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ffect of Public Pension and Homeownership on Individual Pension Purchase : 공적연금과 주택소유가 개인연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소연

Advisor
홍백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ublic pension, homeownership, individual pension, old age preparation, double hurdle model, control function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22.2. 홍백의.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individual pensions, especially homeownership and public pension that can function as income sources in ones later life. Old age poverty is always a serious issue in Korea. About half of retired Koreans consider their main problem in old age is economic difficulties and furthermore, approximately 44% of Korean senior citizens are living under poverty as of 2019. Among several ways to address the financial difficulty, the pension system is one of the more stable and effective ways, which is designed to prevent the entire loss of income after retirement. Typically, it is considered a rule-of-thumb that a replacement rate of roughly 70% of gross income from a variety of pension sources, is adequate for retirement. However, the benefit level of the public pension system in Korea is far from satisfying level to support the stable old age life, as the replacement rate of public pension in Korea is only about 40 percent. There is a growing expectation that the gap between the ideal replacement rate and actual coverage should be filled by the individual. In such environment, it is natural that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pension system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As one of the main purposes of purchasing an individual pension is to secure future income, the purchase level of individual pension is largely affected by the other types of retirement preparations. And because the public pension is a major source of future income for many individuals, it can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an individual pension. There are two theories asser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ension and individual pension: life cycle theory and extended life cycle theory. According to life-cycle theory, public pension and individual pension have a substitutive relationship; public pension tends to crowd out individual pension purchases. However, these two also can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or a positive relationship, in regard to extended life cycle theory. Previous studies that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ension and savings, sh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Besides individual and public pension, homeownership also has a similar role in old age; it can provide income in old age and protects individuals from poverty. Homeownership can offer a financial benefit to older people as an income in cash and income in kind. House can provide direct cash to the owners, as one can realize the housing asset in the form of cash. It also can provide an array of non-cash benefits, as expenditure regarding residence can be dramatically reduced compared to that of the rent. In a later year when individuals have no consistent income, owning a house will be a great benefit for retirees. The pension and homeownership also are known to have two contradictory relationships; According to Kemenys trade-off theory explain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hile extended life cycle theory assumes a positive relationship.
The individual pension, public pension and homeownership not only just shares role as a future income; They all occur during one's working time, within the boundary of a limited budget. Which means, in other words, they have parallel growth over ones working years and eventually have a competing relation. Among other things, mandatory public pension contributions and home purchases are two cases of considerable and steady expenditure across ones life that need to be paid concurrently for a long time. The status of pension participation and housing can change ones level of budget constraint and thus can impact the level of individual pensions, which also requires a sizable and constant contribution.
Considering their parallel growth during the work period and functional similarity in later life, it will be rational to assume that individual pension participation can be altered by public pension and home purchases. Based on these discussion, the following three principal research questions was be investigated in this dissertation. 1) What is the effect of public pension on individual pension? Does the effect differ depending on ones pension status (uninsured, NPS, SOP) and pension contribution? 2) What is the effect of homeownership on individual pension? What is the effect of house prices on individual pensions? 3) What does the interaction of the two - public pension and housing — say?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NaSTaB) wave 2 to 12; the target data was the head of the household between 20 and 60, and the final sample contained 3,461 individual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individual pension participation status and individual pension purchase level,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public pension participation status, public pension contribution level, homeownership, house price, and interaction terms of public pension and housing. To address the censored data problem, double hurdle analysis was applied with a control function approach to deal with the endogeneity issue.
The result shows that public pension participation status and public pension participation level both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individual pension purchase. Public pension participation statu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 pension participation and purchase amount; Compared to the non-public pension participation group, NPS and SOP participants had a better chance and amount of individual pension purchase. The contribution amount also had a similar result, as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participation and purchase amount model.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two pension systems in Korea a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this relationship would be precautionary motives; low and decreasing public pension replacement rate, and unstable financial future of public pension might trigger precautionary motives.
Homeownership and house price had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pension participa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complementary, rather than substitutional. However, homeownership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individual pension purchase amount — this showed some possibility of a trade-off between pension and housing; the owner might purchase a smaller amount of individual pension than non-owners, because they can utilize the house as a pension at a later age, or because they might face greater financial constraint (such as housing mortgage) than non-owners.
