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교사 정체성의 '불연속성'에 대한 이해 : On the Meaning of Discontinuity of Teacher Identity : Between narrative self-understanding and episodic self-understanding
서사적 자기이해와 일화적 자기이해 사이에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남수민

Advisor
곽덕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교사 정체성불연속성자기 감각자기 경험내적 대화서사적 자기이해일화적 자기이해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2.2. 곽덕주.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들의 자기이해와 정체성 형성 양상에 대한 제 담론들이 일견 상충되어 보이는 두 가지 부류의 현상에 대한 묘사를 하고 있음에서 출발한다. 그 한 부류는 교사의 자기이해와 정체성은 상황과 맥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변화 한다는 것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드러내고자 한다면, 다른 한 부류는 이러한 변화하는 자기이해들을 교사들은 하나로 통합하고자 한다는 실존적 맥락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연구는 이것이 각각 강조하는 변화 내지는 분절과 통합 사이에서 어느 한 편이 더 정확한 기술이라거나 바람직한 윤리 임을 강조하기보다 교사 주체가 이 양 측면 사이에서 긴장을 경험하는 존재임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자는 교사의 자기이해 및 정체성의 시간적 지속의 문제를 다루는 불연속성에 대하여, 그것의 통시성과 지속성을 드러내는 약한 주장으로서 서사적 자기이해 모델을 제시하는 사회학자 마가렛 아처의 이론과, 강한 주장으로서 일화적 자기이해 모델을 제시하는 분석 철학자 갈렌 스트로슨의 이론을 각각 탐색한다.
이후에 본 연구는, 서사적 자기이해와 일화적 자기이해가 한 주체 안에서 공존하며 형성하는 긴장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서술한다. 이를 위해 자기의 불연속과 분절성에 대하여 강한 주장을 개진하는 스트로슨이 서사주의자들과의 논쟁 가운데 자기에 대한 통합적 이해가 도덕적 윤리적으로 나은 존재가 되는데 필요조건이 아님을 어떻게 주장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그러나 동시에 이와 같은 스트로슨의 강한 주장에도 일화적 자기가 여전히 총체적 자기와의 연결 가운데 존재하고 있음을 부정하지 못하며 오히려 이를 지속적으로 의식하고 있음이 드러나는데, 이것이 자기이해 및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주체로 하여금 긴장을 경험하게 한다고 본 연구는 분석한다.
이후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이해 및 정체성의 불연속성 문제에서 주체가 경험하는 긴장이 가지는 의의를, 그것이 불러일으키는 망설임에서 찾는다. 본 연구는, 불연속성과 긴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확정적이고 수렴적 자기이해에 의거한 자기다움에 균열을 가져옴으로써 어떠한 행위 및 실천에 앞서 교사를 망설이게 한다고 보는데, 이 망설임이 교사로 하여금 더욱 성찰적이 되도록 하며, 공적 주체가 되도록 이끈다고 본 연구는 주장한다.
Discourse on the formation of teachers self-understanding and identity tend to describe two different — and seemingly contradictory —aspects of self-experience. One aspect concerns the transformation of self-understanding in response to the educational contexts teachers face. In contrast, another aspect focuses on the integration of such various versions of self, which teachers strive to achieve and so constitutes the existential context of teaching. This paper supports neither as more precise (as a description) or apt (as an ethics); rather,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philosophical account of teachers experience as a tension between the two aspects.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problem of discontinuity of self-understanding and identity regarding its temporal persistence. Two opposing philosophical views are compared in length, with the sociologist Margaret Archer advocating a narrative model of self-understanding, which emphasizes the diachronicity and continuity of self-understanding. While this consists a weak view on the matter, the strong view is given by the analytic philosopher Galen Strawson, who advocates for an episodic model in which the self is described as discontinuous.
This paper then examines the tension between the two coexisting models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a scrutiny of Strawsonian self. While Strawson argues that an integrated self-understanding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in becoming an ethically better person, it will be shown that this strong view still fails to sufficiently articulate, or altogether renounce, the special relevance to a holistic conception of self. This ambivalence, this paper claims, is the reason for the tension during the formation of self-understanding and identity.
The paper lastly analyzes the experience of hesitation arising from the tension. Hesitation, it is argued, confers educational significance to the phenomenon of tension as it opens the space for self-reflection and encourages the teachers to become a public subjec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02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5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