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Neo-Aristotelianism) 관점에 기초한 덕 교육의 도덕교육적 함의 연구 : A Study on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Neo-Aristotelian Virtue Edu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기연

Advisor
정창우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아리스토텔레스덕 윤리학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아리스토텔레스적 윤리적 자연주의아리스토텔레스적 대화도덕교육인성교육덕 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2.2. 정창우.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swer the traditional question in ethics, whether there exist universal and objective ethical values, and if so, how can they be harmonized with each ones particular and specific situations, from the Aristotelian and Neo-Aristotelian view, and to find the answer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Nicomachean Ethics, Aristotle shows that human beings characteristic function (ergon) to fulfil their ends (telos) is the rational capacity including phronēsis, and based on the facts about human nature, he demonstrates that the good life of human being consists of the activities of soul in accordance with the excellences or virtues. He not only secures the objective criteria of moral truth by appealing substantial facts about human nature, but also fully reflects each ones particular and specific reality by stressing the virtue of phronēsis. This balance made his ideas attractive in recent discussions of Epistemology, Ethics, and educational practices as a remedy of other theories.
Since many existing educational practices addressing the concept of virtues have been based on superficial, or wrong interpretations of Aristotelian idea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at is the true Aristotelian character education by examining some misunderstandings, and, if some critics are valid, to deliberate how can it be appropriately reconstructed. Hence this study examined general criticism on educational practices with the concept of virtues and Neo-Aristotelians responses to them as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hrough the series of discussions, it was able to clarify which Aristotelian ideas were accepted or revised by Neo-Aristotelians, thus to confirm the structure of Neo-Aristotelian character education.
What is more important than confirming its structure is to consider its underlying premise, that is, whether it is truly possible to harmonize objective moral truth based on human nature and diversity based on human reason. This study, therefore, attempted to scrutinize discussions related to Aristotelian Naturalism, which contemporarily systemized naturalistic character of Aristotles virtue ethics. In the end, both the ethical naturalism of first nature and second nature had their limitations, such as making the relation between moral philosophy and natural science even separative.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should focus on the fact that Aristotle himself resisted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empirical facts in the natural realm and evaluative facts in the moral realm, thus reconsidering Aristotles idea that human nature does not offer the answers but the starting point and natural material to develop. In this respect, the facts about human nature that we need to refer to are not something just given to us as unchangeable ones, but something to be found within the continuous dialogues about human goodness that always needs to be the object of reflections. Therefore, of importance is not to find the fixed shared conclusion, but to have continuous shared process and head toward the stronger objectivity. Dialogues where we consider and trust each other as an accountable agent can have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is balance between the universals and specificities.
In the end,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dialogues looking for our shared criteria can be realized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The significance of Aristotelian dialogue was reviewed through his writings about friendship (philia), and it was suggested that sustained dialogues between citizens should be the way where we can find our goodness and practice to reflect my and your interests and desires. To realize this ideal, the education for dialogues should frame the problem situations for the common aim, choose issues which does not lose track of concrete contexts and oneself, and have interests and understanding toward the interlocutor as a collaborator but not as an opponent.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has drawn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Neo-Aristotelian character education for the aspect of educational goal,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noticeable that this study has comprehensively explored Aristotles meta-ethical presuppositions which has not been fully studied so far. Its conclusion emphasizing sustained and collaborative dialogues which needs trust and belief can be disappointing to someone who is looking for the certainty of objective moral truths. However, whereas Immanuel Kant postulated the existence of God, the one to believe in the Neo-Aristotelian sense is the human being, who is lively drawing breath right in front of us. Since moral education and ethics are eventually about considering how to relate to people in our lives, I hope this conclusion not just to remain as written letters, but to have vivid implications to our lives by letting us reflect our own way to treat others, and making the actual changes possible.
