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동체 미술을 통한 사회관계 회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very of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Community Art
본인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영환

Advisor
윤동천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심 재개발공동체 미술개체화된 공동체공론장감각적 사유공유경험사회관계Urban RedevelopmentCommunity ArtIndividualized CommunityPublic SphereSensory ThinkingSharing ExperienceSocial Relationship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미술학과, 2021.8. 윤동천.
Abstract
Since I have been interested in the social functions and roles of art as artists, social problems stemming from urban redevelopment have long been discovered. Conflicts between members of the community, which are divided in opinion against the pros and cons of redevelopment, and residential anxiety among poor residents have become an opportunity for m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Community Art projects conducted by myself in collaboration with community members living in redevelopment areas to examine the impact of community art on recovering and expanding social relationships.
Community Art is based on Activist Art, which called for critical thinking and action by actively intervening in social issues in the 1960s and 1970s. Those days, Activist Art delivered metadiscourse such as art institutions, democracy, nationalism and feminism to the public through traditional art and non-traditional art practices such as demonstrations, education, publishing, broadcasting, and cinema. Since the 1980s, the expansion of capitalism and neoliberalism has led to a shift in social awareness to the problem of economic inequality between classes. Accordingly, Activist Art tended to micro-treat problems in the periphery of society, the underprivileged, or the community. In the process, Community Art, a practice of collaborating and solidifying with the community, using the problems of members' lives as the theme of the work, is created. As such, in Community Art,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public domain are emphasized as a place of discussion or a public sphere.
The independence of members in Community Art conducted by myself is key. Independence is demonstrated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s an act of demonstrating the equal ability inherent in members. I continue to listen to members' thoughts and express empath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members can recognize and exercise their capabilities as equal subjects. These relationships formed through individual contact are the groundwork for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of members. In addition, the contact method is a methodology that examines and reflects various ideas and arguments of members on community issues arising from redevelopment in projects. As a public sphere, Community Art is a place where members of different ideas interact, a result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becoming individualized in modern society.
Text and Dialogue in the Community Art are the medium that members use to participate in public sphere. Members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by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arguments in text or by talking to others. In each project, the language is translated into art form in a non-traditional medium. The key point of the public sphere is that members' thoughts are sensuously expressed and conveyed through art practice. The Sense is more about aesthetic judgment and rational thinking than the opposite concept of thinking, which refers to the state in which members engage in emotions, express their thoughts, and the way in which the audience perceives members' actions and understands community issues. A general public sphere aims to persuade and reach agreement with others through rational reasons. In comparison with general public sphere, the the purpose of the public sphere through sensory thinking of Community Art is to share various ideas and recognize differences rather than to make certain conclusions, just as it cannot evaluate the audience's subjective perception of art cannot be evaluated.
As such, the meaning of recovering or expending social relations through Community Art is not to eliminate antagonism among members, but to find conditions that accept differences in ideas stemming from the attitudes of others' lives. In this thesis, the experience of members gathering in one place and sharing their thoughts through art language is an essential factor in restoring the relationship. The Sharing Experience of Community Art is an opportunity for members to devise ways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begin long-term and gradual thinking for life change.
Despite many limitations, this thesis suggests that social change can begin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individual thoughts with the subject will of community members, not with metadiscourse or authoritative groups.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presented a Community Art methodology that draws community members' participation in individualized society, and argued that the meaning of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Community Art was to recover and expand social relations and, ultimately, drive social change.
