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What is K-Fashion from Foreign Perspectives? : 외국인의 관점에서 본 K-패션에 대한 고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한빈

Advisor
하지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K-Fashion, Korean fashion, Hallyu, Korean wave, foreign perceptio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2.2. 하지수.
Abstract
꾸준히 매니아 층 사이에서 두터운 팬 층을 이끌어 온 한류는 오늘날 K-팝을 대표하는 방탄소년단, 최근 선풍적 인기를 끈 드라마 오징어 게임, 비 영어권 영화로는 최초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수상한 기생충 등의 성공에 힘을 얻어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이러한 한국 문화에 대한 외국인들의 관심은 한류 스타들이 매체에서 착용하는 의상 뿐 아니라 한국인들이 평소 입는 복식 스타일에 대한 관심으로도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K-패션이라는 문화적 현상에 대한 높아진 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현상에 따라 한류의 일부인 K-패션이 외국인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들이 K-패션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다양한 측면으로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온오프라인상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모집한 외국인 46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집단 면접 방법을 사용하였다. 참가자들의 국적과 구사 가능한 언어를 중심으로 한 팀당 5명 이내로 구성된 13개의 팀으로 나누어 집단 면접을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의 집단 면접 참여 여부를 수집 시에 간단한 문화적 배경과 한류에 대한 관심도 등의 정보를 얻었고, 이를 고려해 참여자들을 1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코로나 상황 및 외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참가자들의 상황을 고려하여 모든 화상 면접은 Zoom 프로그램을 이용해 비 대면으로 진행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사전 동의 하에 모든 내용을 녹화하였다. 집단 면접은 K-패션에 대한 경험과 관련된 10개 질문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졌으며, 면접 시간으로는 한 집단 당 약 1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란 개인의 경험을 통해 현상을 분석하는 연구 방법으로, 본 연구의 탐구 주제인 K-패션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 또한 그들의 경험을 토대로 형성된다는 특징이 있어 적합한 연구 방법으로 판단하였다. 구체적 방법으로는 녹화된 모든 면접 내용을 전사하여 원 자료를 반복해 읽으며 의미 단위(meaning unit)를 묶고, 이를 하위 범주(subordinate theme), 상위 범주(superordinate theme), 그리고 분류(category)로 범주화 해 나가는 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K-패션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은 '역동적이고 다양함'과 '양면적이고 모호함'의 두 가지 분류로 나타났다. 첫 째, K-패션의 '역동적이고 다양한' 특성은 외부 환경적 특성과 내재적 스타일의 특성으로 구성된 상위 범주들을 기반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인터뷰에서 도출된 결과에 따르면, K-패션은 K-팝, K-드라마, 소셜 미디어 등의 미디어를 통해 외국인들에게 알려지고 있으며, 그들의 인식 형성에 있어 한국의 발전된 섬유 의류 산업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들은 K-패션에는 다양한 색상과 스타일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 분류는 K-패션의 '양면적이고 모호한' 특성에 대한 것으로, 이는 불확실성으로 인해 명확하게 정의할 수 없고 모호하게 인식 되고 있는 K-패션의 특성을 반영한다. 참가자들에 따르면, 외국인들에게 K-패션을 인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옷 자체 뿐 아닌 입은 이의 성격과 태도 등이 모두 반영된 '전체적인 모습'이였다. 또한 한국 사회의 보수적이며 예의를 차리는 습성, 집단주의와 동질성을 중요시하는 특성은 한국인들의 옷차림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세계화로 인한 국가적 정체성의 상실 역시 K-패션에서 나타나고 있었는데, 이는 외국인들이 K-패션을 인식하는 방식에 있어 브랜드의 국적은 더이상 중요하지 않다는 사실로서 드러났다. 그리고 이는 K-패션 브랜드들이 세계적 흐름에 발 맞춰 세계화되어가고 있다는 점에서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외국인들의 K-패션에 대한 인식은 고정되지 않고 언제든 변할 수 있다는 특성이 드러났다. 외국인들은 한국의 사회적 분위기가 국제화에 발맞춰 계속해 변화해 나가고 있다는 점, 그리고 한국의 젊은 세대들을 중심으로 개인주의 성향이 점차 짙어지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한국의 복식 문화 내에서 전통성을 탈피한 새롭고 다양한 스타일의 수용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면접을 통해 K-Fashion에 대한 외국인들의 인식 형성에는 수용자의 문화적 배경과 개인적 경험과 기호가 반영된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 외에도 면접을 통해 외국인이 K-패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경로가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복잡하고 어려운 구매 절차는 외국인들의 K-패션 상품에 대한 소비를 막는 방해 요소로서 작용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높아지고 있는 K-패션에 대한 국제적 수요에 발 맞추어, 현 시점에서 한국 의류 산업이 앞으로 더욱 세계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외국인들이 K-패션을 접하는 경로는 더 이상 한국인을 통한 것으로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현 시점에서 K-패션은 전통적으로 전파 경로로서 작용했던 한국 미디어 컨텐츠 뿐 아니라 외국인에 의해 다른 외국인에게 전파되고 있다. 그리고 높아진 K-패션 제품에 대한 해외 소비자들의 수요에 따라, 해외 판매처를 중심으로 K-패션 상표가 남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렇게 판매되고 있는 상품들은 정식 한국 제품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쉬운 접근성 덕분에 많은 해외 소비자들에 의해 소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패션 시장의 보다 발 빠른 해외 진출과 해외 시장 선점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본 연구는 외국인의 관점에서 K-패션을 바라보고, 그들에 의해 인지되고 있는 K-패션에 대한 폭넓고 제고된 이해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세계적으로 한국 문화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K-패션 산업이 더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 시점에서, K-패션이 외국인들에 의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K-패션이라는 용어를 정의하기 보다는 넓은 의미에서 K-패션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모집된 면접 대상자의 다양성 부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가와 배경을 가진 외국인 참여자들을 연구 대상자로 포함하여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분석까지 수행한다면 본 연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풍부하고 흥미로운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foreigners perceive K-Fashion nowadays, of which a worldwide surge of popularity of Korean culture is currently present. Although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conducted related to K-Fashion, the scopes of the research were limited to examining policies an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K-Fashion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Although there was an attempt to explore K- Fashion from foreigners perspectives, it was insufficient as it focused on reviewing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K-Fashion. In this sense,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oreigners perception of K-Fashion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foreign participants, who are the actual consumers of K-Fash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K-Fashion is from foreign perspectives? Second, what kinds of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K-Fashion ha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words and adjectives used to describe the understanding of K-Fashion, and the traits of K-Fashion that differentiate it from other fashion styles were thoroughly scrutinized.
To conduct the research, semi-structured group interviews with 46 foreigners were conducted.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13 groups, considering dem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their nationality and ethnicity.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via Zoom application due to the pandemic situation and the interviews were video-recorded for a further breakdown of the collected data. During the interview, ten pre-set questions on their K-Fashion-related experience.
In this study,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which is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ed for exploring one's lived experiences on certain phenomena. Since the study focused on the perception that foreigners have formed and maintained through their experience with K-Fashion, the method was considered to be proper to use. All recorde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for analyzing the data, then, the researcher followed the steps of bracketing meaning units, grouping and categorizing units, and presenting superordinate and subordinate themes.

