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Working on the Past : 과거에 대한 긍정적 센스메이킹이 일의 의미성에 미치는 영향
Positive Sensemaking on the Past Strengthens Work Meaningfulnes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지선영

Advisor
박원우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Work meaningfulnesspositive sensemakingpositive reflectionpositive reframingself-continuity일의 의미성긍정적 센스메이킹긍정적 회상긍정적 재구조화자아연속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경영대학 경영학과, 2021.8. 박원우.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tudy how work meaningfulness could be achieved via justification path when self-realization path is constrained. As one of the first quantitative studies to expand the scope of work meaningfulness literature to time- transcendent and negative domains,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work meaningfulness could be promoted by positive reframing on the present and that positive reframing on the present could be enhanced by positive reflection on the past, building on the justification perspective and sensemaking theory. Further, this study also hypothesizes that positive reframing of the present work is the mediating mechanism of the effect of positive reflection on work meaningfulness. Lastly, this study proposed the moderating effect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self- continuity. Using two sets of survey data from 236 working adults in South Korea,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s as well as indirect effect analysis, moderation analysis, and conditional indirect effect analysis via PROCESS Macro. The results confirmed the positive direct effect of positive reflection on positive reframing and the positive direct effect of positive reframing on work meaningfulness. However,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reframing in the effect of positive reflection on work meaningfulness was significant only when control variables were removed from the model. Furthermore,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by self-continuity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regardless of inclusion of control variables. This study has tried to reduce the research-practice gap in the work meaningfulness literature by taking justification perspective instead of realization perspective and examining the effect of positive sensemaking on work meaningfulness. Moreover, this study is one of the first quantitative studies to expand the source of work meaningfulness research to the past and negative factors.
본 연구는 자아실현 경로가 제약되었을 때 정당화 경로를 통해 일의 의미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일의 의미성 연구의 범위를 시간 초월적 및 부정적 영역으로 확대하는 최초의 정량적 연구 중 하나로서, 정당성 관점 및 센스메이킹 이론에 기반하여, 과거에 대한 긍정적인 회상이 현재 일에 대한 긍정적 재구조화를 촉진시키고, 현재 일에 대한 긍정적 재구조화는 일의 의미성을 촉진시킨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현재 일에 대한 긍정적인 재구조화가, 긍정적 회상이 일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 매개변인으로 작용할 것이라 예측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자아연속성이 긍정적 회상이 긍정적 재구조화에 미치는 효과와 긍정적 재구조화가 긍정적 회상과 일의 의미성 간의 인과관계에서 갖는 매개효과를 강화시킬 것이라는 조절효과 가설과 조절된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한다. 한국 직장인 236 명으로부터 두차례에 걸쳐 수집한 설문데이터로 다중회귀분석과 PROCESS Macro 를 이용한 간접효과 분석, 조절효과 분석, 그리고 조건부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 회상이 긍정적 재구조화에 미치는 정적 효과와 긍정적 재구조화가 일의 의미성에 미치는 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긍정적 재구조화는 통제변인을 제거하였을 경우에만 긍정적 회상과 일의 의미성 간의 인과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아연속성은 통제변인의 유무와 관계없이 긍정적 회상과 긍정적 재구조화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지 않으며, 조절된 매개효과 역시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아실현이 아닌 정당화 관점을 취하여 긍정적 센스메이킹이 일의 의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일의 의미성 연구와 현실 직무환경 간의 간극을 줄이고자 하였다. 또한, 일의 의미성의 원천을 과거와 부정적 요인으로 확장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7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5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