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ransculturation of Cafe and Cafe Waitress in the Japanese Empire : 일본제국 내 카페와 카페여급의 文化轉移: 일본과 식민지한국에서 카페여급의 감정노동
The Emotional Labor of Cafe Waitress in Japan and Colonial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수영

Advisor
박태균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afe WaitressEmotional LaborTransculturationJapanese EmpireColoniz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한국학전공), 2021.8. 박태균.
Abstract
일본 제국에서 카페 여급은 서양식 카페, 술집, 식당 등에서 고객에게 팁을 받는 대가로 음식과 음료를 제공하는 서비스 직종 중 하나였다. 일본 제국에서 형성된 직업의 독특한 특징은 고객에게 이야기 상대가 되어주는 것이었다. 카페 사업의 일부가 성애화되었고 카페 여급의 일부가 매춘에 연루되었지만, 이것이 카페 여급이 성 노동자였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페 여급은 일본과 식민지 한국에서 "저속한" 직업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낙인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여성에게 순결을 보존하기를 요구하는 사회에서 여성들은 왜 저속한" 직업을 선택했을까? 그들의 선택이 가족과 사회 내에서 여성들의 지위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카페 여급들은 자신들의 직업과 정체성을 어떻게 인식하였을까?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일본제국 내 카페와 카페 여급의 文化轉移 (Transculturation) 과정을 분석한다. 트랜스컬쳐레이션이란 개념은 문화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르키며,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는 매 순간마다 다른 문화를 획득하는 과정(Acculturation), 이전 문화를 잃거나 훼손하는 과정(Deculturation), 그리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과정(Neoculturation)이 수반된다고 본다. 즉, 강자와 약자에 상관없이 그 과정에 참여하는 모든 개인의 영향력과 주체성을 인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트랜스컬쳐레이션 과정을 통해 일본 제국에서 서양 문화를 직접 수용한 엘리트층 남성과 기업인, 문화의 주요 소비층인 샐러리맨과 남성 노동자층뿐만 아니라 노동 계급의 여성, 즉 카페 여급도 카페 문화라는 장르와 카페여급이라는서비스직의 '사회적 의미 창출 과정'에 참여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 2장에서는 연구에서 사용하는 이론적 개념인 트랜스컬쳐레이션, 가족적 접근 및 감정 노동을 소개한다. 제 3장에서는 일본과 식민지 한국의 카페와 카페 여급의 文化轉 移 (Transculturation) 과정과 그 과정에 참여한 지식인과 문화 엘리트층, 사업가, 정치인, 경찰 당국, 샐러리맨, 남성 노동자, 언론, 일본인 정착민, 카페 주인, 카페 여급 등 다양한 주체들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제 4장에서는 일본 제국의 급격한 산업화, 호황과 불황의 경기 순환과 공창 제도가 가족적 관점에서 여성 노동의 수요와 공급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다. 제 5장에서는 카페 여급들이 직접 쓴 글을 분석함으로써 가부장적 사회 내에서 카페 여급들이 감정의 표현을 통해 그들의 입장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지 보여준다. 일본과 식민지한국은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관계 내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서로 다른 트랜스컬쳐레이션 과정을 경험하지만, 일본 제국이라는 하나의 문화적 단위 내에서 일본과 식민지한국의 카페 여급들은 비슷한 직업적 감정적 경험을 공유하게 된다. 그들은 직업전선에 직접 뛰어드는 물리적 행위로써 뿐만 아니라 잡지와 신문에 자신들의 글을 투고하면서 개인적인 이야기를 공유하고 감정을 표현하면서 가부장적 사회 내에서 자신들의
영향력, 공간 및 주체성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카페 여급들의 목소리를 제공함으로써 역사 속에서 반복적으로 소외되어온 노동계급 여성들의 삶을 그들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그들이 근대적 사회의 의미 창출 과정에 어떻게 참여하였는지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afe waitress in the Japanese Empire was one type of occupation within the service sector who attended to customers in bars or restaurants by supplying requested food and drinks in exchange for tips. The one unique characteristic emerged in the Japanese Empire was that they kept customers company. A proportion of cafe businesses were eroticized and a proportion of cafe waitresses were involved in prostitution, but they do not equate to meaning that the waitresses were sex workers. Nevertheless, the job was regarded as a vulgar job. In societies that expected women to preserve innocence to be marriageable, why did women choose the job that was so stigmatized? How did the stigma against the job develop in the first place? What does the stigma and their choice say about womens labor and their position, especially those of uneducated working class women, in their families and in Japanese and colonial Korean societies? How did waitresses themselves perceive their job and their identity?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culturation process of cafe and cafe waitresses in the Japanese Empire. The concept of transculturation denotes the ever-changing characteristic of culture and argues that each and every moment of cultural encounter entails the process of acquiring another culture, i.e. acculturation, the process of losing or deracination of a prior culture, i.e. deculturation, and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culture, i.e. neoculturation. Thus, it acknowledges the power and agency of each and every individual involved in the process, both the powerful and the powerless. In the Japanese Empire, it was not just the importers of the western culture, i.e. educated elite men and businessmen, nor just the consumers of the culture, blue and white collar male workers, but also the working class women, cafe waitresse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process of meaning creation of the genre of cafe culture and the job of cafe waitress.
Chapter I demonstrates how this study bridges the gaps in previous studies, and Chapter II introduces the theoretical concepts the study uses: transculturation, familial approach and emotional labor. Chapter III delineates the process of transculturation in Japan and colonial Korea and elucidates the roles of various actors involved in the process: intellectual and cultural elites, businessmen, political groups, police authorities, white and blue collar workers, the media,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cafe owners, and cafe waitresses. Chapter IV examines how the rapid industrialization, the economic boom and bust cycle that followed and the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in the Japanese empire affected the supply and demand of female labor in the perspective of families. Chapter V examines the writings of cafe waitresses and the emotions displayed in their writings. It shows how waitresses use their emotions to deliver their side of the story in the patriarchal societies: why, how and for whom they became a waitress, their emotional distress caused by the stigma against the job and the uncomfortable labor demanded in the job, and the mask they put on in the workplace to hide their true emotions and to carry on the work. The study finds that the Japanese empire was not just a political unit but also a cultural unit within which, while the metropole and the colony experienced different transculturation process due to the imbalance of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power between the ruler and the colonized, women had a shared working and emotional experience. The waitresses in Japan and Colonial Korea spoke the same language in claiming their agency, power, and space in the patriarchal societies, not just by joining the workforce but also by submitting their writings in magazines and newspapers. They share their personal stories, express their emotions, and define and defend their identity against the social and gender norms. The study aims to demonstrate how the marginalized group took part in the social process of meaning creation of modernity in the Japanese empire.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72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2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