As a result,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or openers, the foreigners' perception of K-Fashion was categorized into two: dynamic and diverse, and double-sided and ambiguous. The 'dynamic and diverse' nature of K-Fashion was explained based on the superordinate themes consisting of the extrinsic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According to the foreign participants, K-Fashion was recognized through the media including K-Pop, K-Drama, and social media. Also, the advanced textiles and apparel industry of Korea affected the formation of their perception of Korean fashion. Over and above, K-Fashion was regarded to have different colors and styles, which makes it universal.

The other category was for the 'double-sided and ambiguous' nature of K-Fashion, which reflected how foreign audiences perceive K-Fashion to be not definitely definable and hard to explain because of its uncertain traits. This was because, in K-Fashion, not a single piece of clothing in a certain style but the 'whole-look' makes K-Fashion complete. Also, the conservative and courteous characteristics and the tendency for being collectivist and conform as a group exist within Korean society, which is demonstrated in the way people dress as well in Korea. Furthermore, due to globalization, the national identity has been lost in K-Fashion; the borderline between the domestic and foreign brands in K-Fashion has become narrower in terms of how foreigners perceive K-Fashion, and K-Fashion brands are becoming more and more globalized. The idea of K-Fashion was also recognized to be non-fixed and changeable at any time and in any setting for foreigners. There have been not only the changes in the social atmosphere in Korea to be more acceptable for new forms of styles coming from other cultures, and the younger generations becoming more individualistic than collectivistic. Further, the influence of one's cultural background and personal experience were revealed to be the contributor to the formation of perception regarding K-Fashion.
In addition to the findings previously mentioned, there was a lack of shopping options for foreigners when purchasing K-Fashion products. The difficulties that foreigners face in purchasing K-Fashion items were also claimed. The mismatch of supply and demands in K-Fashion is something that the producers and providers of K-Fashion should consider, to make Korean fashion more global.
Also, according to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K-Fashion was no longer confined to being introduced by Koreans. Instead, K-Fashion is now spreading from foreign introducers to other foreigners. Moreover, products labeled as K-Fashion are sold and purchased by foreigners, as it is an easier option for overseas consumers to access K-Fashion products.

Overall, this research aimed to contribute to the extensive and enhanced understanding of K-Fashion from foreigners perspectives. As the popularity of Korean culture in the world has been rising, there has been elevated importanc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Fashion, which may suggest paths for the K-Fashion industry to go global.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lack of diversity in the recruited interview participants. Thus, it is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ers to recruit more diverse groups of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different backgrounds and to conduct demographical analysis. Also, it is crucial to acknowledge the fact that this study is not about defining the term K-Fashion, but it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K-Fashion from foreigners viewpoints with an open mind.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288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8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