The result of interaction effec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interaction effect between homeownership and public pension (both status and contribution) on individual pension participation, while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homeownership and public pension on the individual pension purchase amou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house price and public pension contribution or status on individual pension participation. Mean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house price and public pension on the individual pension purchase amount.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effect generally indicates there is a tendency for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mong public pension, housing and individual pension.
The results have a few primary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ousing in individuals old age and old age preparation, which have been somewhat excluded from the academic field. Although the importance of housing and homeownership in old age is widely accepted, study on housing in pension or old age preparation was largely understudied in the academic field compared to its importance. This study shed light on under-recognized housing in the pension field and reviewed the role of housing in individual pension purchases in Korea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revious literatures. Second,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surveyed the relationship of housing and pension at the micro level using Kemenys trade-off theory. Although original Kemenys theory explains the trade-off between pension and homeownership on the national level, its mechanism (need-induced or constraint-induced trade-off) can be applied to micro level as well. However, there were few attempts explaining the pension-homeownership relationship using Kemenys theory except for a handful of recent movements. This study can find its significance in that it seeks to convert macro-level discourse into micro-view. Third,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to the academic field that this is one of the very first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of public pension and housing on individual pension purchase. This study assumed that the result of individual pension purchase will be altered by how public pension and housing are arranged, and the findings show the meaningful interaction effect between public pension and housing on individual pension purchase.
The results have a few primary poli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s well: First, this study provides some significant information on individual pension purchases that could be important political preliminary data. For proper policy intervention, understanding the accurate situation on related features is of paramount importance; However, in terms of individual pension, comprehensive evidence of the actual situation was insufficient to this point. This study could be important baseline information that could be used in political settings. Second, there are needs to aid people in vulnerable groups to participate in individual pensions if they want to. The result foun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mong public pension, individual pension and housing which indicates that those with a better household economy tends to have a better outcome in an individual pension. This also indicates that less economically viable ones might have the risk to be excluded or not actively involved in the individual pension system. There is a need for policy-level intervention to those economically vulnerable ones, but those who has the will to participate in individual pension. Finally, the expanding role of the public sector will be also necessary. Expanding coverages of public pension and the increasing role of basic pension probably can work as solution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groups. Extending the pension credit policy to various other areas can be a way to expand coverages in more effective ways. Moreover, it will be also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partially strengthen the role of the Basic Pension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or vulnerable groups.
본 연구는 미래 노후 소득원이 될 수 있는 공적연금 및 주택소유 관련 변인들이 사적연금 가입 여부와 가입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노인 중 과반이 노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꼽았으며, 2019년도 기준 44%의 노인이 빈곤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한국 노인의 노후 소득과 빈곤 문제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이다. 이러한 노년의 경제적 문제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 중 하나로 공적연금이 꼽히는데, 통상적으로 연금의 소득대체율이 은퇴 전 임금의 70% 정도가 되면 이상적인 노후 소득 수준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한국의 공적연금은 소득대체율이 40% 정도에 불과해, 이상적인 소득대체율과 비교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오늘날 실질적 소득대체율과 이상적 소득대체율의 차이는 상당부분 개인의 책임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자연스럽게 개인연금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개인연금 구매의 주요 목적 중 하나가 부족한 노후 소득을 충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연금의 구매 수준은 다른 유형의 노후소득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공적연금이 개인연금 구매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공적연금은 많은 이들에게 중요한 노후소득의 원천이기 때문에, 개인연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이다. 