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소비자 공동창조를 통한 패션 신제품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shion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Consumer Co-Cre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경

Advisor
추호정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소비자 공동창조개방형 혁신패션 신제품 개발패션 신제품 개발 전략패션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2.2. 추호정.
Abstract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역량이 강화된 소비자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기업 활동에 소비자 참여가 확대되면서 소비자는 협력자로서 기업의 가치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과거의 소비자는 구매자이자 이용자일 뿐이었으나 기술 환경의 발달과 소비자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인해 소비자는 제품의 공동창조자(co-creator)이며 구매자인 동시에 이용자가 되었다.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이러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다각도의 평가를 통해 신제품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의 수용도를 높이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신제품 개발(New Product Development: NPD)은 패션 산업의 핵심 활동으로 패션 컬렉션(collection)의 빈도와 신선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패션기업의 성장뿐만 아니라 생존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패션 브랜드들은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고 소비자들의 수요에 대해 빠르게 반응하기 위해 리드타임(lead time)을 줄일 수 있는 패션 NPD 프로세스 전략을 추구해 왔다. 패션기업이 NPD 프로세스의 속도를 향상시켜 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외부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패션 NPD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달이 패션 신제품 개발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창조를 통한 패션 신제품 개발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사례분석을 통해 공동창조형 패션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모델을 규명하고, 실무자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공동창조형 패션 신제품 개발 수행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에서는 패션기업이 진행하고 있는 공동창조형 패션 NPD 프로세스의 구조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를 위해 기업이 소비자와 협력적으로 신제품을 개발하는 활동을 공동창조형 패션 신제품 개발이라 정의하였다. 조작적 정의에 부합하는 열 개의 사례를 선정하였으며, 이후 다섯 명의 전문가와 함께 최종 스레드리스, 아카매, 어웨이투마스, 나이키 플러스, 아디다스 메이드 포, 휠라보레이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소비자 참여형 패션 신제품 개발 사례들의 구조적 특징을 다각도로 살펴보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인인 가치제안, 목표고객, 핵심활동, 채널, 핵심파트너를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패션 NPD 프로세스의 기획 과정에서 공동가치와 공동창조자의 명확한 선정, 개발 과정에서 선정된 공동가치과 공동창조자에 따른 적절한 공동활동의 구성, 그리고 패션 NPD 프로세스의 전 단계에서 다양한 공동플랫폼의 활용이 패션 신제품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 공동파트너는 공동창조의 성패를 결정하기보다 공동창조 활동의 지속성을 높이고 신제품의 차별화를 강화했다. 패션 NPD 프로세스 초기에 전략적으로 목표을 선정해야 하는 공동가치와 공동창조자는 소비자 디자인 선정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공동창조의 디자인 선정은 크게 고객주도 방식과 기업주도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고객주도로 디자인을 선정하는 공동창조 사례에서는 유형가치와 무형가치가 동시에 제시되었다. 공동창조 활동은 점차 온라인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기업은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소비자들의 참여 빈도와 활용도를 높여가고 있다. 공동파트너는 각각의 공동창조 전략에 따라 다른 유형으로 나타났지만, 공통적으로 소비자의 창작활동에 디자인 영감을 주고 있었다. 경쟁이 치열한 오늘날의 시장에서 많은 기업이 수익성 달성과 새로운 성장 동력을 얻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자원들을 활용하고 있다. 그 중 소비자와의 협업은 다양한 연구에서 그 영향력이 강조되었으며 본 사례연구를 통해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문제 2를 통해 공동창조형 패션 신제품 개발 수행모델을 제안하고자 소비자와 함께 패션 신제품을 개발한 경험이 있는 팀장급 이상의 패션 브랜드 실무자 12명을 모집하여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심층면접은 참여자들의 경험과 견해를 중심으로 서술할 수 있도록 반구조화된 질문으로 참여자들의 답변 유형에 따라 60분에서 90분가량 진행되었다. 심층면접을 통해 패션기업이 공동창조 활동을 진행하는 동기와 수행 성과, 패션기업이 공동창조형 패션 NPD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공촉진요인, 장애요인, 외부 환경요인을 도출하였다.
