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환의 민속문화 : The Folk Culture of Nohwan in Jeongseon, Gangwon-do
강원도 정선 지역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수유

Advisor
강정원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환민속문화생애 말년고통죽음인간관육체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2.2. 강정원.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way suffering in later life was treated in Korean folk culture. Later life is the period of aging when the corporeality and vulnerability of human beings are dramatically revealed. The process of medicalization led by Western modern medicine takes the approach of separating the pathological aspects of aging and dealing with them as targets of treatment.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during the times before the full introduction of institutionalized medicine, care, and ritual and identifies autogenous efforts of considering human corporeality and not being at odds with the vulnerability of life. It discovers the cultural practice of accepting the inevitability of death and embracing suffering as part of life in Korean folk cul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nohwan (老患). Nohwan refers to the infirmities occurring with old age and is distinguished from other types of disease that require diagnosis and treatment. Nohwan also means that ones death is not caused by a sudden accident or disease but by a natural process. Nohwan suggests that suffering is not always pathological but is something fundamental that originates from life itself and that life and death are connected rather than being confrontational. This shows that old age cannot be placed within the categorization of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and posits that life itself includes suffering and the possibility of death.
The approach of this study is twofold: one is to historically trace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nohwan and the other is to identify epistemological, practical, and ritual efforts in the fields of medicine, care, and ritual based on ethnographic data.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period when the process of later life and death was treated at home rather than at a hospital, nursing facility, or funeral home in Jeongseon, Gangwon-do. This approach shows that suffering in later life cannot be treated only from a medical point of view, for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areas of care and ritual, revealing the importance of relational dimension to which an individual belongs.
The intellectual and moral significance of the term nohwan is confirmed in the ideological soil of the previous periods. The medical books and encyclopedias based on the idea of yangsaeng (養生) regarded symptoms of infirmities at old age not as diseases that must be cured but as problems that demand attentive care, placing old age as an undeniable phase in a life course. In the Confucian narrative of hyo (孝), the aging and sickness of parents was signified as an event that triggers filial obligation, an opportunity for filial piety. The concept of nohwan, which appeared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used in the obituary forms in ritual manuals to describe the cause of death of the deceased. As the meaning expanded, it became a term representing weak and ill condition in later life.
In the local medical culture, nohwan indicates the semantic sphere of suffering that cannot be integrated only into the concept of byeong (病). Medical culture not only takes institutional medical services such as hospitals, pharmacies, and public health centers, but also takes autonomous and communal folk medicine as its major subarea. Within folk medicine, suffering is presented as a problem of a subject experiencing pain and agony rather than a matter of an outside expert. Here, the concept of byeong is the product of epistemological efforts to substantialize suffering. Nohwan shows the limitations and dynamics of the concept of byeong in that it is both byeong and not. The term is used as a narrative tool by the local residents, while implying a directivity in opposition to the therapeutic approach, that is, the attitude of acceptance and resignation toward suffering.
The notion of nohwan is also linked to the experiences of witnessing and supporting ones parents in later life. Caring for elderly parents was carried out by using limited sources in a situation where the material environment was poor and the daily labor was overburdening, as well as was assigned to the eldest son and his wife according to the family order centered on the eldest son. The central task of care was helping with eating and defecation; the latter, in particular, was associated with the problem of disgust and emphasized the sensitive aspect of the caring experience. On the eve of death, the symptoms appearing in a patients body were identified as signs of death, and the importance of staying by the deathbed was related not only to the norm of filial piety but also to the practical concerns regarding handling of the body after death.
In the context of ritual after death, nohwan was absorbed into the concept of hosang (好喪) and expressed in various forms: the phase of play represented by daedodum, playful act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jangnan, and the atmosphere in which jokes and laughter are allowed. Funeral rites had the qualities of a feast in that labor and social exchanges were maximized and there was abundant food and alcohol. The judgement of hosang intermittently radiated the dynamism of ritual. According to the custom of sangsik (上食) after the funeral, the deceased was recognized as similar to a living person. This equation evokes the context where nohwan is placed, as the old is likened to a being after death and later life is signified by death.
The folk culture of nohwan is the product of collective efforts that aim to coexist with the vulnerability of life under the condition of low dependence on external systems. The suffering in later life that could not be resolved within the field of medicine was supported and signified through care until the hour of death and ritual procedures after dying. This was possible not because of the dying individuals reflection on their own life but through the efforts of other people attending to their last hours. The situations surrounding the suffering in later life were processed and understood through the tools of ideas, expressions, and experiences handed down to local residents, within the close relationship to which they belong.
In the folk culture of nohwan, it is set as a universal proposition that being alive is naturally close to death and eventually converges to death. Here suffering in later life is not pathologized, rather understood and signified as innate in life itself. The folk culture of nohwan has established itself as a simple but useful resource to deal with human existential problems while showing that later life is a period of frequent suffering and the possibility of death. It is expected that what this study discloses regarding the corporeality and vulnerability of human beings and the collective efforts that seek coexistence with those attributes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n human beings in Korean folk culture.
본 연구는 한국의 민속문화에서 생애 말년의 고통이 다루어진 방식을 규명한다. 생애 말년은 인간의 육체성과 취약성이 극적으로 드러나는 노화의 시기로, 서구 현대의학을 중심으로 하는 의료화 과정은 노화 가운데 병리적인 것을 구분하여 치료 대상으로 삼는 방식을 취했다. 본 연구는 제도화된 의료, 돌봄, 의례가 전면적으로 도입되기 이전 시기의 생활상에서, 인간의 육체성을 고려하고 생의 취약성과 불화하지 않는 자생적인 노력들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민속문화 안에서 죽음의 필연성을 받아들이고 고통을 생 안으로 껴안는 문화적 실천을 발견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노환(老患)의 개념에 주목한다. 나이가 들어 생기는 병을 뜻하는 노환은 진단과 치료를 요하는 여러 질병들과 구분된다. 또한 노환은 한 사람의 죽음이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 때문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과정에 의한 것임을 뜻한다. 노환은 고통이 병리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생 자체에서 비롯되는 본원적인 것이며, 삶과 죽음이 대립되기보다는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노년이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의 구분 안에 위치할 수 없음을 드러내며, 생 자체가 고통과 죽음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이해하게 한다.
