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선희 문학 연구 : A Study on Lee Sunhees Litera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행춘굉

Advisor
방민호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이선희위치 정치학주체성가부장제교섭자기만의 방낭만성현모양처제국주의해방직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2.2. 방민호.
Abstract
버지니아 울프가 『자기만의 방』에서 여성 독립을 위해 돈(경제적 독립)과 자기만의 방(독립적인 사고의 공간-정신적 독립)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본고는 이런 이론을 바탕으로 에이드리언 리치(Adrienne Rich)의 위치의 정치학(Notes toward a politics of location)과 데니즈 칸디요티(Deniz Kandiyoti))의 가부장제와 교섭하기(Patriarchal bargain)이론을 같이 참조이론의 틀로 삼아 여성 작가 이선희의 문학적 세계를 전체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선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소설 작품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소설 작품 이외의 콩트·소품·수필·평론문·감상(鑒賞)문 등 여러 장르의 대부분 작품들은 줄곧 이선희 문학의 주변부로만 간주되었고 아직까지 본격적인 문학연구의 텍스트 대열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주목할 만한 것은 이선희의 문학 창작에 있어서 수필은 소설보다 못지않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이선희의 수필 작품들은 독자적인 일파를 이루었으며 섬세하고 재치 있는 필치로 그녀의 문학적인 낭만성과 감상성을 가장 뛰어나게 표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내용의 면에서도 소설만큼 풍부하고 소설 작품들과 같이 묶어서 살펴볼 가치가 충분히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 점에서 콩트·소품·평론문·감상문 등 기타 작품들도 마찬가지였다. 더욱이 이선희의 소설 작품 중에서 비교적으로 소홀시된 작품들과 기존 연구에서 전연 누락된 작품들도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고에서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단선적이고 일관된 의미로 해석하는 데 다소 경솔한 면이 있는 이선희 문학을 총체적으로 포착할 수 있도록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모두 고찰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렇기 위해 먼저 서지학 정리와 원본 텍스트의 확보를 선행해야 하였다. 그동안 이선희 문학 작품에 대한 서지학 정리와 원본 확보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韓國近代短篇小說大系2』의 「女流短篇傑作集」 부분에 수록된 이선희의 짧은 자서전 한 편과 개작된 단편 소설 「연지」와 『現代朝鮮文學全集(随笔篇)第一卷』(『隨筆紀行集』)에 수록된 수필 「鄉土有情記」(부제-다람쥐)와 『越北作家代表文學5』에 실린 4편의 소설 작품과 간략한 작가 소개, 그리고 서정자가 편낸 『한국근대여성소설 연구』의 부록 부분에 정리되어 있는 이선희의 작품 연보(소설과 수필 위주)와 작고문인선집 시리즈 도서 편집부에서 출판한 『이선희 소설 선집』에 실린 10편의 소설 작품과 작가 연보는 지금까지 확인할 수 있는 이선희의 모든 수록작과 문학적 행보에 대한 연구 성과였다. 비록 작품의 제목명이나 출처, 그리고 발표 일자 등 부분에서 오류가 없지 않고 작품들이 누락되거나 부분 수록 혹은 중복 수록된 점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자료와 선행 연구의 성과들이 필자가 이선희의 작품 연보를 체계적으로 재정리하고 소설과 수필, 평론 등 여러 장르의 작품 원본을 일일이 확인 및 확보하는 데 크게 일조하였다. 특히 서정자가 제공한 작품 발표 지면에 관한 참고자료(신문과 잡지명)들이 신뢰할 만하고 큰 도움을 주었다. 본고는 이와 같은 일차적 자료들과 선행 연구의 성과를 기초로 삼아 신문지와 잡지에 발표된 이선희의 작품들을 확인하고 기존의 연보를 수정·보충하여 새로 작성한 이선희 작품 목록을 부록에서 같이 수록하였다. 이런 작업을 바탕으로 필자가 이선희의 작품들을 시기별로 분류하여 초기 작품, 중기 작품, 후기 작품으로 나누었다.
