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Competency, Practical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of Professional Engineers in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나태희

Advisor
나승일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술사공학기초능력실무능력직무수행Professional engineerEngineer basic comptencyPractical competencyJob performance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2021.8. 나승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practical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of professional engineer in
Korea.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detailed research objectives
were established. First, it investigates professional engineer's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practical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Second, it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practical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ird, i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practical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of professional engineer.
The population is all professional engineers qualified a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law, and a total of 53,318 people were set. The sample size was set to 420 people, and
the sampling was centered on the item due to personal information problems. The
research goal was to collect data of at least 35 people for each item, and eight items
were randomly extracted to include at least two non-licensing items without
duplicating the duty field, except for minor ite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As survey tool, the questionnaire was used which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practical competency, job performance, job importanc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engineer. Among the survey tools, the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were developed based on the graduate attribute, practical
competency based on professional competency, job performance and job importance
based on Professional Engineer Act. The measurement tool was required to respond to
whether it is high or low based on the level required as a professional engineer in the
fiel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s an e-mail survey from April 30, and with the
cooperation of KPEA. The e-mails were sended as in online along with requests for
cooperation. Of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420 copies were collected, and 411 of
the surveys were analyzed, except for nine surveys that did not fall under the sample
range of eight representative job-performing categori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PSS 26.0 for Windows program,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tergroup difference analysis(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effect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p-value) is set
at 0.05.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level was slightly higher at about 3.83, and 9.98% of respondents were somewhat
lower. The average the practical competency level was about 3.83, slightly higher, and
9.00% of respondents were somewhat lower. The average job performance level was
slightly higher at about 3.37, while 30.90% of respondents were somewhat lower. The
importance of each job was 3.00 or higher, and all 16 jobs were more important than
basic jobs, while the test-driving tasks of architectural structures, geological and
ground and landscaping engineers were less important than basic job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and practical
competency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career.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job performance level for 11 of the 16 jobs according to
the item. Third, the professional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and practical
competency are highly static correlations (r=831, p<.001) was shown. Job performance
is highly static correlated with engineering basic competency(r=.567, p<.001) and
practical competency(r=.579, p<.001). In addition, when career influences are
controlled,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has a direct effect on practical competency(β
=846, p<.001) and job performance(β=.640, p<.001). And, practical competency also
has a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β=.628, p<.001). At last,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has an in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mediated by practical
competency(β=.322, p<.001).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engineer in the field have a
slightly higher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and practical competency overall
in terms of GA and PC by IEA, which are internationally linked to professional engineer
qualification. But one in 10 professional engineeer has somewhat lower engineering
basic and practical competency. In addition, professional engineeers perform somewhat
higher levels of 16 duties on the site than are generally required, while three out of 10
professional engineeers perform somewhat lower levels of duties. Second,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and practical competency did not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requirements of the item, application qualification, and care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career.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level of each item among
the 16 jobs, which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legal basis for utilization provided by
the relevant business laws of the competent department. Third,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has a direct effect on practical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Practical
competency also has a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has an in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mediated by practical
competenc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on job
performance are similar.
Based on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e study,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of professional engineer,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first, and to consider introducing basic tests that strengthen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and test them in the current standards. Second, the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and practical competency of professional engineers,
which are divided around the IEA's Professional Competency, need to be examined
more closely. Third, if the current examination standards are considered to reflect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for 16 tasks of each item, more
field-oriented tests can be made. Fourth, in subsequent studies, when measuring the
level of performance of a professional engineer's job, it needs to be done more strictly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s in duties required according to items, positions,
affiliated agencies, etc.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세부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 수준을 구명한다. 둘째, 기술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 수준의 차이를 구명한다. 셋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한다.
