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심정지 시간에 따른 좌심실 유출로 직경의 변화 : Changes of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diameter with cardiac arrest time(Clinical observational studies and preclinical animal experiments)
임상적 관찰 연구 및 전임상 동물 실험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윤앙

Advisor
권운용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심폐소생술심정지 시간좌심실 유출로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의과대학 임상의과학과, 2022.2. 권운용.
Abstract
연구 배경
심폐소생술에서 혈류는 좌심실 유출로를 통해서 장기에 혈액을 공급한다.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게서 경식도 초음파 상에 좌심실 유출로의 폐쇄 여부는 생존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진 바 있으며, 본 연구진 역시 경식도 초음파에서 좌심실 유출로의 감소 및 폐쇄가 확인된 환자는 자발순환 회복되지 않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심정지 시간과 좌심실 유출로와 연관성이 밝혀진 바가 없으며, 시간에 따른 좌심실 유출로의 변화를 관찰한 바가 없다.

연구 목적
첫번째는 심정지 환자에게서 응급실 내원까지의 시간과 좌심실 유출로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함이며, 두번째는 돼지 심정지 모델에서 시간에 따른 좌심실 유출로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첫번째 임상연구는 전향적으로 수립된 자료에 대한 후향적 관찰 연구이다. 일차결과는 자발순환 회복된 군과 자발순환 회복되지 않은 군에서 병원전 심정지 시간과 좌심실 유출로 직경의 비교이며, 범주형 변수는 빈도수와 백분율(%)로 표기하였고 빈도분석은 카이제곱 검정과 피셔의 정확성 검정을 사용하였다. 연속형 변수는 중앙값(median)과 사분위범위(interquartile range)로 표기하였다. 2차 결과는 병원전 심정지 시간과 초음파 변수들과의 연관성이며, Pearso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두번째 동물실험연구는 좌심실 유출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란변수를 최대한 통제하여서 심정지 시간에 따른 초음파 변수들의 변화를 보는 관찰연구이다. 시간에 따른 초음파 변수들의 상관관계는 단순회귀분석을 시행, 시간 구간에 따라서 반복 측정된 초음파 변수들의 유의성 확인을 위해서 bonferrnoi adjustment 사후 검정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발순환 회복되지 않은 군에서 병원 전 심정지 시간은 유의하게 높았으며(38.0min versus 28.0min, p = 0.023), 좌심실 유출로 직경은 유의하게 작았다(16.8mm versus 9.6mm, p = 0.01). 좌심실 유출로 이완기 직경이 12.9mm 미만인 환자에게서 자발순환 회복된 환자는 없었다. 병원 전 심정지 시간은 좌심실이완기내경(R = -0.5), 수축기 좌심실 유출로 직경(R = -0.56), 이완기 좌심실 유출로 직경(R = -0.7) 순으로 음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돼지 심정지 모델에서 시간에 따른 초음파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 좌심실이완기 용적%(R2 = 0.81), 좌심실 유출로 직경%(R2 = 0.53), 좌심실 중격벽 두께%(R2 = 0.33) 순으로 결정계수가 확인되었다. Bonferrnoi adjustment 사후 검정 결과 좌심실 이완기 내경%은 심정지 20분후부터 유의한 감소(p = 0.002), 좌심실 유출로 직경%은 심정지 45분후부터 유의한 감소(p < 0.001)가 확인되었다. 좌심실 중격벽 두께%는 심정지 60분까지도 유의한 증가가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돼지 심정지 모델에서 심정지 시간이 길어지면 좌심실 유출로의 직경의 감소가 발생한다. 심정지 시간이 길어지면 좌심실 이완기 용적%의 유의한 감소가 먼저 선행되며, 임계시간(45분)을 지나면서 좌심실 유출로 직경의 유의한 감소가 발생한다.
Background
Forward flow supplies blood to vital organs through the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LVOT)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LVOT opening is associated with successful resuscitation after cardiac arrest(CA). Our team identified that patients without LVOT opening and with small LVOT has been failed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ROSC).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LVOT diameter and CA time is still un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VOT diameter and CA time.

Methods
The clinical study is a retrospective observation study on the prospectively established data. The primary outcome is a comparison of prehospital CA time and LVOT diameter in the group with and without ROSC. The animal study is an observational study measuring changes in transesophageal ultrasound parameters according to CA time.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correlation of ultrasound variables according to time,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Bonferroni post-hoc test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ultrasound variables measured repeatedly according to time interval.

Results
The prehospital CA time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for non-ROSC groups (38.0minutes) than ROSC-groups (28.0minutes). LVOT diameters was significantly small (p < 0.05) for non-ROSC groups (9.6mm) than ROSC groups (16.8mm). The correlation with CA time was shown in the order of left ventricular diastolic volume(LVEDV)% (R2 = 0.81), LVOT% (R2 = 0.53), and septal wall thickness% (R2 = 0.33). LVEDV%, LVOT% decreased significantly respectively after 20minutes (p = 0.002) and 45minutes (p < 0.001) of CA.

Conclusions
LVOT diameter decrease with prolonged CA tim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4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39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