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령자 관점의 포용적 정주환경과 주관적 안녕 : Inclusive Urban Settl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Older Peopl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새롬

Advisor
박인권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고령자정주환경주관적 안녕공간적 포용성사회적 포용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2.2. 박인권.
Abstract
Korea is currently experiencing a rapid aging process.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society is greatly increasing, and old age in individuals' life cycles is becoming longer. Complex difficulties such as deterioration of health, financial difficulties, and loss of social roles encountered in old age causes of deterioration of quality of lif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people in Korea is reported to be quite low. In addition, the number of older people living in cities is rapidly increasing. In an urban context, however, factors such as low housing stability, unsafe environments, and exclusive social interactions may exacerbate older people's alienation.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urban environment to support the older adults, but it is not integrated into actual urban planning and policies.
In light of this situation, this study employs the concept of 'Urban Inclusivity' to discuss the environment that can promot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dults. This concept emphasizes that all citizens should not be excluded from a variety of resources, opportunities and rights, and it provide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reducing exclusion at the municipal level. Because that the problems of older people extend beyond financial constraints to social and spatial constraints, as well a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th, they need to be addressed in multidimensional and integrated way.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of Inclusive Urban Settl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lder adults. This focuses on the settlement rather than the city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peoples whose social and spatial scope is limited, and it establishes the construct by incorporating discussions of Urban Inclusivity and older peoples exclusion. This concept consists of five dimensions: participation, interdependence in social aspect and security, openness, and accessibility in spatial aspect, and divided into two layers: micro level and region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ettlement experiences of older people living in Seoul,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ttlement characteristics and older peoples subjective well-being, with a focus on the inclusivity. The mixed methods approach is used, which includes a qualitative study of individual interviews with ten seniors and a quantitativ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s and Multi level models using data from the 2018 Seoul Elderly Survey.
The findings of SEM analysis show that the multi-dimension of inclusivity at micro-level settlements obviously contributes to older peoples subjective well-be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age and etc. have less impact, whereas the 'security' captured as decent housing and a stable housing tenure, is discovered to be a crucial dimension. In addition, open spaces such as parks and streets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well-being of older people than senior facilities, implying that provision of open spaces that encourage older people to get out and spend more time outside is crucial. It is also confirmed that older peoples informal participation and network in their communit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subjective well-being. Because of their limited mobility and social networks, low-income and over-75-year-old groups benefit more from community based participation and interdependence.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clusive spaces encourage active interactions with neighbors as well as the use of community facilities. Furthermore, because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engagement and interdependence, the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is gradually amplified among low-income and over-75-year-old groups. These findings demonstrate how spatial inclusion is extended to subjective well-being mediated by community participation and interdepend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level model analysis, it is discovered that some of settlement environment variables at regional level have significant contextual effect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people. It is also founded that the increases in cultural activities, recognition to seniors, home welfare services, welfare budgets, and park area ratio measured at regional level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older peoples well-being. On the other hand, increases in housing burden, residential separation between generations, distance to senior facilities, and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are all associated with decreases in well-being of older people. In addition, some regional level variables is discovered to have moderation effect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individual housing conditions, i.e., decent housing and residence period. The direction of the effect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al factors. The size of welfare budget and proximity to senior facilities measuring at regional level have a greater positive effect for older people, who live in less adequate housing, while the level of cultural activities and residential integration have a negative effect to them. The positive effect of long-term residence on well-being is strengthened in districts with a high level of recognition for older people and low housing affordability, but it is disappearing in districts in the opposite. These results shows that the inclusivity of the spatial and social environment at the regional level can contribute to the well-being of older people, suggesting that a multi-layered approach consider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individual and regional situation is requir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is. First, because housing security have multiple effects on improving participation, interdependence and well-being, it is crucial to develop a comprehensive housing support system that allows older people to live in affordable and decent housing for as long as they want while remaining in the neighborhood where they have lived. In addition, the welfare policies, which are mainly implemented to provide senior facilities or temporary projects in limited area, need to be implemented alongside overall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that improves the overall neighborhood environment. To build the informal support system for community care and aging in place for older people, it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sufficient and easily accessible places shared by community such as open spaces and community facilities, which have been shown to promote interdependence among local residents.