심층면접 결과 패션기업은 공동창조를 통해 기업의 이미지와 조직 역량을 관리하고, 브랜드 파워와 매출 상승을 기대했다. 특히 성공적인 신제품 개발을 위해 개발 신제품의 디자인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 공동창조 활동을 계획했다. 기업, 프로젝트, 소비자 차원에서 다양한 촉진요인과 장애요인들이 나타났다. 공동창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촉진요인과 장애요인은 패션 NPD 프로세스의 진행 속도뿐만 아니라, 신제품의 품질과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촉진요인들은 참여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게 되므로 패션기업은 전략적으로 신제품 개발 과정을 설계하여 참여자들이 능동적 조작행위를 통해 성취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한다. 또한, 패션기업 외부의 기술 환경요인과 시장 환경요인은 소비자 참여를 통한 공동창조의 방법과 전략에 변화를 가져왔다. 디자인 자원의 디지털화는 소비자 창작 활동이 용이하도록 도움이었으며,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상호작용을 통해 참여자 간에 긴밀한 관계가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참여도와 자발성을 높여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신제품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고 다양한 상호작용 요인을 제안하였고, 공동창조의 성과가 패션 NPD 프로세스의 성공적인 수행에 영향을 받게 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패션 NPD 프로세스에 집중하여 다양한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의 발달로 인한 소비자들 간의 변화된 상호작용 방식과 공동창조 비즈니스 모델의 새로운 구성요인들이 도출되었다. 또한, 공동창조를 통한 패션 신제품 개발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함께 탐색하여 공동창조형 패션 신제품 개발 수행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이것은 경영학 분야에서 연구해 온 공동창조 방법을 패션 신제품 개발에 적용하여 패션 신제품 전략에 관한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공동창조의 특징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패션 신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기업들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기업의 상황과 브랜드의 성격에 따른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글로벌 경쟁의 심화와 산업의 성숙으로 인해 더욱 과열되고 있는 패션기업에 유용한 제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allowed consumers to use information in new ways. Consumers with enhanced capabilities desire to play a great role in the process of corporate value creation through their use of information and are forming power as influencers and prosumers. In the past, consumers were merely buyers and users; bu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environment and a shift in perception, they have become co-creators and users of product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se consumers in the process of new product development not only enhances the likelihood of the success of new products through creative ideas and evaluations but also increases their market acceptance.
New product development (NPD) is a key activity in the fashion industry, and increasing the frequency and freshness of fashion collections is a decisive factor in the growth and survival of fashion companies. Fashion brands have pursued fashion NPD process strategies that can reduce lead time to reflect the latest trends and respond quickly to consumers' demands.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textile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through consumer co-creation. However, as most research only focuses on reflecting consumers needs, studies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 of new product development through consumer co-creation in which consumers participate as co-creators are insufficient. Specifically, although 4.0 industrial technology has made many changes to the fashion industry, sufficient research has not been performed on the impact of technological advances on the development of new fashion products. This study proposes a strategy for developing new fashion products through consumer co-cre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new co-creative fashion product development process model through case analysis and presents this model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To respond to Research Question 1,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NPD process through the co-creation conducted by fashion companies. The fashion NPD process through co-creation was defined as activities through which companies develop new products in cooperation with consumers. Ten cases that meet the operational definition were selected, and Threadless, Akamae, Awaytomars, Nike Plus, AM4, and Filaboration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case study.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successful co-creative fashion NPD cases from various angles, the cases were analyzed focusing on value propositions, customer segments, key activities, channels, and key partner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business model.
The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the clear selection of co-value and co-creator at the planning level of the fashion NPD process, the formation of appropriate co-activities according to the co-creator in the development level, and the use of various co-platforms in all stages of the fashion NPD process increased their likelihood of success. Rather than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co-creation, co-partners increased the sustainability of co-creation activities and strengthened the differentiation of new products.
In the early stages of the fashion NPD process, the co-value and co-creator which should strategically select goals differed depending on the new product design selection method. The design selection of co-cre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consumer-led and company-led methods. In the case of co-creation in which designs are selected by consumers, tangible and intangible values were presented at the same time. Corporate co-creation activities are gradually expanding online, and online platforms are being used to increase the frequency and utilization of consumers' participation. Different types of co-partners appeared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o-creation strategies, but they shared strategies through which designs were inspired by consumers' creative activities. In today's highly competitive market, many companies are using new resources to achieve profitability and gain new growth engines. Co-creation is one such resource that has been emphasized in various studies and has been confirmed once again through this case study.
To propose a co-creative fashion NPD model to respond to Research Question 2, 12 fashion brand practitioners above the team-leader level who have experience in developing new fashion products with consumers were recruited and participated in one-on-one in-depth interviews. The in-depth interviews included semi-structured questions that centered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views, and lasted 60-to-90 minutes depending on the participants respon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motivation and performance of fashion companies' co-creation activities, stimulators, impediment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of fashion companies' co-creation of fashion NPD processes.
The results showed that fashion companies develop new products through consumer co-creation to manage their identity and organizational capability, increase brand power and revenue, and improve product quality. Various stimulating and impeding factors appeared at the company, project, and consumer level. The stimulating and impeding factor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co-creation were found to affect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new products as well as the speed of the fashion NPD process. In particular, since stimulating factors increase consum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fashion companies should strategically design the NPD process so that participants can feel the fun of achievement through active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method and strategy of co-creation were chang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market environmental factors. The digitization of design resources helped facilitate consumers creative activities, and clos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nts were formed through interactions using various social media.
This study proposed various interaction factors with a focus on developing innovative and creative new products by increasing consumers participation and spontaneity. This study derived new components of the changed interaction method and co-creation business model between consumers due to the development of online platforms.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new co-creative fashion products was enhanced by explor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cess through which new fashion products are developed through joint creation. This not on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new fashion product strateg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co-creation method, which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but also provided basic data for subsequent research.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creation derived in this study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that want to develop new fashion products and can present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tailored to a company's situation and brand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fashion companies that are facing issues due to intensifying global competition and the maturity of the industr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1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23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