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내러티브와 퍼포먼스 : 인터랙션 조형에 대한 개념 모형의 구성 요소 및 속성 : Narrative and Performance : Components and Attributes of Conceptual Paradigm of Interaction For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태일

Advisor
정의철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인터랙션 조형인터랙션 미학인터랙션 개념 모형인터랙션 내러티브인터랙션 퍼포먼스인터랙션 디자인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2.2. 정의철.
Abstract
컴퓨터와 관련 기술이 폭발적으로 발전하고 편재화, 일상화되면서 그 상호작용에 대한 논의는 다각화되었다. 그 중 사용성에 대한 논의는 태동에서부터 이슈를 바꿔가며 지속적으로 중심에 있었고 현재도 유효하다. 반면 인터랙션의 디자인에 있어서 기존 디자인의 조형 개념들과는 차별화된 확장적 고려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집중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인터랙션의 미적 조형을 개념적으로 구조화하고 그 구성 요소들이 미적 경험의 발현에 작용하는 속성을 도출하여 체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인터랙션 조형을 개념 정의한 후 모형의 형태로 제시하고, 이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서 내러티브와 퍼포먼스의 차원을 유관 미학의 논의를 차용하고, 그 세부적인 구성 메커니즘과 속성을 발견하여 제시하고 사례를 중심으로 관계성을 예증하였다. 이어, 실험과 응용 연구를 통해 제시된 개념 모형과 내러티브, 퍼포먼스의 요소, 속성을 중심으로 심화된 이해를 도모하였다.
우선, 본 연구는 인터랙션 조형을 디자인 대상으로서의 인터랙션를 미적으로 조직하는 행위와 과정 혹은 그 결과로 정의하고, 그 개념적 구조를 모형화하여 AID(Aesthetic Interaction Design)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크게 형태(Form), 내러티브(Narrative), 퍼포먼스(Performance)의 차원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차원은 하위 구성 요소를 가진다고 보았다. 그 중 인터랙션 조형을 차별화하는 내러티브와 퍼포먼스의 2개 차원에 집중하여 세부적인 구성 요소와 속성을 도출하였다.
인터랙션 내러티브는 인터랙션의 서사적 특성을 통해 미적 경험을 자극하는 차원으로서, 서사 미학의 기존 이해를 바탕으로, 인터랙션의 이벤트를 유기적으로 조직하고 배치한 결과인 플롯(plot), 인터랙션의 에이전트들이 드러내는 성격인 캐릭터(character), 인터랙션 내러티브가 벌어지는 배경과 맥락인 시간과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인터랙션 퍼포먼스는 인터랙션의 수행적 미감을 자극하는 차원으로서, 수행 미학을 바탕으로, 인터랙션을 이루고 있는 동적인 표현인 키네틱스(kinetics), 인터랙션의 감각적 심미성을 전달하는 매개인 센서빌리아(sensibilia), 인터랙션의 역동성이 표현되는 시간과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시된 하위 구성 요소들에 대해 그 미적 속성을 도출하여 정의하고 인터랙션 사례를 통해 예시하였다. 플롯은 핵/위성 이벤트, 선별성, 개연성, 핍진성, 의외성, 특이성을, 캐릭터는 주목성, 흥미성, 정체성, 입체성을, 키네틱스는 흐름, 힘, 속도, 방향/범위를, 센서빌리아는 기억성, 협력성, 전이성, 확장성을 가진다. 시간과 공간은 내러티브와 퍼포먼스가 공유하는 요소로서 내러티브적인 순차성, 지속성, 확장성과 퍼포먼스적인 즉흥성, 맥락성, 가상성의 속성을 가진다.
위와 같은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3개의 실험 및 응용 연구를 진행하였다. 내러티브의 플롯에 관한 실험을 통해 순차성, 특이성, 핵 이벤트의 미적 작용을 세부적으로 탐색하였고, 퍼포먼스의 키네틱스에 관한 실험을 통해 키네틱스 속성들의 패턴 조합들이 가지는 미적 감성과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퍼포먼스의 센서빌리아의 응용 연구를 위해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을 개발하였고, 숨은 감각이라는 감각 전이의 미적 경험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터랙션 조형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개념적 구조를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인터랙션 조형의 구성과 미적 경험의 발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내러티브와 퍼포먼스의 차원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제시함으로써 인터랙션의 차별적 미감을 해석하고 속성적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험 및 응용 연구를 통해 인터랙션 조형의 개념과 구조를 기반으로 인터랙션의 미적 경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인터랙션 조형의 프로세스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s computers and related technologies explosively developed and became ubiquitous, discussions of their interactions have diversified. Among them, the discussion about usability has been at the center changing its issues from the beginning, and is still valid.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need for extended consideration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formative concepts of design, the design of interaction does not seem to have been paid enough attention to.
The study aims to structure the concept of aesthetic form of interaction, and to systematize the attributes that its components act on the expression of aesthetic experience. To this end,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interaction form and presented in the form of a model. The dimensions of narrative and performance which are the core components of the model were borrowed from related aesthetics studies to discover the properties and mechanisms, and exemplified the relationship based on cases. The study extended it with experimental and applied researches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odel and its components and attributes.
First of all, the study defined Interaction Form as the act and procedure of organizing aesthetic interaction, or the results of it. The study modeled the conceptual structure and suggested AID(Aesthetic Interaction Design) paradigm which is composed of Form, Narrative and Performance as higher dimensions and each dimension has its sub-components. Among them, the study concentrated on the dimensions of Narrative and Performance which differentiated the interaction form to derive detailed components and attributes of them.
Interaction Narrative is the dimension that stimulates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narrative features of interaction. Based on and borrowed from the narrative aesthetics, it consists of plot, a result of organizing the events in interaction, character, characteristics of agents in interaction, and time and space in which the interaction takes place. On the other hand, Interaction Performance is the dimension that stimulates performative aesthetics. Based on performative aesthetics, it consists of kinetics, a dynamic expression of interaction, 'sensibilia', a medium that conveys the sensory aesthetics of interaction, and 'time and space' in which dynamics of interaction takes place.
Aesthetic attributes of the above components were derived and defined with examples of interaction cases. A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plot has nucleus/satellite events, selectivity, probability, plausibility, unexpectedness, and particularity, character has attractiveness, excitement, identity and multi-dimensionality, kinetics has flow, force, speed and direction/range, sensibilia has memorability, cooperativity, transferability and extendability. Time and space are the components that Narrative and Performance dimensions share, and have narrative attributes of sequentiality, durability and extendability, and performative attributes of improvisationality, contextuality and virtuality.
In order to deepen the above understanding, experimental and applied research were conducted. Through an experiment on the plot components of Narrative dimension, detailed aesthetic effects of sequentiality, particularity and nuclei events were explored, and on kinetics of Performa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terns of kinetics attributes and aesthetic emotions. A series of interactive installations were developed to apply the sensibilia of Performance, in which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ensory transfer was explored.
The study deepened the understanding about the structure of interaction forms and the manifest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from them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interaction form and presenting the conceptual structure of it. The study explored the dimensions of Narrative and Performance in-depth to provide the basis for interpreting differentiated aesthetics of interaction and understanding principles of its aesthetic attributes. In addition, with the concept and structure, the study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aesthetic experience of interac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design through experimental and applied research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0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53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