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민자 유입이 한국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The Effect of Immigration on Urban and Rural Economy: Spatial relationship and SUR model for economic growth, unemployment and employment
- 공간 관계 분석과 SUR 모형을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차용호

Advisor
임도빈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외국인 인구이민의 경제적 효과외국인 밀집 거주 지역지역 경제성장(GRDP)실업고용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22.2. 임도빈.
Abstract
외국인 인구가 지역에서 새로운 행위자로 등장하면서 외국인 인구의 거주 분포와 밀집 거주지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밀집 거주의 수준은 외국인 인구의 비율(%) 또는 거주 분리로 측정된다. 본 연구는 외국인 인구의 유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에서 외국인 밀집 거주의 수준에 따라 그 효과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외국인 이웃의 외부효과에 대해 이론적 논쟁이 있음을 설명한다. 지역의 경제성장은 생산요소(인력)의 공급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공급중시이론을 활용하고,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는 노동총량설과 대체재 또는 보완재 관계에 따라 서로 대립하는 논쟁을 활용한다. 그리고, 이민의 공간적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공간분석을 시행하고, 지역 경제성장․실업․고용에 대해 동시에 한꺼번에 분석하는 연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분석 결과의 적실성을 높이고자 한다.
분석지역은 전국 시군구, 수도권, 비수도권, 농촌의 4가지로 구분한다. 독립변수는 등록외국인과 동포(F4)를 합한 외국인 인구가 채택된다.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는 외국인 인구로부터 추정되고, OECD 기준에 따라 영구․준영구적 및 한시적 외국인으로 분류하고, 전문인력 및 비전문인력 외국인으로 분류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보면, 외국인 인구의 유입 및 밀집 거주지는 지역내총생산, 실업, 고용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량통계 분석을 통해 밝히지 못하는 이민의 공간적 효과가 있음이 분석되었다. 다만, 지역 구분에 따라 상이한 분석 결과가 나타난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클러스트 지도 분석에 따르면, 외국인 인구의 각 구분, 외국인 인구의 비율, 거주 분리는 높은 수준으로 공간적 연관성과 공간 군집이 형성되고 있다. 특히 농촌에서는 수도권, 비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공간적 연관성이 측정되었다. 또한, 계량통계 분석에 의한 상관관계를 보면, 농촌에서 외국인 인구 및 65세 이상 취업자, 외국인 인구 및 농업임업어업 취업자 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국인 인구의 유입으로 인해 지역내총생산(GRDP)이 증가한다. 특히 농촌에서 외국인 인구와 지역내총생산 간 상관계수는 0.916으로 매우 높고, 공간적 상관성도 매우 크게 나타났다. 전국 시군구에서 패널 확률효과 SUR 분석(조절변수)에 따르면, 외국인 밀집 거주의 수준(외국인 인구의 비율 또는 거주 분리)이 높을수록 지역내총생산 증가가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수도권에서 외국인 인구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가 지역내총생산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촌에서 횡단면 SUR 분석에 따르면, 외국인 인구의 비율이 높을수록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가 지역내총생산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강화하는 조절효과가 분석되었다. 다만, 거주 분리는 이웃의 부정적 외부효과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전국 시군구에서 더미변수 분석에 의할 때 거주 분리의 수준이 높은 지역은 낮은 지역에 비해 지역내총생산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인구의 유입은 실업에 부정적 효과가 있지만, 65세 이상 취업자 증가 및 건설업, 광제조업, 농업임업어업 취업자 증가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산요소와 소비자 역할을 겸하는 외국인 인구가 유입되어 지역 경제성장은 증가하고, 실업과 고용은 서로 상쇄하는 측면이 있다. 패널 확률효과 SUR 분석에 따르면, 농촌에서 외국인 인구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낮은 지역에 비해 외국인 인구가 증가할수록 실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시군구에서 외국인 인구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가 증가할수록 건설업 취업자 증가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수도권에서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는 65세 이상 취업자 증가에 대해 부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을 구분한 더미변수 분석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외국인 인구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65세 이상 취업자와 광제조업 취업자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 인구의 각 구분 모두는 지역경제에 공간적 연관성과 공간 군집이 형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는 지역내총생산, 실업, 고용에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비(非)전문인력 외국인 인구는 전문인력보다 지역 경제성장(GRDP)에 긍정적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국인 인구가 광제조업 취업자 증가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건설업 취업자 증가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농촌에서 외국인 인구는 65세 이상 취업자 및 농업임업어업 취업자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에서 예상 밖의 분석 결과가 나타난 원인의 하나는 인구 고령화 및 내국인이 농업임업어업에 종사를 기피 하는 현상으로 인해 농어촌에서 필요한 인력이 외국인 인구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 반영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가진 정책적 함의는 우선, 지역 구분에 따라 외국인 유입정책이 달리 수립될 필요가 있다는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수도권의 경우 동심원 구역 모형이 적용되므로 수도권을 하나의 영역으로 보아 외국인 유입정책 분석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농촌의 경우 외국인 인구의 유입으로 인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므로 정부의 정책도 이러한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외국인 밀집 거주의 수준은 조절효과가 존재한다는 실증적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외국인 인구의 비율은 이웃의 긍정적 외부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거주 분리의 효과는 경제적 측면에서 일부 긍정적인 면도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국 시군구에서 횡단면 SUR 분석에 따르면, 거주 분리가 높은 지역은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가 늘수록 주민의 실업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것은 도시생태학․경제생태학적 관점, 좋은 분리 또는 나쁜 분리의 관점뿐만 아니라, 소수민족 인클레이브 경제로 발전될 가능성이 배제할 수 없어 외국인근로자의 사업장 이동 제한 폐지 등 향후 경제․사회적인 종합 분석이 필요하다.
