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전협상 과정에서 반공포로 석방이 한미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anti- communist POW's release during the armistice negotiations on Korea- U.S rela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나탈리야

Advisor
박태균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반공포로 석방한미관계한미상호방위조약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2022.2. 박태균.
Abstract
In terms of Korean security, the U.S.-R.O.K. alliance has been the core since the U.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and the conclusion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has become an origin and a legal basis of the R.O.K.-U.S. alliance since it has been signed just few months later the Armistice Agreement. There is no discourse over the importance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in the R.O.K-U.S. alliance as it is the key basis for maintaining and guaranteeing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in spite of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ere are controversial opinions about the background and the content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There is a perception that the signing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was regarded as a contribution and achievement of President Syngman Rhee, who was able to drive out communist forces from the Korean Peninsula. Meanwhile, there is an opposite perception on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as an unequal treaty, which intensified South Korea's military dependence on the United States and might be the root cause of serious inequality and controversy in R.O.K.-U.S. relations even nowadays.
These conflicting evaluations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can also be viewed as an evaluation of President Rhee and his policy, since he was a key player in the signing of the treaty. The Release of anti- communist prisoners of war was made independently by Rhee a month prior to the Armistice Agreement. It was a part of Rhees strategy and diplomacy. The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P.O.W.) Release has been considered as a big contribution and achievement of the anti- communist policy conducted by the Rhee administration by some researchers. However, such a perception was challenged by studies, showing that the Release of P.O.W., in fact, led to a deterioration of R.O.K.-US relations and constituted an important stepping stone in concluding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Then is it appropriate to view Rhee diplomatic skill as a president with successful, nationalistic for the country? Did President Rhee achieve all the goals he wanted to by rebelling against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Nations with the incident of releasing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historical re-evaluation of the release of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by analysing how it affected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Furthermore, I would like to figure out how those two historical events that occurred 68 years ago have an impact on the ROK-U.S. alliance today, and how it will contribute to strengthening and play in developing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한미 동맹의 역사는 미국의 한국전쟁 참전을 시작으로 오 늘날에 이르기까지 60여 년간 한국안보의 핵심이었다. 한국전쟁 직후 1953년 10월 1일 체결된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미동맹의 기원이자 법적 근간이 되어 왔다. 한미동맹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 보장하는 핵심근거라는 점에서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역사적 중요성을 떠나 한미상호방위조약의 내용과 배경에 대해서는 수많은 엇갈린 평가 들이 존재한다.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은 한반도에서 공산주의 세력을 몰아낼 수 있었던 이승만 대통령의 공이자 업적으로 평가 하는 시각이 있는 반면 한미상호방위조약은 불평등한 조약이었으 며 한국의 미국에 대한 군사적 종속을 심화시키고 현재까지 한미 관계에서 심각한 불평등을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대한 이러한 상충 된 평가는 조약 체결의 주역이었던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엇갈린 평가로도 볼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승만 대통령이 단행한 반공포로 석방 의 파장이 한미관계의 주요 합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 과정에서 맺어진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한미합의의사록에 의한 한국군 작전통제권 문제가 현재까지도 한미관계에 지대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반공포로 석방에 대한 한국과 미국 정부의 입장을 각각 고찰하고 미국 정부의 대응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승만 대통령이 미국과 유엔사령부와 상의 없이 단독적으 로 반공포로를 석방했던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고 한미 정상이 주 고받은 서한 내용을 통해 반공포로 석방에 대한 미국의 반응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부 분으로서 반공포로 석방이 이후 이루어진 정전협정, 한미상호방 위조약, 한미합의의사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1950년대 정전협상 과정에서 일어난 반 공포로 석방 사건이 지금까지도 전시작전통제권 문제를 포함하여 한미 양국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고찰해 봄으로써 이승만 정부의 잘못된 외교적 판단이 현재 한미관계에 이르기까 지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었음을 역사적으로 고증하였다.
정전협정의 과정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반공포로 석방은 한미 양국간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했으며 이를 계기 로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있어 한국에 유리한 입장으로 조약이 이루 어지지 못했다. 결국 이승만 정부의 요구사항은 하나도 이루어지 지 않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8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57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