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석남 송석하의 사진카드 연구 : A Study on the Photo Cards of Seoknam Song Seokh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세용

Advisor
강정원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석남 송석하한국 민속 사진사진 카드근대화매체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기록학전공, 2022.2. 강정원.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context and the contents of the photo cards of Seoknam Song Seokha(briefly Seoknam Photo Card) which now belong to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first chapter points out that earlier studies about Song Seokha focus on his life and character as a cultural nationalist too much. Also earlier studies about Seoknam Photo Cards gave too simple classification or too subjective interpretation to the photographs, while they have not discussed sufficiently the text contents of Seoknam Photo Card.
The reason why they have not discussed is that they consider photography as a special medium in comparison to other media. The main purpose of the second chapter The Shift in Modern Media Condition is to examine this perspective. Photography(precisely Techno image) has a continuity with other media like image and text. The continuity is in the method of media, printing system. Photography is a kind of printing system because it has the same 4 elements(Patrix, Matrix, Forme, Supporter) of printing system. Also modernization made not only techno image but also new text medium in korea because of the rebirth of Hangul.
The third chapter The Format and the Context of Seoknam Photo Card introduces the format of Seoknam Photo Card and compares it with other photo cards of 1920s~30s in korea. The difference is in the diverse numbering section of Seoknam Photo Card. While earlier studies about Song Seokha focus on his relation with Japanese folklorists and his folklore studies on the folk play, this chapter shows the other aspects of Song Seokha through the usage of photography in Japanese folkloristics and the attitude of Song Seokha toward the folk materials. He was different from Yanagita Kunio(柳田國男)s attitude to photography. Also he was interested in the folk religion and Hangul. He worried the destruction of folk materials due to the Confucianism than the modernization.
The fourth chapter The Contents of Seoknam Photo Card classifies the Seoknam Photo Card into two categories(원판류, 통번류) according to the numbering section. 원판류 seems to be more important than 통번류. 원판류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hemes(Folk Religion, Folk Play, Buddism·Document) according to the date section. We can figure out how Song Seokha reorganized the tradition through the new media during the modernization. Aside from these three themes, there are some external sources in 원판류. These photos were highly used in folkloristics treatises than other photos of 원판류. Song Seokha seperated these external sources from the photos he took. 통번류 have some differences from 원판류. Every date section of 통번류 is empty. Photos concerning folk religion theme are dominant in 통번류. We can figure out the numbering of 통번 is not strict because the photos that took in the same place and same time were scattered. Also photos of China and Mongol that was regarded as the connection with Japanese folklorists in the earlier studies were filled with blue memos that seem to be written after the death of Song Seokha.
The last part of fourth chapter compares Seoknam Photo Card with the folklore photo cards of Keijou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that mentioned in the third chapter before. The comparison took place in two sides, format and contents. In the format side, Keijou Imperial University photo card has two formats(通號형, 番號형). Seoknam Photo Card seems to inherit and supplement one of them(番號형). In the contents side, there are some same photos and the photos with the same subject. We can figure out that Song Seokha does not gave importance to that photos because these photos are not categorized into 원판류.
본고는 현재 국립민속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석남 송석하의 사진카드(이하 석남 사진카드)에 기재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1장 서론에서는 송석하를 다룬 선행연구들이 송석하의 행적과 민족주의자로서의 성격 규명에만, 석남 사진카드에 대한 연구는 사진에 대한 단순한 분류, 주관적인 해석에 몰두하여 사진카드에 기재된 내용은 한 번도 제대로 언급되지 않았음을 설명한다.
이렇게 된 이유로 첫째는 주류 학계에서 사진에 관심을 가지지 않아서, 둘째로는 사진의 특수성에 기반한 관점으로 사진카드를 바라봐서 그렇다 할 수 있다. 이에 본격적인 석남 사진카드 내용으로 들어가기 전 2장 근대 매체 환경의 변화에서는 사진의 특수성이 아닌 문자와 기술이미지 사이의 연속성을 다룬다. 이를 위해 본고는 기술이미지와 사진을 구분하는데, 전자는 매체이고 후자는 매체의 구현 방식, 구체적으로는 프린트 방식이다. 이를 통해 판화, 활자와 사진이 동일한 4가지 요소(패트릭스, 매트릭스, 원판, 지지체)를 가지고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문자와 사진이 당대의 신매체로서 근대화 과정에서 큰 변화를 겪었다는 점에서도 닮았음을 국내의 사례인 한글을 통해 강조한다.
3장 석남 사진카드의 형식과 맥락은 1절에서 석남 사진카드의 형식들을 소개하고 당대의 다른 사진카드와 비교해본다. 이를 통해 석남 사진카드가 일련번호 란에서 그 개성을 드러내며, 용도 또한 외부 공개용이 아닌 영구 보존용임을 주장한다. 아울러 기존 연구들에서는 일본인 학자들과의 관련성과 함께 민속오락과 관련된 송석하의 연구에만 주목했으나, 2절과 3절에서 20세기 초 일본의 민속학 관련 분야에서의 사진 활용 방식과 민속자료에 대한 송석하의 태도를 살펴보았을 때, 송석하에 대한 보다 입체적인 이해의 여지가 존재한다는 점을 짚는다.
4장 석남 사진카드의 내용에서는 석남 사진카드를 기재 내용에 따라 원판류와 통번류로 구분할 수 있으며, 둘 중 더 중요한 것으로 보이는 원판류는 기재된 날짜를 근거로 크게 세 개의 시기별 주제(민속신앙, 민속오락, 불교·문헌)로 구분할 수 있음을 서술한다. 이를 통해 근대화라는 변화의 와중에 신매체를 통한 전통의 재구성을 적극적으로 추구했던 송석하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원판류 중 외부 출처 사진은 명확하게 그 출처를 명기하였고, 그 활용 빈도도 높았다는 점에서 송석하가 이 사진군을 본인이 촬영한 사진과 분명하게 구분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통번류는 원판류와 달리 민속신앙 주제의 사진이 많았다. 다만 같은 날 같은 곳에서 찍은 것으로 보이는 사진들이 모여있지 않고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통번의 부여는 그리 엄밀한 것이 아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일본인 학자들과 연관된 증거로 여겨졌던 중국과 몽골의 사진들은 다른 사진들과 뒤섞여 있는 것이 아니라 파란 글씨로 작성되어 분명히 구분되었음을 알 수 있다.
4장 3절에서는 3장 1절에서 살펴본 당대의 다른 사진카드 중 경성제대 민속참고품실 사진카드와 형식과 내용적인 측면에서 심층적인 비교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형식에 있어서는 경성제대 민속참고품실 사진카드의 영향을 받으면서 부족한 점을 보완했음을, 내용적인 면에서는 통번류와 원판류·통번류 외 사진카드에 한해서 동일한 사진 혹은 동일한 피사체의 사진이 일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29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00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