본 논문에서는 우리가 인간이라면 동의할 수밖에 없는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도덕이 존재하는지, 그렇다면 이는 우리 각각의 개별적이고 특수한 지향과 어떻게 조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전통적인 물음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와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Neo-Aristotelianism)의 관점에서 답하면서 그 교육적 함의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인간의 목적(telos)을 실현시키기 위한 인간 고유의 기능(ergon)이 실천적 지혜로 대표되는 이성적 능력임을 보이면서, 이러한 인간 본성에 대한 사실을 통해 인간의 좋은 삶이 덕과 일치하는 영혼의 활동임을 논증한다. 그는 인간의 도덕적 삶을 인간 본성에 대한 사실이라는 견고한 토대 위에 두면서 객관적인 도덕적 진실을 지키는 동시에, 실천적 지혜(phronēsis)를 강조하면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우리의 현실 또한 충분히 반영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균형의 시각으로 인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은 최근 인식론, 윤리학, 교육 실천 등에서 기존 논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기존의 가치·덕목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 실천들이 아리스토텔레스 덕 윤리학을 얕게, 혹은 잘못 해석함에 따라 그 본의가 흐려져 왔던 만큼, 그러한 오해들을 점검함으로써 진정으로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덕 교육은 어떤 것인지, 혹은 정당한 비판이 존재한다면 이를 어떠한 방향으로 수정해나갈 것인지 검토하는 과정이 요청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가치·덕목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 실천들이 일반적으로 받아왔던 비판들을 이론적·실천적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들 비판에 대한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대응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논의를 통해 교육 영역에서의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기존의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어떤 점을 수용하고 어떤 점을 수정하였는지 명확하게 밝힘에 따라, 아리스토텔레스 덕 윤리학이 가지는 교육적 의의를 보다 확장하는 신아리스토텔레스적 덕 교육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단지 구조를 밝히는 것보다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할 것은,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수용하면서 다소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인간 본성에 근거한 객관적 도덕적 진실의 지위와 이성에 의한 인간의 삶의 다양성 사이의 조화가 실제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의 문제이다. 이에 본고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주의적 가정을 현대적으로 체계화한 아리스토텔레스적 윤리적 자연주의에 관련된 일련의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그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논의 결과, 첫 번째 본성을 중심으로 한 체계화와 두 번째 본성을 중심으로 한 체계화 모두 서로 다른 측면에서 자연과학과 도덕철학 사이의 대립을 강화시키는 등, 풀리기 어려운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에 대해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애초에 자연에 대한 경험적 지식과 도덕에 대한 일상적 지식 사이의 완전한 분리를 거부하였다는 점에 주목하며, 자연적 본성이 우리에게 해답이 아닌, 도약을 위한 시작점과 자연적 재료를 제공한다고 보았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의로 돌아갈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할 경우 우리가 참고하고자 하였던 인간 본성에 대한 사실은 우리에게 객관적으로 주어지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좋음(goodness)에 대한 끊임없는 대화 속에서 발견되는 것이자, 언제나 수정 가능한 성찰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공동의 고정된 결론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의 지속적인 과정을 통해 더 강한 객관적 도덕적 진실로 나아가는 것으로, 서로를 믿을 만한 상대로 인식하고 신뢰하며 시작하는 대화가 보편성과 특수성의 조화를 위해 무엇보다도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포착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결론적으로 우리의 공동의 기준을 찾아가는 대화의 과정이 어떻게 현실화될 수 있을지에 대한 교육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친애(philia)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술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대화가 가지는 의의를 확인하였으며, 시민들 사이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우리의 좋음의 기준을 확인하고, 실천적 지혜를 통해 나와 너의 관심과 욕구를 반영하는 연습의 과정이 처음에 제기된 보편성과 특수성의 괴리를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본고는 이러한 이상을 실현시켜줄 수 있는 대화 교육을 위해, 목적적 대화를 위한 문제 상황을 구성할 것, 구체적인 맥락 및 나와 괴리되지 않는 주제를 선정할 것, 협력자로서 대화 상대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가질 것과 같은 조건들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논의들을 토대로, 본고에서는 최종적으로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관점에 기초한 덕 교육이 국내의 도덕교육에 주는 함의를 교육 목표 설정, 내용 요소 선정, 교수·학습 방법 개선, 교육 환경 구성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본고의 논의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아리스토텔레스와 관련된 논의들의 대부분이 결여하고 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메타윤리학적 가정에 대한 검토를 종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단, 인간에 대한 신뢰와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지속적이고 협력적인 대화를 강조하는 본고의 결론은, 객관적인 도덕적 진실의 확실성을 찾던 사람들에게는 다소 실망스러운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칸트(Immanuel Kant)가 종국에 신 존재에 대한 믿음을 요청하였던 것과 달리,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논의 끝에 도출되는 것은 나의 눈앞에 살아 숨 쉬는 인간에 대한 믿음이다. 도덕교육과 윤리학이 결국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생각하게 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결론이 단지 문자로만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타인을 대하는 나의 태도를 성찰하게 하고, 나아가 실제의 삶에서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등, 우리의 삶에 생생한 함의를 가지기를 희망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4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9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