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적 표현에 기반한 작품의 서사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e of works based on poetic express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수연

Advisor
문주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비 관용적 표현물성감각번역poetryunconventional expressionsmaterialitysensestranslation
Abstract
본 연구는 본인의 작품에 내제된 작품표현방식에서 시적언어와의 유사성을 발견하여 시적 언어와 작품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려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본인의 경험을 기점으로 본인이 관찰한 현대사회의 이면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시를 작성하고 그것을 다시 조형적인 형태로 재생산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탐구과정에서 본인은 시적언어에서 출발한 작품에 내제된 비 관용적인 언어적 표현이 즉흥적이며 분절된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나아가 분절된 언어구조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의미가 반복적인 가공과정을 거쳐 조형물에 날것(Raw)의 형태로 옮겨진다는 것도 인지하였다. 이것은 또한 새로운 의미 해석의 여지가 작품에 옮겨지고, 덧입혀지고, 다른 형태로 재생산된다고 볼 수도 있다. 그렇기에 결과물인 작품 또한 1차적 결과물(시적 스케치)의 허용 오차를 포함한 복제적인(Replicative)형태로 재현된다고 파악하였다.

작품제작 이전에 쓰는 시는 동시대 한국 사회에 만연한 씁쓸한 현실을 소재로 삼고있다. 이러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소재는 비 관용적 언어로 모호하게 작품에 반영한다. 각각의 작품은 언어 조립하기 방식을 통하여 이미지로서 발현되며, 이곳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요소는 분절 - 재구성 – 재현의 과정을 통해 변환되어 표현된다. 여기서 분절 – 재구성 – 재현의 과정이란 개인의 경험을 본인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고 그것을 시적 언어로 재구성 한 다음 최종적으로 시적 언어에 물성을 부여하여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과정이다. 언어는 발화되는 과정에서 그 의미와 발화 당시의 의도가 증발해버리며, 타인에 의해 재해석 되어버리게 된다. 여기서 발화란, 글을 쓰는 행위를 포함한다. 이러한 번역의 과정은 작업의 주된 과정이자 목적이다.

작품은 전시공간에 내어지는 순간부터 작가의 손을 떠나게 되며 작품의 해석은 관람자의 몫이 된다. 본인은 작품을 구상할 때, 해석의 여지를 개방해 모호하게 두는 선택을 했다. 이는 작가만이 영위하는 것이라 생각되는 상상의 지점에 관람자를 끌어들여 소통의 범위를 확장하려는 시도이다.
This paper is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ic language and sculpture by discovering the similarities with the poetic language from the expressions inherent to my works. This process demonstrates the reproduction of my poetry on the dark side of modern society under my observations into a sculptural form. Throughout the investigation, I discovered that the unconventional linguistic expressions inherent to the works that stemmed from poetic language were in an improvisatory and fragmented structure. Moreover, I was made aware of the fact that the new meanings generated from the fragmented linguistic structure were translated into raw sculptural forms through a repetitive process. It could be seen that the possibility for new approaches to meaning is transferred, overwritten, or reproduced to the works in a different form. Therefore, the resulting work was understood to be presented in a replicative form, including the error tolerance of the primary result (the poetic sketch).

The subject matter of the poems written prior to the production of sculptural pieces is the bitter reality prevalent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Such general subject is obscurely reflected in my works through unconventional language. Each work is manifested as an image through the method of Language Assembling, and the linguistic elements are made into conversions through the process of fragmenting - reassembling - representing. Fragmenting - reassembling - representing is a process of translating in visual language my personal experiences that are selected upon my needs, which are reassembled in a poetic language and are finally given a physical form. The meaning and the intentions of language evaporate in the process of its verbalization; they are translated by a third person. The verbalization mentioned in this case includes the performance of writing. This process of translation is the main process and purpose of my work.

Artworks escape the control of the artist as soon as they are exhibited, and their interpretations are up to the viewers. It is an attempt of expanding the realm of communication by involving the viewers into the imaginal territory that thinks that only the artist themselves can have the privilege of leaving their works ambiguous and open for interpretation from the star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2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8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