실제로 공적연금과 개인연금의 관계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존재하는데, 둘 사이에는 공적연금이 사적연금을 구축하는 대체 관계와 (life-cycle theory),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상호보완적 관계 (extended life-cycle theory)가 모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택 소유 역시 연금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주택 소유는 노년기에 현금 소득과 현물 소득으로 금전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고, 빈곤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할 수 있다. 주택 자산은 현금 형태로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주택 소유자에게 직접 현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택을 소유할 경우 임대에 비해 주거 관련 지출이 상당부분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비현금성 혜택도 존재한다. 따라서 개인에게 일정한 소득이 없는 인생의 후반기에는, 주택을 소유하는 것이 은퇴자들에게 큰 혜택이 될 수 있다. 연금-주택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들도 둘의 관계는 대체관계 (Kemenys trade-off theory)와 보완관계 (extended life-cycle theory)가 모두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개인연금, 공적연금 및 주택 소유는 노후소득으로서의 역할만 공유하는 것은 아니다. 세 요인 모두 개인의 생애 노동기간 동안의 소득 범위 내에서 발생한다. 이는 연금과 주택구입은 경쟁관계에 놓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공적연금 기여금과 주택 구입 관련 비용은 상당 기간 동안 지불되어야 하며 생애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지출이 필요하다. 때문에 공적 연금 가입과 주택 소유 여부는 개인의 예산 제약 수준에 영향을 미쳐 개인연금 구입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은 논의들을 바탕으로 다음의 세 가지 주요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 번째, 공적연금이 개인연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공적연금 가입 형태와 공적연금 기여액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른가? 두 번째, 주택 소유가 개인연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또한 주택가격이 개인연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세 번째, 공적연금과 주택소유의 상호작용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질문에 대한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재정패널 2차~12차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20 - 60세의 가구주이며, 총 3,461명의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종속 변수는 개인연금 가입 여부와 개인연금 가입액이었고, 독립 변수는 공적연금 가입여부, 공적연금 가입액, 주택 소유, 주택 가격, 그리고 공적 연금과 주택의 상호작용이었다. 주요 분석 모델은 이중허들 모형과 통제함수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공적연금 가입 형태와 공적연금 기여액이 모두 개인연금 가입과 가입액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호보완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더 관대한 유형의 공적연금에 가입한 그룹과 더 많은 공적연금 기여액을 납부하는 그룹이 개인연금에 더 많이 가입하고, 가입액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가 나타난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예방적 동기일 것으로 추정된다. 낮은 공적연금 대체율과 공적연금의 불안정한 재정상태에 대한 심리적 불안이 예방적 동기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것은 공적연금과 개인연금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
주택 소유여부와 주택 가격 역시 개인연금 가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것은 둘 사이의 관계가 대체적이기보다는 상호보완적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주택 소유여부는 개인연금 가입액에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금과 주택소유 사이의 trade-off 관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주택 소유자는 주택을 노후에 연금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소유자보다 적은 금액의 개인연금을 구입하거나, 비소유자보다 더 큰 재정적 제약에 직면할 수 있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호작용 효과 분석 결과에 의하면 주택 소유와 공적 연금(가입형태, 기여액)은 개인연금 가입에는 긍정적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반면, 개인연금 가입액에 관해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가격과 공적 연금 (가입형태, 기여액)은 개인의 연금 가입에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개인연금 가입액에 대해서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대체적으로 상호작용 효과의 결과는 공적연금, 주택, 개인연금 사이에 상호보완적 경향이 있음이 확인됐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중요한 이론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학계에서 다소 배제되었던 개인의 노후 준비 측면에서의 주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노년기에 주택 소유의 중요성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복지나 노후 준비와 관련된 연구에서 주택에 대한 관심은 그 중요성에 비해 학계에서 크게 미흡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복지 분야에서 연구 비중이 낮았던 '주택'을 조명하고, 한국의 개인연금 구매에 있어 주택의 역할을 검토해 기존 문헌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Kemeny의 trade-off 이론을 이용하여 미시적 수준에서 주택과 연금의 관계를 조사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Kemeny의 이론은 대체로 국가 수준에서 연금과 주택 소유 사이의 trade-off를 설명하였지만, 미시적 수준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Kemeny의 이론을 이용하여 연금-주택소유의 미시적 관계를 설명하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거시적 수준의 담론을 미시적 시각으로 전환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공적연금과 주택이 개인연금 구매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조사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공적연금과 주택의 상호작용에 따라 개인연금 구매 결과가 달라질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연구결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개인연금에 대한 중요한 정치적 예비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정책적 함의를 지닌다. 정확한 정책 개입을 위해서는, 관련된 기능에 대한 적확한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에도, 개인연금에 대한 정확하고 종합적인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개인연금에 관하여 정책적 환경에서 사용될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인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개인연금에 가입하지 못하는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제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공적연금, 개인연금, 주택 간에 상호보완적 관계를 발견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경제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이 개별연금제도로부터 더 배제될 위험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 경제적으로 어렵지만 개인연금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사람들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의 정책적 노력을 통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공공부문의 역할 확대도 필요할 것이다. 연금 크레딧 확대를 통해 공적연금의 적용범위를 확대하고 사회적 약자나 취약계층을 위해 기초연금 역할을 증가시키는 노력은 계층 간 격차를 줄이는 해법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123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6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