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래시간인식이 아동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on Children's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수진

Advisor
류재명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래시간인식미래시간조망미래지향시간관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환경위기시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 2022.2. 류재명.
Abstract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이 시급해지며 기후변화 교육 내용과 행동 변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환경교육에서는 미래세대와 타 생물종까지 아울러 생각하는 생태시민성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먼 미래까지 내다보는 역량을 기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미래 시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행동의 주요 변인으로 다루는 연구나 교육적 시도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이 가진 미래에 대한 인식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하는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미래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첫째, 앞으로 남은 시간에 대해 심리적으로 지각하는 정도인 미래시간조망과 둘째, 인지-동기적 구인으로서 미래에 대한 총체적 관점을 의미하는 미래지향시간관으로 나누어 각각의 변인이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두 가지 실험연구로 확인하였다.
먼저, 아동의 미래시간조망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초등학교 6학년 188명을 대상으로 환경 위기 시계로 미래 환경에 대해 유한성을 인식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미래 환경에 대한 시간적 거리감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를 설문하였다. 이후 집단 간 행동의도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두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아동의 미래지향시간관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초등학교 5,6학년 89명을 대상으로 Husman&Shell의 미래지향성 척도와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를 측정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두 변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30년 후의 미래 환경에 대한 시간적 거리감이 짧을수록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자극물의 검증 과정에서 시간의 유한성을 인식한 아동이 통제집단의 아동보다 동일한 거리의 미래 환경을 더 가깝게 느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미래지향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환경행동의도에 아동의 미래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확장된 미래시간조망을 가질 수 있도록 환경교육에서 환경위기시계와 같은 제한된 미래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할 수 있는 교육 및 교육자료가 필요하다. 둘째, 환경행동의 변인 중 하나로 주관적 시간인식을 다루었으며 아동의 미래지향성의 향상이 환경행동에 주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education to cope with the climate crisis becomes urgent, discussions on the content and behavioral variable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are becoming more active. In environmental education, efforts are continuing to develop the ability to look far into the future with the aim of fostering ecological citizenship that also think about future generations and other species. However, research or educational attempts to deal with subjective perception of future time as a major variable of behavior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children's Future Time Perspective(FTP) affects their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Future Time Perspective was firstly divided into FTP meaning a future time view, which is the degree of psychological perception of the remaining time, and secondly, FTP meaning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which means a total perspective on the future as a cognitive-motivated factor. Two experimental studies confirmed whether each variable affects the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First,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uture time view and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188 6th grade students in Seoul surveyed psychological perspection of the remaining time and behavioral intention deal with climate change. In this survey, stud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that recognizes finiteness in the future environment with an environmental crisis clock and a control group. Next,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uture-oriented perspective and behavior intention, 89 5,6th grade students in Seoul survey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investiga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horter the psychological distance to the future environment 30 years later,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experimental stimulus,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who recognized the finiteness of time felt closer to the future environment of the same distance tha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future-oriented perspective, the higher the children's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and therefore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child's future affects the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and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make children aware of a limited future, such as an environmental crisis clock, are need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so that they can have an expanded future view. Second, subjective time perception was dealt with as one of the variables of 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 suggesting that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future orientation can be a major variable in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2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9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