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오진(吳鎭, 1280-1354)의 작화(作畵) 방식 연구 : A Study of Wu Zhen's (1280-1354) Practi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지영

Advisor
장진성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오진작화(作畵) 방식문인화가묵희(墨戲)어부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22.2. 장진성.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life of Wu Zhen (1280-1354) and the ways Wu produced works of art. Unlike the widespread view which regards him as a typical literati painter, Wu Zhen was a painter who was deeply engaged in commercial transactions.
Wu Zhen was designated as one of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late Yuan dynasty in the Ming period (1368-1644). Since the Four Great Masters were highly venerated in the late Ming, there exist numerous apocryphal anecdotes about Wu. For instance, Dong Qichang (1555-1636) appreciated Wu Zhen for conforming to the literati ideal compared with Sheng Mao (active ca. 1310-1360), who lived near Wu Zhen in the town of Weitang but produced paintings for commercial purpose. However, in fact, Wu Zhen's motivation and creation of painting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literati painters who traditionally painted for self-cultivation and never sold paintings.
Sun zuos (ca. 1340-1424) Mozhuji (ca. 1346) suggests that Wu Zhen might have accepted good paper and brushes in return for his painting. Back then, it was customary to give a gift instead of cash to the literati painters who wished to avoid cash payment in transaction of painting. In his poem in the Meidaoren yimo (17th century), Wu Zhen professed that he could no longer pursue ink-plays which were perceived as an ideal of literati painting. Moreover, the poem implies that the demand on Wus paintings had increased over time. Indeed, his everyday life as a painter was not solely aloof from the secular world like a recluse. He could not be detached from worldly concerns as stated in his inscription on Poetic Feeling in a Thatched Pavilion, dated 1347, now in the Cleveland Museum of Art.
The commercial aspects of Wu Zhens paintings can also be revealed by examining the format and material of his paintings. Most of his surviving works in the format of a hanging scroll or handscroll, are considerable in size. These marketable sized paintings imply that Wu did not refuse to create paintings for commercial purpose. Furthermore, more than one-third of his paintings was painted on silk. Due to its slick and less absorbent attributes, silk makes the production of a painting time-consuming. Therefore, silk was generally chosen for commercial or formal paintings, while paper was normally used for informal ink-play paintings. Even Wus now lost paintings show the same tendency in format and material as his surviving paintings.
Paintings on the theme of fisherman constitute a large part of Wu Zhen's oeuvre. Scholars have considered the fisherman in Wus Yufu tu (Fisherman) to be his self-image as a true recluse. On the contrary, his fisherman paintings can be interpreted as commercial works. Wus surviving paintings of fisherman are mostly large hanging scrolls or long handscrolls, half of which are painted on silk. In addition, the hermit-fisherman portrayed in Wus Yufu tu, symbolic of an unemployed scholar, was a preferred motif by the literati class who were forced to give up becoming a scholar-official or governing class under the rule of Mongols at the time especially in the Jiangnan region. Considering such historic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s, Wu might have repeatedly created Yufu tu in response to his literati clients requests, not for self-expression.
본 논문은 오진(吳鎭, 1280-1354)의 작화(作畵) 방식에 대한 연구이다. 필자는 오진의 작품들과 문헌기록들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어떻게 생활하고 작업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오진은 명대(明代)에 황공망(黃公望, 1269-1354), 예찬(倪瓚, 1301-13 74), 왕몽(王蒙, 1308년경-1385)과 함께 원말사대가(元末四大家)로 불렸다. 명(明) 후기에 원말사대가가 상찬(賞讚)을 받으면서 오진의 행적에 관해서도 많은 일화(逸話)들이 생겨났다. 대표적으로 동기창(董其昌, 1555-1636)은 오진과 성무(盛懋, 대략 1310–1360에 주로 활동)를 비교하였다. 그는 오진이 성무와 달리 화가로서의 명성에 연연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높이 평가하였다. 그러나 손작(孫作, 1340년경-1424)과 유기(劉基, 1311-1375)의 기록을 통해 볼 때 오진은 당대(當代)에 이미 뛰어남을 인정받았던 화가였다.
오진이 작품을 제작하는 방식은 전통적으로 문인화가들이 취미로 자신을 수양하기 위해 그림을 그린 것과는 달랐다. 그는 그림의 상업적인 거래에 깊이 관여하였다. 손작은 「묵죽기(墨竹記)」(1346년경)에서 그가 그림을 그려주는 대가로 좋은 종이와 붓을 받았음을 암시하였다. 그림의 거래 과정에서 현금을 사용하는 것을 꺼려했던 문인화가들은 그림값으로 선물을 많이 받았다. 오진의 시문을 모아 편찬된 『매도인유묵(梅道人遺墨)』(17세기)에는 그가 더 이상 묵희(墨戲)로 그림을 그릴 수 없게 되었음이 언급되어 있다. 의 제시(題詩)에서 오진은 속세의 일들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말하고 있다. 오진은 화가로서 그림 주문에 대응하며 바쁜 일상을 보냈을 것으로 여겨진다.
오진이 그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형식(format)과 재료를 살펴보면 그의 그림이 상업적인 성격을 지닌 그림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전하는 오진의 작품들은 대다수가 축(軸) 또는 수권(手卷, 두루마리) 그림이며 그 크기도 큰 편이다. 또한 현전하는 작품들 중 3분의 1 이상이 비단에 그려졌다. 비단은 매끄럽고 흡수력이 약하기 때문에 비단에 그림을 그릴 때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비단은 일반적으로 상업적, 공식적인 그림을 그릴 때 사용되었다. 문헌에만 기록되어 있는 오진의 작품들 또한 축 그림 또는 수권 그림이다. 재질을 확인할 수 있는 그의 그림들 중 절반 이상이 비단에 그려진 그림이다.
오진의 어부도(漁父圖)는 은일 생활을 하는 오진이 그의 자아를 표현한 작품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필자는 오진의 어부도를 상업적인 그림으로 해석하였다. 현존하는 어부를 주제로 한 오진의 작품들은 두 점을 제외하면 대형 축 그림이거나 긴 수권 그림이다. 이 그림들 중에서 절반은 비단 위에 그려졌다. 또한 어부 주제는 원(元)나라 후기 문학과 회화에서 성행하던 주제였다. 오진은 장지화(張志和, 732년경-810년경)와 같은 은자형(隱者型) 어부를 그림에 묘사하였다. 그림에 표현된 어부와 같이 벼슬에 나가지 않고 은둔하며 지냈던 문인들은 오진의 어부도를 감상하며 공감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오진은 문인들의 요청에 응하여 어부도를 지속적으로 그렸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오진이 그림의 상업적인 거래에 연루되었던 화가였음을 밝히고자 한 시도이다. 필자는 오진의 일상생활과 작화 방식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의 그림이 지닌 상업적인 성격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필자는 오진의 어부도가 문인들의 요청해 응하여 그려진 그림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8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55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