The distribution of residences of the foreign population is spreading across the country, and the number of ethnic agglomerate is increasing. Therefore, the background of starting this research is the curiosity about what effects are caused by ethnic agglomerate on the local economy.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ethnic agglomerate tend to focus mainly on mutual aid for foreigners and ethnic businesses.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intends to prove that immigration or ethnic agglomerate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the local economy and the labor market of residents. The level of ethnic agglomerate is measured as a percentage of the foreign population or residential segregation. Therefore, in the effect of the influx of foreign population on the local economy, what kind of change occurs in the effect depending on the level of ethnic agglomerate is analyzed.
This research explains that there are theoretical debates about the externalities of foreign neighbors. The supply-oriented theory is used, which states that regional economic growth is affected by the supply of production factors (manpower). As for the effect on the labor market, conflicting arguments are used depending on the Lump of labor the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itutes or complements. Through this, we are examining the effect of the influx of immigrants on the local economy.
In order to reflect the spati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immigration on the local economy, spatial relationship and spatial cluster analysis are conducted. In addition, by applying a research method that analyze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simultaneous correlation of three variable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relevance of the analysis results.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foreign population, which is the sum of registered foreigners and foreign nationals who have been issued F4, measured on a regional basis.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s estimated from the foreign population, classified as permanent and temporary foreigners according to OECD standards, and classified as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foreigners. The analysis area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nationwide, metropolitan area, non-metropolitan area, and rural a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it has been proved that the foreign population intensively resides in a specific area, which has an effect on the economic growth and labor market of that area. It is analyzed that the inflow of the foreign population and ethnic agglomerate have an effect on the GRDP,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 spatial effect of immigration that cannot be revealed through econometric analysis.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analysis results differ depending on the region. The main meaningfu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luster map analysis, the foreign population, the proportion of the foreign population, an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show a high level of spatial correlation and spatial clustering. In particular, in rural areas, spatial correlation is measured relatively high compared to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ased on econometric analysis in rural areas,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foreign population and the employed over 65 years old, the foreign population and the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The influx of foreign populations increases the GRDP. In particular, in rural are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foreign population and the GRDP is 0.916, which is very high, and the spatial correlation is also very high. According to the panel random effect SUR analysis nationwide, it i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thnic agglomerate(proportion of foreign population or residential segregation), the higher the GRDP. In non-metropolitan regions, it is analyzed that the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foreign population reinforce the effect of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ncreasing the GRDP.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UR analysis in rural area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the foreign population, the more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s to increase the GRDP.
Although the inflow of the foreign population has an effect on increasing unemployment, it appears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aged 65 and over and the increase in employment in the construction, manufacturing,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industries. In other words, the influx of foreign populations who serve both as factors of production and consumers increases regional economic growth. Unemployment and employment are mutually exclusive. According to the panel random effect SUR analysis in rural areas, the unemployment rate decreases as the foreign population increases in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foreigners compared to regions with a low proportion. In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foreign population in the countr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ntensifie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employ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n non-metropolitan areas appears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aged 65 and o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ummy variables divided by region, in the metropolitan area, in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foreign population, those aged 65 and over and those employed in manufacturing are relatively higher.
It is analyzed that spatial correlations and spatial clusters are formed in the local economy for each division of the foreign population. In particular, the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has a relatively high effect on GRDP,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t is analyzed that the non-professional foreign population has a greater positive effect on GRDP than the professional foreign population. The positive effect of the foreign population on the increase of employmen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analyzed to be greater than the effect on the increase in employme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particular, the foreign population in rural areas appear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ose aged 65 and over and those employed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ne of the reasons for the unexpected analysis results in rural areas is the fact that the labor force required in rural areas is highly dependent on the foreign population due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phenomenon of Koreans avoiding engaging in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data suggesting that different policies for influx of foreigners need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regional classification are presented. In the case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Concentric Zone Model is applied,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tropolitan area as one area and reflect it in the analysis of the foreign population inflow policy. In the case of rural areas, the influx of foreigners has positive effects, so the government's policies need to reflect these changes. In additi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ethnic agglomerate has a moderating effect. As for the proportion of the foreign population, positive externalities of neighbors exist. However, the effect of residential segregation sometimes has some positive aspects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For example, according to a cross-sectional SUR analysis across the country, it is analyzed that unemployment decreases as the number of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ncreases in regions with high residential segregation. This is not only a social point of view of good segregation or bad segregation, but also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an ethnic enclave economy, so a comprehensive economic and social analysis is needed in the futur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1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9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