모집단은 모든 기술사로서 2021년 1월 기준 84개 종목의 약 53,318명이다. 표본크기는 420명으로 설정하였으며, 표집은 개인정보 문제로 인하여 종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종목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연구목표 상 종목별 최소 35명 이상의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으며,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수 직무분야 및 종목을 제외하고, 중직무분야가 중복되지 않고 비면허적 성격의 종목이 최소 2개 이상 포함되도록 8개 종목을 무작위 추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가 이용되었는데, 설문지는 기술사의 직무수행, 직무중요도, 공학기초능력 및 실무능력 측정도구와 일반적 특성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공학기초능력 측정도구는 공학교육인증제의 학습성과를 토대로 실무능력 측정도구는 IEA의 Professional Competency를 토대로 개발되었으며, 직무수행 및 직무중요도 측정도구는 기술사법에 명시된 16가지 직무를 토대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초안에 대하여 관련 전문가 3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토받고, 기술사 3명에게 안면 타당도를 검토받았으며, 표본에 포함되지 않은 종목 기술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자료수집은 4월 30일부터 6월 10일까지 한국기술사회의 협조를 받아 이메일 조사로 실시되었으며, 온라인 설문링크를 3회에 걸쳐 발송하였다. 총 3,582명의 기술사에게 배부된 설문지 중 표본크기인 420부가 회수되어 자료수집을 종료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첫 번째 문항인 대표적으로 직무수행하는 종목이 선정된 8개 종목에 해당하지 않은 9개의 설문을 제외하고 411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분석, 집단간 차이분석(ANOVA),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p-value)은 0.05이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사의 평균 공학기초능력 수준은 약 3.83으로 약간 높은 수준이며, 응답자 중 9.98%는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기술사의 평균 실무능력 수준은 약 3.83으로 약간 높은 수준이며, 응답자 중 9.00%는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기술사의 평균 직무수행 수준은 약 3.37로 약간 높은 수준이며, 응답자 중 30.90%는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직무별로는 기술판단, 기술자문에 대한 수행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연구, 시험, 시공, 시험운전에 대한 수행 수준이 다소 낮았다. 직무별 중요도는 모두 3.00 이상으로 16개 직무 모두 기본직무보다 중요한 수준이나, 건축구조, 지질및지반 및 조경 기술사의 시험운전 직무는 기본직무보다 중요하지 않은 수준이었다. 둘째, 공학기초능력 수준은 종목, 응시자격 요건, 실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실무능력 수준은 종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수행 수준은 실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경력이 많을수록 수행 수준이 높았다. 또한 직무수행 수준은 종목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11가지 직무에 대한 종목별 수행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은 실무능력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r=.831, p<.001), 직무수행과 높은 정적 상관(r=.567, p<.001)을 보였다. 또한 실무능력은 직무수행과 높은 정적 상관(r=.579, p<.001)을 보였다. 공학기초능력은 실무능력(β=.846, p<.001)에 직무수행(β=.640, p<.001)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실무능력도 직무수행(β=.628, p<.001)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직무수행 간의 관계에서 실무경력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고, 공학기초능력은 실무능력을 매개로 직무수행에 간접적인 영향(β=.323, p<.001)을 미친다.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사들은 현행 검정기준에 따라 자격을 취득하여 대체로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것에 비하여 약간 높은 수준의 공학기초능력과 실무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술사 10명 중 1명은 다소 낮은 수준의 공학기초능력과 실무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현장에서 기술사들의 16가지 직무에 대한 수행 수준은 대체로 요구되는 것에 비하여 다소 높은 수준이나, 기술사 10명 중 3명은 기술사들은 다소 낮은 수준의 직무수행 수행을 보인다. 기술사 자격 종목별로 기술사법의 16가지 직무에 대한 중요도에는 차이가 있으며, 일부 종목에게는 16가지 직무 모두가 기본직무는 아닐 수 있으나 전체 기술사를 통틀어 16가지 직무는 모두 기본직무로 볼 수 있다. 둘째, 기술사의 일반적 특성 중 종목과 응시자격 요건에 따라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 수준에는 차이가 없고 실무경력에 따라 직무수행 수준에는 차이가 있으며 16개 직무 중 11개의 직무별 수행수준은 종목에 따라 차이가 있다. 셋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은 실무능력과 직무수행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실무능력도 직무수행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공학기초능력은 실무능력을 매개로 직무수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수준이 높아지면 실무능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직무수행 수준 역시 향상될 수 있다.
이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사의 직무수행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공학기초능력에 주목해야하며, 현행 검정기준에서 공학기초능력을 강화하고 이를 검정하는 기본시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IEA의 Professional Competency를 중심으로 구분된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과 실무능력에 대하여 보다 엄밀히 검토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술사법의 16가지 직무에 대한 종목별 중요도 및 수행 수준의 차이를 반영하여 현행 출제기준 개선을 검토한다면 보다 현장 중심의 검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후속 연구에서는 기술사의 직무수행 수준을 측정할 때, 종목, 직급, 직위, 소속기관 등에 따라 요구되는 직무의 차이를 고려하여 보다 엄밀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83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9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