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남북한 교육 통합 환경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 연구 : A Study of Teacher Attitude towards North and South Kore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 A focus on an elementary school with high defector student attendance
탈북학생 다수 재학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소연

Advisor
박성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통합 환경통일교육교육통합탈북학생교사의 태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2.2. 박성춘.
Abstract
Teacher attitude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success of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success or failure of education depends on the teacher attitude. This study analyzes the teacher attitude towards inclusive education in a public school where a significant number of students are North Korean defectors and examines that factors that forms teacher attitude. To this end, the researcher held two rounds of interviews for eight teachers who have taught North Korean defector elementary students for at least one year.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study method. Because attitude predicts the action, there is a need to focus on the formation and change in teacher attitude. Thus, teacher attitude can be an indicator of the teachers behavior.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aintains that the strength of the belief of performing and action and the evaluation of its effects shapes an individuals behavior. In this theory,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hich shapes attitude, emphasize the ne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al context that prevents the attitude from being carried out into action. Wit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eacher attitude towards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of North and South Korean students more closely through the attitude of teachers who practice inclusive education.
Results showed that eight of the teachers form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inclusive edu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ut they also felt limited by the lack of time, resources, and the curriculum. The teachers were getting necessary information and psychological support from teachers who had experience teaching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nd was also receiving help of the Coordinator for North Korean migrant students, who had experience teache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nd was assigned to the school. However, the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who were not familiar with South Korean school culture, and the defector parents neglectful parenting made teachers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s inclusive education. This lack led to difficulties in guiding the students, and formed teachers low expectations for the achiev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in turn becoming a factor in forming negative attitude towards inclusive education. Furthermore, the defector parents indifference and uncooperative attitude towards their childrens education acted as a factor for teachers to form a low level of subjective norms corresponding to social pressure.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subjective norm of teacher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parental education, implement a system to make involvement in school mandatory,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becoming acquainted with defector parents. Lastly, it was found that teachers have contrasting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the schools support system. In order for inclusive education for North and South Korea to 정착, teachers need not only to restore the positive expectations of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but also increase their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rough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the recruit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establishment of a teacher cooperation system in schools, improvement of school culture, and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By suggesting specific and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educational integration environment of North and South Korean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empirical basic data in preparing for future North and South Korea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교사의 태도는 교육의 성공적인 수행에 있어 중요한 변수이다. 실제 교육을 수행하는 교사의 태도에 따라 교육적 성패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탈북학생이 다수 재학하고 있는 일반 공립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적 통합환경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고 교사의 태도를 형성하게 된 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연구자가 재직 중인 탈북학생 다수가 재학하는 공립 초등학교에서 1년 이상 탈북학생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8명을 2차례 걸쳐 면담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자료를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 분석하였다. 교사 태도의 형성과 변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태도는 행동을 예언하는 변수로서, 교사의 태도가 교사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기 때문이다. 계획된 행위 이론에서는 행동을 예측하는 행위 의도가 개인의 태도와 주관적 규범, 그리고 자신이 실제로 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각된 행동 통제감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이는 태도의 진술 이외에 태도를 행동으로 불일치하도록 만드는 상황적인 맥락을 파악해야 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사의 남북한 교육통합 환경에 대한 태도를 통합교육을 실천하는 교사의 행동을 통해 보다 면밀히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8명의 교사들은 남북한 교육적 통합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시간적 자원의 부족과 교육과정 운영의 한계로 인해 한계를 동시에 느끼고 있었다. 한편, 교사들은 탈북학생의 지도에 있어 기존에 탈북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로부터 필요한 정보와 심리적 지지를 얻고 있었으며, 탈북학생 지원을 위해 학교에 배치된 탈북교사 출신 통일전담교육사의 도움을 받고 있었다. 이는 교사들의 지각된 행동 통제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남한 문화와 남한의 학교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탈북학부모와의 긴밀한 소통이 부족하다는 점과 탈북학부모의 방임적인 양육태도는 교사들로 하여금 통합교육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학부모 지원이 요구되는 초등학교 시기 학부모와의 소통과 지원의 부족은 교사의 탈북학생 지도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이는 교사들에게 탈북학생 성취에 대한 낮은 기대감으로 이어져 통합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형성요인이 되었다. 또한 탈북학부모들의 학교 교육에 대한 무관심과 비협조적인 태도는 교사들에게 사회적 압력에 해당하는 주관적 규범을 낮게 형성하도록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주관적 규범을 높이기 위하여 탈북학부모에 대한 학부모 교육을 강화하고, 학교에 참여를 의무화하는 제도를 도입하며, 북한이탈주민인 탈북학부모의 참여를 높이고 만남의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학교에서 운영되는 지원제도의 효과에 대해서도 이중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한과 북한의 교육적 통합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교사는 탈북학생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회복해야 할 뿐 아니라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의 충원, 학교 내 교사 협력체제 시스템 구축, 학교문화 개선, 나아가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같은 제도적 지원을 통해 교사들의 지각된 행동 통제감을 높여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남북한 교육적 통합환경에서 개선해야 할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남북 통합환경을 대비한 교육 현장에 실증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0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83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