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patial Distribution of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 Subtypes Reveals Its Clinical and Prognostic Roles in Advanced Gastric Cancer : 진행성 위암에서 다중면역화학염색을 통해 판별된 골수유래 면역억제세포의 공간적 분포와 아형에 따른 임상적 의미 및 예후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영훈

Advisor
강경훈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advanced gastric cancertumor microenvironmentmultiplex immunohistochemistryprognosisimmune system골수유래면역억제세포진행성 위암종양미세환경다중면역화학염색법예후면역체계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1.8. 강경훈.
Abstract
Introduction: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MDSCs) are heterogenous population of immature myeloid cells that are found in path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cancer. These cells are renowned to play a vital role with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TME), but information about their distribution and impact on clinical features are not reported in gastric cancer (GC).
Materials and methods: A respective study included 59 patients with advanced GC. Tissue microarray and multiplex immunohistochemistry was used to assess the immune cell components of the TME which includes subtypes of MDSC and T cells.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prognosis were correlated with these immune cells.
Results: PMN-MDSC was most abundant followed by M-MDSC. MSS/EBV-negative GCs were T cell low even when MDSC were high unlike EBV-positive and MSI-high GCs. PD-L1 expression was more frequent in M-MDSC. All MDSC subsets were located close to tumor cells as was CD8+ T cells
Conclusion: MDSCs resides in a distinct niche within the TME of GC. These features pose MDSC as a potential target for improved treatment.
Keyword: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 advanced gastric cancer, tumor microenvironment, multiplex immunohistochemistry, prognosis, immune system
서론: 골수 유래 억제 세포(MDSC)는 다양한 세포로 구성된 미분화된 골수성세포로 암을 비롯한 질병상태에서 관찰할 수 있다. MDSC는 암 미세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진행서 위암에서 MDSC의 구성과 임상적 특성과의 유의성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방법: 59명의 진행성 위암조직에서 채취한 검체가 사용되었다 Tissue microarray와 multiplex immunohistochemistry가 MDSC와 T 세포의 아형을 분석하는데 이용되었다. 임상적 특성 및 예후와의 관련성에 분석하였다.
결과: MDSC 중 PMN-MDSC가 가장 풍부하였으며 M-MDSC가 그 뒤를 이었다. CIMP-음성 위암은 MDSC가 풍부한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T 세포의 밀도나 낮은 반면 CIMP-양성 위암은 MDSC와 T세포 양쪽 모두 높게 나타났다. PD-L1 발현은 MDSC 중에서는 M-MDSC가 PD-1 발현은 T 세포 중에서 CD8양성 T세포에서 높게 나타났다. 세가지 MDSC 모두 다른 골수성세포에 비해 암세포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었으며 T세포 중에서는 CD8양성 T세포가 가장 암세포와 가까웠다.
결론: 이 실험을 통해 MDSC가 진행성 위암에서 독특한 특성을 지니면서 특이한 위치에 자리매김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이 같은 MDSC만의 특성은 면역치료를 비롯한 암을 치료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96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6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