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ssays on a Field Experiment on Consumer Choices and Public Responses to Covid-19 : 소비자 선택에 관한 현장 실험연구 및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경제주체의 대응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진욱

Advisor
최승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Limited attention, Field experiment, Beverage choice, Covid-19, Foot traffic, Retail sales, Private Tutoring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2022.2. 최승주.
Abstract
This thesis studies consumer choices in a beverage choice by conducting a field experiment and investigates public responses to the Korean governments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to Covid-19. The first chapter provides experimental evidence on consumers inattention in a beverage choice setting and estimates the degree of inattention under a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field experiment, the shelf placement of the beverage varied exogenously. The estimated consumers degree of inattention to the farthest position from eye height was around 20%. Displaying less (more) sugary beverages at eye height (the farthest position from eye height) increases (decreases) consumers demand by 24.8% (25.3%). The findings support the idea that the limited attention in beverage choice can be harnessed as a nudge policy to reduce consumers intake of sugar from sugar-sweetened beverages. The second chapter estimates the economic impact of South Koreas targeted responses to the large-scale covid-19 clusters in a highly concentrated business area (Guro) and a highly concentrated entertainment area (Itaewon) in Seoul. The main results are foot traffic and retail sales decreased only within a 300-meter radius of the cluster and recovered to their pre-outbreak level after four weeks in the case of the Guro cluster. However, the adverse economic impacts measured by foot traffic and retail sales of another outbreak of the covid-19 cluster in Itaewon were persistent. The results imply that the effects of less intense but more targeted covid-19 interventions can differ by underly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s whether there has been a heterogeneous change in private tutoring by socioeconomic status (SES) during covid-19 using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survey data.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ll SES groups showed a decrease in the usage rate of private tutoring. However, the lowest SES group showed a larger drop than other groups. Various empi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income variation and the heterogeneous initial usage status of private tutoring could be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 heterogeneous change.
본 논문은 현장 실험을 통해 소비자의 음료 선택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 코로나19에 대한 한국 정부의 비약물적 개입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반응을 연구한다. 첫 번째 장은 음료 선택 환경에서 소비자의 부주의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제공하고 이론적 틀에서 부주의 정도를 추정한다. 현장 실험에서 음료의 선반 위치가 외생적으로 변경되었다. 추정된 소비자의 눈높이에서 가장 먼 위치에 대한 부주의 정도는 약 20%로 나타났다. 눈높이 (눈높이에서 가장 먼 위치)에 설탕이 적게 (많이) 든 음료를 배치하면 소비자의 수요가 24.8% (25.3%) 증가 (감소)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음료 선택에 대한 제한된 관심이 설탕이 첨가된 음료에서 소비자의 설탕 섭취를 줄이기 위한 건강 정책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두 번째 장에서는 서울의 고도로 집중된 업무 지역 (구로구)과 고도로 집중된 유흥지역 (이태원)에서 코로나19 대규모 집단감염사태에 대한 한국의 집중적인 대응이 경제적 어떠한 영향이 미쳤는지를 확인한다. 주요 결과는 구로사태의 경우 유동인구 및 소매 판매가 반경 300m 이내에서만 감소하고 4주 후에 발병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지만 이태원 사태의 경우 유사한 패턴의 결과를 보였지만 경제적 악영향이 최소 6주까지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대응 시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암시한다. 3장에서는 사교육비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 기간 동안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사교육의 이질적인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본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모든 SES 집단에서 과외 이용률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가장 낮은 사회계층적 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더 큰 하락을 보였다. 다양한 실증적 증거에 따르면 소득변동과 이질적인 초기이용상황이 사교육의 이질적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131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4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