미술가로서 연구자가 미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에 관심을 가진 이래로 도심 재개발에서 비롯된 사회문제는 오랜 기간 천착해 온 소재이다. 재개발 찬성과 반대로 의견이 나뉘어 발생하는 공동체 구성원 사이 갈등과 영세한 거주민의 주거 불안은 연구자가 구성원 간 사회관계의 중요성을 자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연구자가 도심 재개발 지역에 거주하는 공동체 구성원과 협업으로 수행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를 분석함으로써 공동체 미술이 재개발 과정에서 훼손된 구성원 사이 사회관계 회복과 확장에 미친 영향을 살피고, 궁극적으로 미술을 통한 사회 참여의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공동체 미술은 1960, 70년대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대중의 비판적 사고와 행동을 촉구했던 행동주의 미술에 바탕을 두고 있다. 당대 행동주의 미술은 미술제도, 민주주의, 민족주의, 페미니즘 등 거대 사회 담론을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만 아니라, 시위, 교육, 출판, 방송, 영화 등 비-전통적 미술 실천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했다. 1980년대 이후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의 팽창은 계층 간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로 그 사회적 인식이 옮겨가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행동주의 미술은 사회 주변부, 소외 계층, 그리고 공동체의 문제를 미시적으로 다루는 경향을 띠게 된다. 이 과정에서 구성원의 삶의 문제를 작품의 주제로 삼아, 공동체와 협업하고 연대하는 실천인 공동체 미술이 탄생하게 된다. 이처럼, 공동체 미술에서는 구성원의 실질적인 삶에 관한 논의의 장소 또는 공론장으로서 공공영역의 정치적 측면이 강조된다.
연구자가 수행한 공동체 미술에서 구성원의 주체적 참여는 그 핵심이다. 그들의 능동적 참여는 구성원에게 내재한 평등한 능력을 입증하는 행위이다. 공동체 미술 실천 과정에서 연구자는 구성원의 생각을 지속해서 경청하고 공감을 표함으로써 구성원이 자기 삶의 주체로서 자기 역량을 자각하고,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연구자와 구성원 사이 개별 접촉을 통해 형성된 관계는, 궁극적으로, 구성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기반이 된다. 아울러, 그 접촉 방식은 재개발에서 비롯된 공동체의 쟁점에 관한 구성원의 다양한 생각과 주장을 조사하고, 프로젝트에 반영하는 방법론이다. 구성원의 개별성과 독립성의 강조는 현대사회에서 개체화되어 가는 공동체의 특징을 반영한 결과이다.
개체화된 공동체와 협업으로 연구자가 수행하는 공동체 미술에서 텍스트와 대화는 구성원이 공론장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매개이다. 구성원은 자기 생각과 주장을 텍스트로 표현하거나, 타인과 대화하는 방식으로 공론장에 참여한다. 각각 프로젝트에서 그 언어는 비-전통적 매체에 담겨 미술 형식으로 전환된다. 공동체 미술을 통해 형성된 공론장의 요체는 구성원의 사고가 미술 실천을 통해 감각적으로 발화되고, 전달되는 것이다. 여기서 감각은 이성의 반대 개념이기보다는 미적 판단과 이성적 사유를 포괄하는 의미로, 구성원이 감정을 이입하고,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상태 그리고 관객이 구성원의 행위를 지각하고 공동체의 쟁점을 이해하는 방식을 말한다. 일반적인 공론장이 이성적 사유를 통해 타인을 설득하고 합의를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면, 감각적 사유를 통한 공론장의 목적은, 미술품에 관한 관객의 주관적 인식을 평가할 수 없듯이, 특정한 결론을 내려 시시비비를 가리기보다는 다양한 사고를 공유하고, 그 생각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공동체 미술을 통한 사회관계 회복 혹은 확장이 의미하는 바는 구성원 사이 반목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각자 삶의 태도에서 비롯된 생각의 차이를 수용하는 조건을 찾는 것이다. 특별히, 연구자가 수행한 공동체 미술 실천에서 구성원이 한 장소에 모여 자기 언어를 통해 각자의 생각을 공유한 경험은 그 관계 회복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공동체 미술의 공유경험은 구성원이 타인과 소통하는 방법을 구상하고, 삶의 변화를 위한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사고를 시작하는 계기인 것이다.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사회변화가 거대 담론이나 권위를 가진 집단이 아닌, 공동체 구성원의 주체적 의지와 개별적 사고를 교류하는 과정에서 시작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개체화된 사회에서 공동체 구성원의 참여를 끌어내는 공동체 미술 방법론을 제시하고, 공동체 미술을 통한 사회 참여의 의의가 점진적인 과정을 통해 사회관계를 회복, 확장하고, 궁극적으로, 사회변화를 추동하는 것에 있음을 논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79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6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