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원삼국-한성백제기 대옹 연구 : A Study on the Large Storage Jars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Hanseong Baekje Period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혜

Advisor
김장석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백제대옹지역성방사성탄소연대생산유통pXRFBaekjeLarge JarlocalityRadio-carbon datespotte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bstract
In the study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Hanseong Baekje Periods, the locality is treated as a major basis for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Baekje. However, locality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morphological differences, and observed regional differences tend to be explained only in the context of relations between the political center and its hinterlands. This study examines large storage jars, also known as daeong, to investigate the locality of various sub-systems as well as the regionality of forms.
Conventional daeong studies discuss variation, function, and production distribution of daeong over a wide area without considering local variation. The reason why such discussions were possible was not because daeong were the same throughout Baekjes territories, but because daeong have only been studied in the north of Seoul before AD 350 and south of Seoul after AD 350. Therefore, to examine the locality of daeong, it is necessary to overcome regional biases observed in previous studies.
This interpretational issue likely emerged because the chronology of daeong is based on the chronology of Baekje pottery. Therefore, I intend to examine whether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daeong differed from AD 350 using radiocarbon dat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daeong does not vary by region.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verify the locality of daeong by examining areas south of Seoul before AD 350 and the areas north of Seoul after AD 350, which was not studied previously.
To do this, I collected data on all types of daeong and examined each type of daeong by region. This study identified four distinct types of daeong, which can be classified as A through D. By reviewing sites and radiocarbon dates, I found that each type was used more predominately in different areas and that the timing of these trends differed temporally.
Since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t types of daeong were used in different regions, discussions on the locality of function and distribution of daeong also needed to be reviewed. Therefore, I compared the excavated context of each type of daeong to verify that the function of daeong indeed varied from region to region. To this end, the size of dwellings and associated artifac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previous interpretations of daeong can only be applied to type A and that other forms appear in different contexts, which implies that the function and/or value of daeong varied from region to region.
If the culture that used daeong was different, it is possible that the production-distribution system would also have varied by region. Therefore, I attempted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range of daeong by region. The distribution of daeong kilns confirms that a small number of kilns were clustered in one part of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while many kilns were dispersed in the Chungcheong Province and southern Gyeonggi Province. This suggests that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had a wide distribution range while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had a relatively narrow range of distribution.
Furthermore, the morphological variability of daeong in each region was reviewed and pXRF was used to determine the diversity of production are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which was found to have a wide distribution range, showed little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sites, and the results of pXRF analysis suggest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sites. On the other hand, southern Gyeonggi Province, which was found to have a narrow distribution range, shows marked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sites and can be well distinguished using pXRF. The abov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distribution range estimat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kilns, implying that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ethods of daeong by region.
This study represents a new attempt to demonstrate that the morphology, excavated context, and distribution range of daeong varied by region. Existing Baekje studies only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overlooking the complexity of the various sub-systems that existed in the rest of the region. However, this study showed that locality can be explained in various layers through daeong, which may also reflect differences in other material culture recovered in the region.

Keywords : Baekje, Large Jar, locality, Radio-carbon dates, potte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XRF
원삼국-한성백제기 연구에서 지역성은 한성백제의 성립과 성장을 보여주는 주요 근거로 다뤄지고 있다. 하지만, 지역성 연구는 주로 물질의 형태적 차이에만 주목하고, 지역차의 원인을 중앙-지방 관계로만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대옹을 이용하여 형태의 지역차뿐 아니라 여러 하위체계의 지역성을 살펴보고 지역차를 중앙-지방 관계로만 설명하는 것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기존 대옹 연구는 지역성을 고려하지 않고 광역적으로 대옹의 변화상, 기능, 생산유통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광역의 논의가 가능했던 이유는, 실제로 대옹이 광역적으로 동일해서가 아니라 350년 이전에는 서울 이북 지역, 350년 이후에는 서울 이남지역의 대옹만이 논의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옹의 지역성을 살피기 위해서는 기존 연구에서 나타나는 지역 편중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했다.
지역 편중 문제는 대옹 편년안이 백제토기 편년안 논리에 기반하였기 때문에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를 검토하기 위해 대옹의 지역적 분포가 350년을 기점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방사성탄소연대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대옹의 시기적 분포는 지역별로 차이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350년 이전 서울 이남 지역과 350년 이후 서울 이북 지역의 대옹을 살펴봄으로써 대옹의 지역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부지역의 대옹 완형을 모두 수집하여 지역별로 대옹 형태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옹 형태는 총 4가지로, A~D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형태의 출토 유적과 방사성탄소연대를 검토한 결과 각 형태의 유행 지역과 유행 시기가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 대옹 연구는 네 개 형태 중 일부 형태만을 가지고 중부지역 전역의 대옹 양상을 설명하려 했기에 지역적 다양성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상이한 형태의 대옹을 썼다는 것이 확인되었기에 특정 지역의 사례로만 논의되었던 대옹의 기능 및 유통에 관한 논의도 재검토가 필요했다. 따라서, 각 대옹 형태의 출토맥락을 비교하여 지역마다 대옹의 기능이 상이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옹 출토 주거지의 주거 면적, 공반유물 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기존에 논의되었던 대옹의 특수성은 A형 대옹을 사용한 지역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그 외 형태는 상이한 출토맥락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출토맥락의 차이는 곧 지역마다 대옹의 기능이나 가치가 달랐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대옹 사용 문화가 상이했다면, 사용과 밀접한 생산유통체계도 지역별로 상이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대옹의 유통범위를 지역별로 추정함으로써 대옹 생산유통체계의 일면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옹 가마 유적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경기북부의 경우 소수의 가마 유적이 한 곳에 모여있는 반면, 충청도, 경기남부의 경우 다수의 가마 유적이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경기북부의 경우 소수의 산지에서 다수의 소비지로 원거리 유통을 했다면 경기남부 및 충청도는 1:1에 가까운 생산-소비가 이뤄졌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위 가설을 재확인하기 위해 각 지역의 대옹의 형태적 variance를 검토하고 성분분석 기기인 pXRF를 이용하여 대옹 산지가 유적별로 얼만큼 변별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유통범위가 넓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북부는 유적 간 대옹의 형태적 차이가 적고, 성분분석 결과 유적 간 변별이 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유통범위가 좁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남부는 유적 간 형태적 차이가 크고 성분분석 결과 유적 간 변별이 잘 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가마로 추정한 유통범위와 부합하여 지역별로 대옹 생산유통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위와 같이, 동일 기종인 대옹의 형태, 출토맥락, 유통범위가 지역별로 상이했음을 보인 것은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기존 백제 연구는 국가의 성립에만 주목한 나머지 지역 내에 존재했을 여러 하위체계의 복잡다양성을 간과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대옹을 통해 지역성이 다양한 층위로 설명될 수 있음을 보았고, 이는 다른 물질문화를 통해서도 확인될 것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확장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주요어 : 백제, 대옹, 지역성, 방사성탄소연대, 생산유통, pXRF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5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7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