analysisClustering analysis
Abstract
Over the past 20 years, Korean society has undergone structural changes in households along with demographic changes such as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s not a temporary phenomenon, but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which must be noted in the future housing supply plan and urban space planning includ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s noticeable in domestic and foreign metropolitan areas. In the case of Seoul, among all single-person households,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ccount for 47.8%, which is almost half of all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Seoul when planning and formulating housing supply, urban space, and policies centered on Seoul. At the same time, more researches to reveal characteristics of the dense areas and comprehend them from diverse perspectives are more likely to be needed.
Members of a single-person households are diversifying as much as the amount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increased, which requires detailed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population, social and urban spatial aspects of them. In previous studies, there has been many attempts to classify the urban spatial distribu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gender, age, socioeconomic status, and educational background.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revealed the social propensity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s spatial characteristics in connection with housing choice and distribution status, and there was no in-depth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 indicators representing them.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se existing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statu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ed areas by paying attention to the specific class, single-person households.
In addition to typifying concentrated area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dentifying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specific urban spatial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representative areas of each type, and the analysis was verified through interviews with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members.
The results of the studies examined by various analysis, such as visual, statistical and empirical analysis, can be grounds for urban planning and design, including residential supply plans for them. The summary of what is clarified through this is as follows:
First, the dense distribu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Seoul differs from the one of multi-person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of young people are geographically distributed in the center of Seoul, mainly in downtown Seoul and central business areas. On the contrary, multi-family households are more densely distributed around the outskirts of Seoul rather than the center. This seems to be the difference between housing supply plans,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are freer to move and choose than multi-person households.
Second,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nsity distribution by age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by dividing them into 20s and 30s,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show a similar pattern to the distribution of all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western part of Seoul centered on downtown Gangbuk. On the other hand,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30s tend to be densely distributed around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s of Seoul and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eastern part of Seoul centered on the downtown area of Gangnam. At this time,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30s show a similar pattern to the distribution of multi-person households, which seems to be derived from the similarity of socioeconomic status.
Third, areas where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re concentrated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oci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four types are as follows: Type A: static & alternative residential area type, Type B: dynamic & Eclectic area types of social network and residential life, Type C: dynamic & Core area types of the social network, and Type D: static & selectable residential area type
Fourth, interviews with single-person households showed that the reason why they chose the area they currently live in is affecting their satisfaction with living after they live in. In addition, the more the individual's social inclinations and preferences were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the residential area,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area.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dentified by the analytical indicators were largely consistent with the social orienta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reasons for their choice of housing. This means that the residential areas of single youth households and their social tendencies are corresponding.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Seoul , but in this study, concentrated areas were categori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identified in both physical and social aspects.
Second, based on the tangible results, the experience of single-person households of each type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by type. It is meaningful that the interviews of single-person households demonstrated the results of each type of analysis and confirmed that their social and individual tastes could affect the residential selection, relocation and a satisfaction after post-settlement.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atu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densely populated areas in Seoul and classify the densely populated areas according to demographic, soci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indicators.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with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members currently residing in Korea, it was possibl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and movement of a residential area.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se factors affect housing satisfaction after settlement and are consistent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densely populated area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Seoul can be categori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can be identified in terms of geographic, social, and spatial aspects. Analysis indicators that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re factors that act on the housing choice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t the same time are expressed in urban space after settl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fferentiation and diversity of the densely populated areas were discovered by categorizing and characterizing the densely populated areas by using the factors that emerged after settlement as an analysis index.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 differentiated approach is needed for housing supply planning, urban space planning and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of young people. Ultimately, the choice of residential space and residential area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should be expanded by planning housing suppl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ified residential areas.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residential environment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at fits the situation in Korea. Korea is currently experienc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experienced in the U.K. and the U.S. metropolitan areas, and in response to this social change, spatial alternatives such as housing and community spaces are proposed, but it tends to focus on housing supply and support. By examining the demands and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in metropolitan areas abroad, it seems that Korea can find the direction it should take. This is because the perspectives and countermeasures for the concentra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metropolitan areas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but the commonality of their needs, institutions, and the ultimate concept of spatial planning exi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recedents for creating a residential environment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broad and develop a residential environment other than the supply of residential space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in the future.
Third,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concentration of metropolitan are not temporary and will continue to change, so a long-term plan considering their life cycle is needed.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a desire for a more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rather than an alternative space that they temporarily pass through in their living space and residential area. However,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provided to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sufficient to meet the demand for residential space as it can be perceived as temporary residence rather than actual housing.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should be carried out to diversify the policies of housing space supply for young people, considering their attachment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esire for diversity, and autonomy,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idential space to make them feel a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sustainable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prepared to provide a long-term residence system so that they do not feel unstable and temporary about their generation.