This study attempts to fill the gaps in existing research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inclusivity with a focus on older people, and it presents empirical evidence for settlement features that promote well-being of older people. The multi-dimensional and mutual associations is found between settlement inclusivi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dults. It is also found that this may have a greater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or may alleviate the decline in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with fewer personal resources.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empirical evidence presented in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and basis for urban planning and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현재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와 높은 도시화율로 인해 도시에서 거주하는 고령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의 주관적 안녕은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확인된다. 노년기에 직면하는 건강 저하, 경제적 문제, 사회적 역할 상실 등 복합적인 어려움은 삶의 질 저하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되고 있다. 또한 도시환경에서 나타나는 낮은 주거 안정성, 위험한 환경, 배타적인 사회관계 등의 특성은 고령자의 소외와 문제를 더욱 심화할 수 있다. 이에 고령자의 삶을 지원하는 도시환경 조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실제 도시계획이나 정책과의 연계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안녕한 노후를 뒷받침할 수 있는 환경을 논의하기 위해 포용성 개념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도시민 누구나 다양한 자원과 기회를 누릴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도시 차원에서 배제를 완화하기 위한 포괄적인 대응을 제시한다는 유용성이 있다. 고령자의 문제가 경제적 결핍을 넘어 공간적, 사회적 제약과 심리적, 정서적인 건강에까지 관련되는 상황은 다차원적, 통합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뜻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 관점의 포용적 정주환경개념을 제안한다. 이는 삶의 영역이 축소되는 고령자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포용성의 범주를 정주환경으로 좁히고 있으며, 도시 포용성 및 고령자 배제 논의를 통합하여 구성 차원과 층위를 정립하고 있다. 정주환경 포용성은 사회적 측면에서 참여, 상호의존, 공간적 측면에서 안정성, 개방성, 접근성의 다섯 차원, 그리고미시 및 지역수준의 두 층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포용성 개념을 통해 서울시 고령자가 경험하는 정주환경의 양상을 파악하고, 정주환경 특성과 고령자 주관적 안녕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고령자를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시행하는 정성적 분석과 2018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를 기초로 구조방정식 및 다층 모형의 분석을 시행하는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한다.
서울시 고령자의 경험에 근거하여 정주환경 포용성의 의미를 탐색한 결과, 주거지 인근의 정주환경은 그들의 안녕감에 상당히 관련된 것으로 드러난다. 면담 참여자들은 살아온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정주하면서 이웃과 상호의존적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외로움과 고립감을 완화하고 만족감을 높이는 통로로 묘사하고 있다. 또한 신체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집을 벗어나 외부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하면서 안녕감을 느끼지만 각종 제약으로 인해서 선택할 수 있는 공간의 기회가 상당히 축소된 것으로 드러났다.
실증 분석 결과, 미시수준 정주환경 포용성의 구성 차원은 분명하게 고령자 주관적 안녕 진작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소득, 연령 등 개인적 특성보다 오히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특히 적절한 주택과 점유 안정 등으로 포착한 주거 안정성이 핵심적 차원으로 발견된다. 또한 공원, 가로 등의 공지는 복지관 등 여가시설보다 고령자 안녕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집 가까이에서 여유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개방된 공간을 풍부하게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임을 뜻한다. 사회적 측면에서 공식적인 참여 및 공적 지원과 별개로 지역사회 내에서 비공식적 참여와 이웃 관계망이 고령자 안녕감 증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주목할 것은 포용적인 주거근린 공간은 활동적 참여와 이웃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기제로 확인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저소득, 후기 고령자의 경우 참여와 상호의존 사이의 선순환을 통해 점차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이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의 포용성이 지역사회 참여와 관계망을 증진하여 안녕까지 확대되는 과정을 설명하며, 신체·경제적 자원이 취약한 집단에게 그 영향력이 더욱 큼을 보여준다.
또한 지역수준 정주환경의 포용성 변인 중 일부는 고령자의 주관적 안녕에 유의한 맥락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구체적으로 자치구 수준의 문화활동 참여, 고령자 인정, 재가복지서비스, 복지예산 규모, 공원 조성률의 증가는 고령자의 안녕감 증대와 유의한 관련성이 확인된다. 반대로 지역수준 주거비부담, 세대 간 거주지 분리, 노인여가복지시설 거리, 교통사고 위험의 증가는 안녕감 저하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다. 나아가 지역수준 변인 중 일부는 개인의 주거 조건, 곧 주택상태, 거주기간과 주관적 안녕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작동 방향은 변인에 따라 다르게 확인되는데 자치구의 복지예산 규모, 노인여가복지시설 근접성 등은 부적절한 주택에 거주하는 고령자에게 긍정적 효과가 더 크지만, 세대 간 주거지 통합, 문화활동 참여 수준은 적절한 주택에 거주할 때만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한편 고령자 인정 수준이 높고 주거비부담이 낮은 자치구에서는 장기거주가 안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강화되지만, 반대의 경우 장기거주의 긍정적 영향이 사라지고 있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지역 차원에서 개인 및 지역적 조건을 함께 고려하는 다층적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우선 주거 안정성은 고령자의 참여 활동, 상호의존, 주관적 안녕 등에 다양한 효과가 확인되므로, 기존 생활권역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주거비부담 없이 오래 거주할 수 있는 종합적인 주거 안정 지원방안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개별적 복지시설 공급이나 한시적 사업 위주로 시행되는 현재 정책은 범위를 넓혀서 전반적인 근린환경을 개선하는 도시계획 및 관리 체계하에서 시행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고령자의 지역사회 돌봄, 지역사회 계속 거주를 뒷받침할 수 있는 비공식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 간 상호의존 제고 효과가 확인된 바 있는 지역사회가 공유하는 장소, 곧 공지, 지역시설 등을 충분히 공급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연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령자에 집중한 포용성의 구성 개념을 정립하여 기존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 이를 준거 틀로 하여 주관적 안녕에 기여하는 정주환경 특성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정주환경 포용성의 차원과 층위는 다면적일 뿐 아니라 복합적으로 고령자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으며, 특히 개인적 자원이 취약한 고령자의 주관적 안녕에 더 큰 영향을 미치거나 이들의 안녕감 저하를 완화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이론적 틀과 실증적 증거는 안녕한 노후를 제고하기 위한 도시계획 및 정책을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00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35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