2장에서는 이선희가 작가로서 활동하던 30년대 문단 상황에 대해 간략하게 고찰해 보았고 이런 문단 배경 속에서 이선희의 초기 작품에 나타나는 소녀적인 감수성과 근대적인 감각을 검토하였다. 두 편의 소설의 경우 모두 자유연애에 대해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가등」은 여주인공 명희가 예전의 애인과 결별하고 거리를 배회하면서 목숨만큼 가치 있는 일과 신경이 현혹하도록 재밌는 일을 계속 찾아가는 모습으로 끝을 맺고 있는 반면에 「오후 11시」에서 애인을 보러 가기 위해 늦게 귀가한 소녀 수은과 딸의 귀가를 고대하는 무서운 가부장적 아버지 간의 신경전을 그리고 있다. 명희와 수은은 둘 다 자유연애를 동경하다가 장벽과 부딪치게 된다. 명희가 해결책으로 찾고 있는 가치있는 일은 곧 여성으로서 얻을 수 있는 괜찮은 직업, 즉 경제적 독립으로 환원될 수 있고 재미있는 일은 곧 간섭받지 않는 독립적인 공간에서 사고하는 것으로 환원될 수 있다. 가부장적 아버지가 없었으면 하는 수은의 마음 또한 아버지의 집으로 상징되는 가부장적 통제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방을 갈망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처럼 자유연애를 꿈꾸는 소녀들은 자기가 경제적과 정신적인 이중적 규제 받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게 되고 그런 통제를 벗어나고자 하는 의욕이 태동되는 모습을 드러낸다. 수필의 경우 이선희의 소녀적 낭만성이 섬세한 필치로 표출되는 동시에 식민지 현실에 대한 감상적 술회도 같이 드러났다.
3장에서는 이선희의 중기 작품에서 형상화하고 있는 가족·혼인 제도 내·외의 여러 가지 여성상들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위치의 정치학 이론을 바탕으로 여러 종류의 여성상들을 그들이 각자 국가와 민족, 사회, 가족의 담론 속에서 처하고 있는 위치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누고 그들의 차이와 다름을 분석함으로써 나름대로의 주체성을 확인해 주려고 하였다. 먼저 아내라는 제도적 자리를 획득하는 현모양처상이다. 현모양처의 인물형 중에서도 조혼한 가난한 농촌여성과 신식결혼을 통해 스위트홈의 안주인이 된 중산계층 신여성으로 분류해서 탐구하였다. 그 다음으로 조혼 관습의 유폐와 자유연애 담론의 성행이라는 이중적인 시대적 압력으로 인해 피해를 보게 된 제2부인 여성상이다. 마지막으로는 기생과 이혼녀와 같이 혼인과 가족의 경계선 밖에 아웃사이더로서 존재하는 이탈적 여성상이다. 이 세 가지 여성상은 그들의 계급, 신분, 사회적 지위에 따라 각각 다르고 복잡한 지배·복종의 권력 장에서 주체적으로 움직였던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특히 전통적인 구여성의 주체성을 검토할 때 가부장제와 교섭하기 이론과 결합해서 같이 분석하였다. 또한 신식 교육을 받든 신여성이든 전통적인 구여성이든, 가정부인이든 매춘 여성이든 간에 이선희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거의 모든 여성 인물들이 결국 비극을 맞이하게 된 이유는 버지니아 울프가 강조하는 자기만의 방을 확보하지 못한다 점에서 찾아보려고 하였다.
4장에서는 일제 말기 제국주의의 담론 속에서 여성 작가이자 여기자인 이선희, 작중 인물인 가정부인, 약혼 여성, 백화점 타이피스트 등 여러 종류의 여성들이 각각 어떤 다른 방식으로 군국의 어머니와 총후부인이라는 호명에 휘말리지 않고 오히려 역으로 이런 제국주의 담론의 허구성을 들추는 것인지에 대해 다루었다. 그리고 해방직후 발표된 소설 「창」에 관해서는 기존의 연구처럼 남성 주인공에 매몰되고 「창」을 전향 소설이라고 성급하게 판단하는 대신에 여성 인물들에게로 시선을 돌리고 그들의 입장에서 작품을 새롭게 해석하는 시도를 해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프로 문학의 관점에서 남성 주인공의 소시민성을 탐구하거나 작품을 통해 이선희라는 여성 작가의 정치적 입장을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남주인공들의 아내에게 주의를 기울이고 여성들의 입장에서 출발하여 해방 이후 전국적으로 퍼져나간 토지개혁론의 허구성을 고찰하고 이로 인한 가정의 파열과 여성 주인공들의 비극, 내지 혼인의 대한 암흑한 전망을 확인하였다,
이선희는 『신여성』지에서 여기자로 등단한 이후부터 줄곧 조선에서 사는 다양한 계층의 각양가색 여성들의 삶들을 가까운 데서 관찰해 보고 그들의 삶
에 반영되는 여성문제들을 다루는 다양한 작품을 꾸준히 써 왔다.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조선 남성과 여성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식민지화를 겪었을 뿐만 아니라 여성 자신도 다양하게 분화되어 각 층위의 여성 집단이 존재하고 여성 집단 내부에조차 차이가 존재했다는 것을 뚜렷하게 보여주었으며 역사에서 소외되어 주변화되고 종속적인 위치로 묘사된 여성들이 나름의 방식을 통해 주체성을 획득하는 모습을 형상화함으로써 여성을 역사의 주체로 제자리 매기려고 한 창작 의도가 특이적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mplete works of the womanauthor Lee Sunhee and attempts to shed light on her literature based onAdrienne Richs Notes Towards a Politicsof Location whilst also drawing upon Deniz Kandiyotis Bargaining with Patriarchy and Virginia Woolfs A Room of Ones Own. The existingresearch on Lee Sunhees work has looked primarily at her novels, whilst heressays, contes, short works, critiques, reviews, and various other works havebeen relegated to the periphery, and have yet to be properly studied. Heressays in particular hold a position no less important than her novels when itcomes to her literary creation. Lee Sunhees essays form a unique school ofthought and best express her literary romanticism and sentimentality with adelicate and witty writing style. In terms of content, her essays are every bitas abundant and worthy of attention as are her novels. Furthermore, some of hernovels have yet to receive the attention they warrant and others have been leftout entirely from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will look at works of variousgenres, including her novels, essays, contes, critiques, and reviews, in orderto give a more holistic analysis of Lee Sunhees literature.
