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후변화가 지역 과수생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Identifying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Regional Fruit Produc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진동영

Advisor
김의준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후변화과수생산공간계량모형사회계정행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지역정보학전공), 2022.2. 김의준.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향후 기후변화로 인해 예상되는 지역별 사과 및 배 생산량의 변화와 이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지역별 과수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특히 기상요인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과수 생산함수를 추정하였다. 시군구 지역 단위의 사과 및 배 생산량 자료와 기상, 토양 및 지역 요인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간계량모형을 적용하였다. 이 중 공간자기회귀모형을 분석에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선정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2040년의 지역별 사과 및 배 생산량 변화를 모의실험하였다. 온실가스 저감정책의 실현 정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RCP6.0과 RCP8.5 두 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하였으며 기온만 변화하는 경우와 강수량 및 일사량도 함께 변화하는 경우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추산한 과수 생산 변화를 사회계정행렬의 승수와 연계하여 산업, 지역별 가계소득, 정부세입 등 각 경제부문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과 생산량은 RCP6.0 시나리오 하에서 기온 변화만 고려할 경우에는 감소하는 반면, 강수량과 일사량도 고려하면 오히려 증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하지만 기온 상승으로 사실상 재배가 불가능할 경우에 강수량과 일사량으로 인해 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강수량과 일사량도 고려한 결과는 현실 적용에 한계가 있다. 한편, RCP8.5 시나리오에서는 RCP6.0 시나리오보다 영향이 약 2배 클 것으로 추산되어 온실가스 저감정책의 실현 정도에 따라 피해 양상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배의 생산량은 사과의 추정 결과와 달리 RCP6.0 시나리오 하에서 기온 변화만 고려하는 경우와 강수량 및 일사량 변화도 반영하는 경우 모두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강수량과 일사량도 고려할 경우 생산량 감소폭이 다소 줄어들었으며, 이는 RCP8.5 시나리오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사과와 배의 분석 결과의 차이는 생산함수 추정 결과 기상요인이 두 과수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데에서 비롯되었다.
사과와 배의 생산 변화로 인해 산업 전반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파급효과는 생산액 변화보다 2.8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채소 및 과실 산업과 연관성이 높은 비료 및 농약 제조업, 도소매 및 상품중개서비스업에 미치는 영향이 특히 크게 나타난다. 지역별 가계소득에 미치는 영향은 과수 생산액 변화가 클 것으로 전망된 지역 외에 서울, 경기 등 경제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지역에서도 클 것으로 계측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pected changes in apple and pear yield and the resulting economic impact due to climate change. The fruit production function was estimated to identify what factors, in particular weather factors, affect fruit output. Various spatial econometrics models were applied based on weather, soil, and regional factor data and fruit yield data by region. The spatial autoregression model was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model for analysis. Based on the model, changes in output in 2040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were simu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by the degree of implementing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y, two scenarios were assumed: RCP6.0 and RCP8.5. Also, one case where only the temperature increases and the other case where precipitation and insolation also change were compared. By linking the result with the multiplier of the social accounting matrix, the economic impacts of the expected fruit yield change on each economic sector such as industries, regional household income, and government revenue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pple output decreased when reflecting the temperature change under the RCP6.0 scenario, while additionally considering precipitation and insolation, the output increased. However, if cultivation is virtually impossible because of high temperatur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increase output due to precipitation and insolation, so the results considering precipitation and insolation are less feasible. Meanwhile, in the RCP8.5 scenario, the impact is estimated to be twice as large as that of the RCP6.0 scenario. Thus, the damage is expected to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y. Unlike the estimated results of apple, pear yield declined in both cases. Additionally considering precipitation and insolation, the amount of decrease slightly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emperature only chang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apple and pear stems from the different estimated effects of weather factors on the output of each fruits.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 industries are expected to be about 2.8 times greater than yield change. The effects on fertilizers and pesticides manufacturing industry, wholesale and retail service industries, which are highly related to the vegetable and fruit industries, are particularly large. The influence on household income by region was measured to be significant in regions where economic activities are active such as Seoul and Gyeong-gi, in addition to areas where production is expected to change remarkabl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09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7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