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구 지역어 ㅅ과 ㅆ의 변별에 대한 음성학적 연구 : A phonetic study on distinction between 'ㅅ' and 'ㅆ' of Daegu dialect : -Focusing on the friction-
- 마찰 구간을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왕무흔

Advisor
김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대구 지역어치조마찰음마찰 구간마찰비율‘ㅅ:ㅆ’ 대립마찰음 변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2.2. 김현.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대구 지역어 화자의 ㅅ, ㅆ의 변별을 음성학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중앙어 치조마찰음에는 ㅅ : ㅆ의 대립이 있는 것과 달리 대구 지역은 이러한 대립이 없는 지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모든 대구 지역어 화자에게 이 대립이 없는 것이 아니며 젊은 층 화자는 흔히 ㅅ과 ㅆ을 변별하여 발음하고 중노년층 화자는 변별하여 발음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본고는 ㅅ : ㅆ의 대립이 있는 중앙어 화자에 비교하여 대구 지역어 화자가 발음한 ㅅ과 ㅆ의 변별을 마찰 구간을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마찰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과 발성유형 간 비율 차이를 지표로 삼아 어두 및 비어두에서 대구 지역어 화자가 발음한 ㅅ과 ㅆ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ㅓ : ㅡ의 대립 문제도 대구 지역어의 방언적 특성으로 치조마찰음의 실현과 관련을 지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사용한 마찰비율이라는 지표는 두 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하나는 치조마찰음 그 자체에 마찰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마찰비율1)을 말하며, 다른 하나는 선행 음절을 분모에 포함하여 마찰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마찰비율2)을 의미한다. 전자는 어두, 비어두 등 모든 환경에서 검토하였지만 후자는 비어두 환경에서만 검토하였다. 그리고 발성유형 간 비율 차이라는 지표는 ㅅ과 ㅆ의 마찰비율의 차이를 의미한다.

먼저 중앙어 화자와 대구 지역어 화자의 어두 치조마찰음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ㅅ의 경우는 중앙어와 대구 지역어 간 마찰비율1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ㅆ의 경우는 대구 지역어 화자의 ㅆ의 마찰비율1이 중앙어 ㅆ의 마찰비율1의 신뢰구간에 미치지 못한 경우가 발견되었으며 발성유형 간 차이도 작았다. 이를 통해 대구 지역어 화자를 ㅅ : ㅆ의 대립 유무에 따라 나눠볼 수 있음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중앙어 화자와 대구 지역어 화자의 비어두 치조마찰음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구체적으로는 모음 간의 ㅅ과 ㅆ, 장애음 뒤의 ㅆ, 그리고 비음 뒤의 ㅆ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세 가지 환경에서 대구 지역어 화자의 ㅆ의 마찰비율1은 중앙어의 그것보다 낮게 실현되는 경우가 많았고 ㅅ은 명확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음 간 환경에서는 마찰비율2와 발성유형 간 비율 차이 두 가지 지표를 통해 어두에서 ㅅ : ㅆ의 대립이 없는 피험자가 모음 간 환경에서도 마찬가지로 없음이 확인되었으며 그들의 ㅆ의 마찰비율2은 중앙어 ㅆ의 신뢰구간에 미치지 못하고 비율 차이도 작았음을 밝혔다. 그리고 장애음 및 비음 뒤에서의 ㅆ은 이러한 특성을 보이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대구 지역어 화자가 발음한 치조마찰음 ㅅ과 ㅆ의 변별에 있어 환경에 따라 음성학적으로 마찰비율1, 마찰비율2, 그리고 마찰비율 차이에 다른 점이 발견됐다고 결론을 지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phonetic difference between 'ㅅ' and 'ㅆ' of Daegu local speakers. Different from the opposition of alveolar fricatives 'ㅅ : ㅆ' in the central Korean, Daegu is widely known as an area without such opposition. However, not all Daegu local speakers don't have this opposition, with the younger generation often pronounce 'ㅅ' and 'ㅆ' differently, and the older generation tend not to pronounce it differently.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distinction of 'ㅅ' and 'ㅆ' pronounced by Daegu local speakers, focusing on the friction, with comparison to central Korean speakers who have the opposition of 'ㅅ : ㅆ'. To this end, the realization of 'ㅅ' and 'ㅆ' pronounced by Daegu regional speakers in the word-initial and word-noninitial were examined using the ratio of friction and the ratio difference between 'ㅅ' and 'ㅆ' as indices. The issue of opposition of 'ㅓ : ㅡ', as a dialectic character in Daegu region, was also intended to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realization of alveolar fricative. The ratio of friction used in this paper includes two meanings: one is the ratio of friction to the alveolar fricative itself (fr_1), and the other is the ratio of friction to denominator which the preceding syllable is included(fr_2). The former was reviewed in all conditions such as word-initial and word-noninitial, but the latter was reviewed only in the word-noninitial conditions. And the index of the ratio difference between 'ㅅ' and 'ㅆ'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iction ratio of 'ㅅ' and 'ㅆ'.

First, the realization of alveolar fricative in word-initial condition between central Korean speakers and Daegu local speakers was observed. In the case of 'ㅅ',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r_1 between the central Korean and the Daegu dialect, but in the case of 'ㅆ', the fr_1 of the Daegu local speakers did not reach the confidence interval of the fr_1 of the central Korean, and the ratio difference between 'ㅅ' and 'ㅆ' was small. Through this, it was shown that Daegu local speakers could be divid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pposition between 'ㅅ : ㅆ'. Next, the realization of alveolar fricative in word-noninitial conditions between central Korean speakers and Daegu local speakers was observed and specifically divided into 'ㅅ' and 'ㅆ' in intervocalic position, 'ㅆ' in post-obstruent position, and 'ㅆ' in post-nasal position. In these three conditions, the fr_1 of Daegu local speakers was often observed lower than that of the central Korean, and 'ㅅ' did not show a clear difference. in intervocalic conditions, through the two indices, fr_2 and ratio difference, it's confirmed that there is still no opposition of 'ㅅ : ㅆ' in intervocalic position between Daegu local speakers who don't have the opposition of 'ㅅ : ㅆ', and that their fr_2 of 'ㅆ' did not reach the confidence interval of the central Korean 'ㅆ' and the ratio difference was also small. But it was confirmed that 'ㅆ' in post-obstruent position and post-nasal position did not exist this character.

It was concluded that in the distinction of alveolar fricative between 'ㅅ' and 'ㅆ' pronounced by Daegu local speakers, differences in fr_1, fr_2, and ratio difference were found depending on the conditio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2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1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