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체와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계 인식에 관한 작품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Boundaries between Body and Digital Devic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지현

Advisor
이종건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지털 디바이스신체아날로그밀레니얼 세대혼란digital devicebodyanalogMileennialschaos
Abstract
밀레니얼 세대의 사고와 감각은 어떤 상태에 있을까. 아날로그적 경험에 디지털 디바이스 사용 감각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원과 인터넷이 없을 때 무용한 사물로 전락하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디바이스가 없을 때 본인의 신체가 무력하게 느껴진다. 스마트폰 없이는 어떤 음식을 먹을지도 정하지 못하고, 길도 찾을 수가 없다. 평소에는 본인의 과의존을 그다지 의식하지 못하다가 디바이스 배터리가 다 되는 순간, 와이파이 연결이 끊어지는 순간에 체감한다.
본인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첫째, 디지털 미디어(아이폰 카메라, 모니터, 빔프로젝터)와 거울 등의 매체를 모듈화하고 특정 장소에 가변적으로 설치하여, 물리적 공간이 디지털 미디어로 연동된 상황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납작해진 공간 이미지를 실제 공간에 뒤섞으며 겹겹이 쌓거나, 관람자와 거울, 카메라의 시각 방향성을 엇갈리게 설치하여 공간이 혼란스럽도록 유도하였다. 관람자가 거울과 카메라에 비치는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개인의 신체가 미디어의 시각에 의해 어떻게 인식되는지 목격하고, 결과적으로 디지털 디바이스가 개입함으로써 무력해지는 자신을 체감하게 하였다.
둘째, 디지털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여러 도구를 조합하고 조립하여 하나의 장치로 제작하였다. 밀레니얼 세대는 아날로그부터 스마트 디바이스까지 여러 사물의 사용 감각이 중첩되어 대상, 공간, 자신을 인식한다. 이와 같은 디지털 미디어와 개인의 관계를 드러내기 위해 디바이스 사용자의 모습을 특정하는 장치를 만들고, 이것이 사용자의 행위나 상황을 상기시키도록 하여 흔한 개인의 모습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관람자가 디지털 미디어가 야기하는 가능성과 소통, 단절과 고립을 떠올리게 하는 것이 목표였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사용하면서 느끼는 기기 의존도와 무력감에 대해 자기반성적 태도로 작업하였다. 디지털 매체를 통해 혼란이나 왜곡을 시각화하여 관람자를 미적 유희에 동참시키고, 동시에 여러 장치와 물리적 환경에 의해 끊임없이 몰입을 방해받는 환경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사용자를 분리하고 작품의 형태와 메커니즘을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이끌어, 사물에 의존한 신체에 대한 자각을 유도하려 하였다.
How do millennials perceive and sense the world? Their senses from the use of digital device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analog experience. Just as how digital devices are rendered useless without power and internet connection, my body feels weak without any digital device in hand. Without a smartphone, I cannot decide on what to eat or find directions. My addiction comes to a realization as soon as the battery runs out or when the Wi-Fi connection is lost.
My artistic practices are largely conducted in two main methods. First, media such as digital media (iPhone camera, monitor, beam projector) and mirrors were modularized and installed in certain sites to simulate the circumstances where physical space is interlocked with digital media. The viewers track their own location based on the reflection on the mirror and the camera and witness how their own body is perceived through the medias perspective. As a result, they experience their own impotence engendered by the intervention of digital devices.
Second, various tools—mainly digital devices—were combined and assembled to construct a new device.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edia and the individual, I created a device that specifies the user, which would remind the users behavior or a situation. The goal was to present the viewers of the potential of digital media and communication, disconnection, and isolation.
Through this study, I took a more self-reflective approach in my artistic practices about the dependency and impotence I experienced by using digital devices. The viewers became involved in the aesthetic exercise of visualizing chaos and distortion through digital media, and the environment was set up to disrupt the viewers from appreciating the space and installation through various devices and physical obstacles. The digital device and its user were l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induce an awareness of the digital dependency with an oversight of the form of the installation and its mechanism.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2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83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