Through the interviews, it was able to understand confirmed that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anted to communicate, but were uncomfortable with intentional spaces encouraged to communicate. Accordingly, it seems that a study that can achieve spatial welfare from various angles is necessary. Although housing supply plans and policies to support single-person households are currently implemented, the interview confirme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that benefit from such support are limited and have low reliability in the supplied housing space. Therefore, this study, which identifies the distribu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can be an important clue to their social orientation and their desire for residential space. Based on this, I hope that housing plans and urban spatial approaches and solution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currently being tried can be improved.
한국 사회는 지난 20년 동안 1인 가구의 증가라는 인구구조의 변화와 함께 가구의 구조적인 변화를 겪어 왔으며, 그 결과 1인 가구가 한국의 대표 가구 형태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1인 가구의 증가 현상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장래에도 지속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장래의 주거공간 공급계획과 주거환경을 포함한 도시공간의 계획 시 주목해야 할 요건임이 틀림없다. 특히 국내·외 대도시권에서 청년 1인 가구의 집중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서울시의 경우 전체 1인 가구 중 청년 1인 가구가 47.8%로 전체 1인 가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 주거공급 및 도시공간 계획, 정책 입안 시, 서울시 청년 1인 가구 분포현황의 파악은 필수적이며, 이들이 밀집한 지역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다각도에서 해석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은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
1인 가구의 양적 증가가 이루어진 시간만큼이나 구성원들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에 대한 인구 및 사회적, 도시 공간적인 측면에서의 세밀한 현황 파악 및 분석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에서도 1인 가구를 성별, 나이, 사회경제적 위치, 학력 등으로 분류하여 도시 공간적 분포양상과 그 특성을 밝히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청년 1인 가구라는 특정 연령층과 이들의 사회적 성향을 주거 선택 및 분포현황과 연계하여 공간적인 특성으로 밝혀낸 연구는 없었으며, 이들을 대표하는 특성 지표에 대한 깊은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라는 특정 계층에 주목하여 이들의 분포양상 및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밀집 지역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청년 1인 가구의 밀집 지역을 유형화하고 도시 공간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각 유형의 대표 지역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도시 공간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지역의 실제 거주자인 청년 1인 가구 구성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분석 내용을 검증하여 논지의 실증력을 더했다는 것에 차별성이 있다.
시각적, 통계적, 실증적 분석 등 다각도의 분석에 따라 살펴본 연구의 결과는 이들을 위한 주거 공급계획을 포함하여 도시계획 및 설계의 측면에서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규명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에서 청년 1인 가구의 밀집분포 현황은 3~4인으로 구성된 다인 가구의 분포 현황과 차이를 보인다. 청년 1인 가구는 주로 서울의 도심지와 중심업무지역 등 지리적으로 서울의 중심지에 분포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와 반대로 다인 가구의 경우 중심지보다는 서울의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밀집 분포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주거공급계획에 의한 차이로 보이며 다인 가구에 비해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이동 및 선택이 좀 더 자유로운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청년 1인 가구 중에서도 연령대별로 밀집 분포 양상에 차이를 보인다. 청년 1인 가구를 20대와 30대로 구분하여 분포현황을 분석한 결과 20대 1인 가구는 전체 청년 1인 가구의 분포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며, 강북 도심지를 중심으로 서울의 서쪽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이에 반해 30대 1인 가구는 서울의 주요 중심업무지역을 중심으로 밀집 분포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주로 강남의 도심지를 중심으로 서울의 동쪽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이때, 30대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의 분포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사회경제적 수준과 위치의 유사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청년 1인 가구 밀집 지역들은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4가지의 유형은 입지와 사회 및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유형 A : (정적)대안적 주거지형 , 유형 B : (동적)사회적 관계망의 절충지형, 유형 C : (동적)사회적 관계망의 핵심지형, 유형 D : (정적)선택적 주거지형으로 특성을 구분할 수 있다.