본 연구의 접근법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역사적으로 노환 개념이 출현한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민속지적 자료를 통해 의료, 돌봄, 의례의 영역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 실천적 · 의례적 노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도 정선 지역에서 병원이나 요양시설, 장례식장이 아니라 집이라는 장소에서 말년의 과정과 죽음이 이루어졌던 시기를 살펴본다. 이러한 접근은 생애 말년의 고통이 의료적 관점에서만 처리될 수 없고 돌봄 및 의례 영역과 긴밀하게 연결됨을 보여주면서 개인이 속한 관계적 차원의 중요성을 드러낸다.
노환이라는 용어가 지닌 지성적 및 도덕적 의미는 이전 시기의 사상적 토양에서 확인된다. 양생 사상에 기초한 의서와 백과사전은 노년의 병증을 치료할 질병이기보다는 세심히 보살펴야 할 문제로 다루며, 노년을 생애 과정의 엄연한 한 국면으로 위치시킨다. 유교의 효 서사에서는 부모의 늙음과 병듦이 효행의 계기이자 자식의 의무를 촉발하는 사건으로 의미화된다. 19세기 후반에 등장한 노환 개념은 의례서의 부고 양식에서 고인의 사망 원인을 가리키는 단어로 쓰였으며, 그 의미가 확장되면서 말년의 약하고 병든 상태를 뜻하는 대표적인 용어가 되었다.
지역의 의료문화에서 노환은 병 개념만으로 흡수되지 못하는 고통의 의미 영역을 드러낸다. 의료문화는 병원이나 약국, 보건소 등의 제도적 의료만이 아니라 자생적이고 공동체적인 민속의료를 주요 하위 영역으로 삼는다. 민속의료에서 고통은 외부 전문가의 문제가 아니라 아픔과 괴로움을 경험하는 주체의 문제로 나타나며, 그 가운데 병 개념은 고통을 실체화하는 인식론적 노력의 산물이다. 노환은 병이면서도 병이 아니라는 점에서 병 개념의 한계와 역동을 드러내며, 치료적 접근과 반대되는 지향, 즉 고통에 대한 수용과 체념의 태도를 함축하면서 지역 주민들의 서사적 도구로 사용된다.
노환의 관념은 주민들이 목격하고 보조했던 부모의 말년에 대한 경험과도 연결되어 있다. 노부모에 대한 수발은 물적 환경이 열악하고 일과의 노동이 과중한 상황에서 제한된 자원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장자 중심의 가족질서에 따라 장남 부부에게 전담되었다. 수발의 핵심은 식사와 배변을 돕는 일이었으며, 특히 후자는 비위의 문제와 관련되며 수발 경험의 감각적 측면을 부각시켰다. 임종 직전에 이르면 환자의 몸에 나타나는 증상들이 죽음의 징후로 식별되었으며, 임종을 지키는 일의 중요성은 효 규범뿐만 아니라 이후 시신을 처리해야 하는 현실적인 여건과도 관련되었다.
죽음 이후 의례의 맥락에서 노환은 호상의 개념으로 흡수되면서 여러 형태로 표현되었다. 대도둠으로 대표되는 놀이의 국면, 장난으로 총칭되는 유희적 행위, 농담과 웃음이 허용되는 분위기 등이 그에 해당한다. 상례는 사회적 교류와 노동이 극대화되고 음식과 술이 풍족하다는 점에서 잔치의 속성을 지녔고, 호상이라는 판단은 의례가 지닌 역동성을 간헐적으로 분출시켰다. 초상 이후 상식(上食)의 관습에서는 고인이 산 사람에 가까운 존재로 인식되며, 이러한 등식은 노인이 죽음 이후의 존재에 비유되고 생애 말년이 죽음에 의해 의미화되는 것과 연결되면서 노환이 위치한 문화적 맥락을 환기한다.
노환의 민속문화는 외부 체계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 조건에서 생의 취약성과 공존하기 위해 이루어진 집합적 노력의 산물이다. 의료의 영역 안에서 해결될 수 없었던 생애 말년의 고통은, 임종에 이르기까지의 돌봄 및 임종 이후의 의례적 절차를 통해 다루어지고 의미화되었다. 이는 개인의 자기 생에 대한 성찰을 통해서이기보다는, 그의 마지막을 보조하는 다른 존재들의 노력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생애 말년의 고통을 둘러싼 상황들은 개인이 속한 밀접한 관계 안에서, 그들에게 전승된 관념과 표현, 경험의 도구들을 통해 처리되고 소화되었던 것이다.
노환의 민속문화에서는 살아있음이 태생적으로 죽음과 가까이 있으며 종국에는 죽음으로 수렴하게 된다는 사실이 보편 명제로 설정된다. 여기에서 고통은 결코 병리화되지 않으며 생 자체에서 연유한 것으로 이해되고 의미화된다. 노환의 민속문화는 생애 말년이 고통과 죽음의 가능성이 상존하는 시기임을 드러내면서 인간의 실존적 문제를 처리하는 소박하지만 유용한 자원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본 연구가 드러낸 인간의 육체성과 취약성, 그리고 그것과의 공존을 모색하는 인식론적 · 실천적 · 의례적 노력은 한국 민속문화의 인간관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점이 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0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74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