To do this, first,it will be necessary to organize Lee Sunhees bibliography and obtain heroriginal texts. Such a task has yet to be completed systematically. The list ofdates for Lee Sunhees works included in the appendix for Research on Contemporary Korean Women Authors by Seo Jungja, theten novels and the authors details included in Selected Novels by Lee Sunhee published by the Jakgomuninseonjip series editing department, as well as the fournovels found in the Representative WolbukLiterature 5 were very helpful in organizing the dates for Lee Sunheesworks and in obtaining the original texts of her novels, essays, and works ofvarious other genres. A relatively systematic list of the dates for LeeSunhees works is included in this dissertations appendix.
Based on the workcompleted by previous researchers, I divide Lee Sunhees writings into herearly, mid-period, and late works. In the second section, I consider theliterary world of the 1930s in which Lee Sunhees worked as an author, and thenlook at the young girl romanticism that appears in her early works against thebackdrop of said literary world. In particular, I attempt to show through heressays that a sentimentality is latent within the romanticism of her work. Insection three, I inspect various images of women in and outside the family andmarriage system that are found in Lee Sunhees mid-period works. Here, utilizingthe the politics of location theory, I divide these female images into threelarge types based on their positions within national, ethnic, social, and familialdiscourses, and attempt to uncover agency by examining their differences. Thefirst type is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image which acquires thesystematic status of wife. Amongst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characters, I distinguish between, and analyze, lower-class women from farmingbackgrounds who married early, as well as middle-class women who became sweethome house wives through new-style weddings. The next type is the secondwife who is harmed by early marriage and free love. Finally, there aremarginalized women who exist outside the borders of family and marriage. Thesemarginalized women can be divided into sex workers and divorced women. Thesethree types of women show agency within the complex power structure of controland dominanc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lass, status, and social position.In particular, when examining the agency of traditional women, I draw upon thetheories in Bargaining with Patriarchyfor my analysis. In addition, whether traditional or modern, educated or uneducated,almost all the women in Lee Sunhees works eventually meet with a tragic end,the reasons for which I attempt to uncover using Virginia Woolfs A Room of Ones Own.
In section four, Idiscuss how within the late Japanese imperial period discourse, female authors,housewives, fiancées, department store typists, lower-class farming communitywomen, and other types of women denied the call to become mothers for a nationat war and wives behind the front line and instead reveal the fiction of theimperial discourse. Additionally, with regards to the short story Windowpublished right after liberation, I break with previous research which focusedon the male characters and declared the work to be a change in Lee Sunheespolitical though, and instead look at the female characters to provide a newanalysis. In other words, instead of trying to ascertain Lee Sunhees politicalposition by looking at the main male characters petit bourgeois qualities froma proletarian literature perspective, I will give attention to the maincharacters wife and younger sibling and examine the problem of landreformation which occurred at a nation-wide scale from their perspectives.
After debutingas a female reporter for the magazine Sinyeoseong,Lee Sunhee observed the lives of women in Joseon from various classes at aclose range and consistently wrote novels, contes, short stories, and otherliterary works that dealt with the problems reflected in their lives. Sheshowed that Joseon men and women not only experienced colonization in differentways, but also that women themselves were an internally diverse group withdifferent layers and classes. Her intention to reinstall women, who had beenmarginalized and subordinated, as agents in history by showing the various waysin which they attain autonomy, stands out in particular.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1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68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