넷째, 청년 1인 가구와의 인터뷰한 결과 현재 거주하는 지역을 선택하게 된 이유가 거주 이후의 주거와 주거지역 전반에 대한 만족도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거주지역의 선택에 개인의 사회적 성향 및 선호도가 반영될수록 거주지역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분석지표를 통해 규명한 유형별 특성은 실제 거주하는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성향 및 주거 선택의 이유와도 대체로 부합하였으며, 이는 청년 1인 가구의 주거지역과 이들의 사회적 성향이 대응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연구에서 다룬 서울시의 청년 1인 가구 밀집 지역 분포현황 파악에 중점을 둔 분석에서 나아가 밀집 지역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물리적 및 사회적 양방향의 측면에서 규명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유형화한 결과를 토대로 각 유형에 해당하는 청년 1인 가구의 경험을 유형별 특성 분석에 포함하였다는 점이다. 청년 1인 가구의 인터뷰를 통해 유형별 분석 결과를 검증하고, 이들의 사회적 및 개인의 취향이 주거지역의 선택과 이동, 정착 이후의 주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 1인 가구 밀집 지역의 현황을 파악하고 밀집 지역을 인구 및 사회적, 물리적 특성 지표에 따라 유형화함으로써 그들이 밀집한 주거지의 공간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현재 거주하는 청년 1인 가구 구성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거주지역의 선택과 이동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러한 요인들이 정착 이후의 거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분석 결과와 상응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의 청년 1인 가구 밀집 지역은 유형화할 수 있으며, 유형별 특성은 지리적, 사회적, 공간적인 측면에서 규명될 수 있다. 유형별 특성을 설명하는 분석지표들은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선택에 작용하는 요인이며, 동시에 정착 이후 도시 공간적으로 발현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착 이후 발현된 요인들을 분석 지표화하여 밀집 지역을 유형화하고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밀집 지역들의 차별성과 다양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공급계획, 도시 공간 계획 및 설계에 있어 유형별로 차별화된 접근방식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다양화된 주거지역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주거공급 및 주거환경을 계획함으로써 청년 1인 가구의 주거공간 및 거주지역의 선택권을 확대하여야 하겠다.
둘째, 한국의 실정에 맞는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환경 조성 계획이 필요하다. 한국은 현재 영국, 미국 등 국외의 대도시권이 이미 경험한 청년 1인 가구의 증가와 집중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는 주거 및 커뮤니티 공간 등의 공간적 대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현재 주거공급과 지원에 집중한 경향이 있다. 이미 경험이 있는 국외의 대도시권에서 일어난 청년 1인 가구의 요구와 도시공간의 변화를 검토하면 현재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도시권의 청년 1인 가구 집중 현상을 바라보는 시각과 대응책은 국가마다 다르지만, 그들의 요구, 제도와 공간 계획의 궁극적인 개념의 공통성은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미 경험이 있는 국외의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지역 환경 조성에 대한 선례를 검토하여 장래 한국의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공간의 공급 이외의 주거환경 조성에 대한 발전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청년 1인 가구의 증가 및 대도시 집중 현상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며 지속할 변화이므로 이들의 생애 주기를 고려한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청년 1인 가구들은 거주하는 공간과 거주지역에 대해서도 일시적으로 거쳐 가는 대안적 공간보다는 정주성이 있으며 지속 가능한 주거환경에 대한 욕구가 있다. 하지만 현재 청년을 위해 공급되고 있는 임대형의 주거공급은 청년 1인 가구들에 진정한 주거의 의미보다는 임시적이고 일시적인 거처로 인식될 수 있으며, 청년들이 주거공간에 대해 생각하는 욕구를 만족시키기에 부족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의 정주 환경에 대한 애착도와 다양성에 대한 욕구, 이동의 자율성 등을 고려하여 현재 시도되고 있는 청년을 위한 주거공간 공급의 정책도 다양화되어야 하며, 주거공간을 지속할 수 있는 정주 환경으로 느끼게 하기 위한 주거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해 연구와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나 제도적으로 이들이 자신들의 세대가 불안정하고 임시적인 존재로 느껴지지 않도록 장기간의 거주시스템이 공급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젊은 1인 가구들은 소통을 원하지만 이를 위해 조장된 의도적인 공간에 대한 거부감을 읽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해 맞대응방식의 공급이 아닌 다각도의 공간적인 복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청년 1인 가구를 지원하기 위한 주거공급 계획 및 정책이 진행되고 실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정작 이러한 지원의 혜택을 받는 청년 1인 가구는 제한적이고 공급된 주거공간에 대한 신뢰도가 낮음을 인터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년 1인 가구의 밀집 현황 파악과 특성을 규명하는 본 연구는 이들의 사회적 성향과 주거공간에 대한 욕구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현재 시도되고 있는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계획 및 도시 공간적인 접근방식과 해결방안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8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2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