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후기 가계계승과 종부의 역할 : Family Succession and the Position of Jongbu in Late Joseon Socie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보람

Advisor
문중양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종부총부가계계승종자의 처봉사권입후권가계계승 분쟁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2.2. 문중양.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ccession order based on agnatic principle and jongbu, the eldest daughter-in-law from the head family.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family succession meant succession of ancestral rituals by the direct lineal descendant, the primary eldest son. As the concept of patrilineal order grew stronger with time,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ones line through ancestral rituals rose accordingly. This trend is demonstrated in the fact that adopting an agnatic nephew started to spread in families without male offsprings from mid-16th century and became a prevalent phenomena in late Joseon society.
As the primary eldest son emerged as the main inheritor in rituals and family property, the position of his wife, the eldest daughter-in-law, began to hold more importance. In particular, jongbu was granted much ceremonial rights and respected by her husbands family as the wife of the lineage heir from the head family. Jongbu was a concept largely included in the term chongbu, which referred to those daughter-in-laws in general, but it was also a concept that was distinct from chongbu in that it was a position granted by the patrilineal structure. Thus, the term jongbu was widely used in late Joseon society. Jongbus main rights and duties included preparing for and assisting her husband in ancestral rites and serving the guests who regularly visited the head family. In this respect, jongbu was equivalent to jubu in the Family Rites of Zhu Xi.
However, the role of jongbu went beyond assisting her husband in rituals and serving the guests. When widowed, s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amily succession, especially in ancestral rites and adoption. This was a legacy of chongbus customary privileges in early Joseon, when chongbu whose husband had died without male issue had important prerogatives in succeeding to the lines ritual heirship and designating an heir to her late husband. In this regard, the rights of chongbu in the earlier period were carried over to jongbu, but with clearly different degrees.
In terms of rituals, while chongbu in the early period was able to preside over the ancestral services on behalf of her late husband for the rest of her life, jongbu in the later period was only allowed to be a ritual host temporarily, and even this rarely happened. In terms of adoption, the rights of jongbu declined compared to that of chongbu with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patrilineal descent group in that matter.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that even in the late Joseon society, jongbus rights represented by the right to perform the ancestral services and select an heir to her late husband continued, although with reduced authority. Moreover, the rights of jongbu were strongly guaranteed by the logic of lineage principles. 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jongbu as the wife of the lineage heir served as an important basis for protecting her rights in ritual and adoption.
In a Confucian Joseon society, women were largely excluded from performing a ritual practice herself as it hindere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atrilineal principles.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was a debate over who should preside over the ancestral rites in the absence of the lineage heir, the widowed jongbu or other male relatives from the lineage, this issue was not as simple as it seems. Most scholars in the past believed that women could be a ritual host only in inevitable circumstances, where there exists no close male relative to the deceased heir. They strongly adhered to the gender hierarchy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ir appropriate position and roles in a Confucian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group of scholars who viewed the distinction between lineal and collateral descent to be more important than gender. They believed that the main line should be maintained through the direct lineal descent, which, in the absence of the lineage heir, could be represented by the still-living wife of the late heir, the jongbu, rather than any other male collateral relative who possess the potential of claiming the position of the heir. Eventually, jongbu was granted a position of preserving the direct descent line in response to the collateral agnate.
This same logic was applied to the discussion of advocating jongbus adoption over fraternal succession of the ritual heirship when the lineage heir died without a son. Even when jongbu adopted a son long after the younger brothers succession to the line, it was desirable that the main line of descent be restored to the adopted son.
As seen in scholarly discussions, jongbus ritual and adoption rights were endorsed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family succession based on lineal principle.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jongbu as the wife of the lineage heir and its accompanying role were viewed as the most compelling way to preserve the lineal succession of ones descent group.
Meanwhile, widowed jongbu without male offspring showed great interest in the matter of family succession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ir positions and lives. Among them, women who pursued their interest were more deeply involved in the issue, and further could be embroiled in a conflict with her husbands lineage members.
On one hand, jongbu often opted for an adoption from a family with higher social status and more political power, albeit from husbands distant relative, which triggered a conflict with both the candidates family and the husbands clan. Adoption in a descent groups main house was not simply an issue of adopting a son for the widowed jongbu, but it meant establishing a lineage heir for the entire descent group, which made it a contentious issue.
Although the descent group in late Joseon society were entrusted with many important matters in the lineage, the jongbus consent was essential in the adoption matter according to a rule that required parents to have the final say in adopting a son. In most cases, jongbu would follow the public opinion of the clan. But conflicts were inevitable when the interests of the two parties clashed, and in some cases, the conflicts escalated into disputes that required the states resolution and continued for several years.
Mostly, it was jongbu who won the case. Jongbus adoption was endorsed according to a norm that the mothers decision should be respected in establishing a mother-son relationship and in the context of securing the lineal succession against the husbands collateral kin.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e important role jongbu played in the adoption issue, which was considered to be mainly the arena of male descent group members in late Joseon society.
On the other hand, jongbu struggled to secure their place as the eldest daughter-in-law in her husbands head family against many situations that could expel them from their secure positions, such as the threat of the collateral agnate claiming the position of a ritual heir, fraternal succession, dissolution of her late husbands adoption, and succession by the secondary son. In such circumstances, jongbu actively petitioned the state presenting herself as the only remaining representative of the direct line of descent on behalf of her late husband. Their logic was consistent with the states pursuit of the patrilineal principles in family succession, which led jongbu to win the case. In this regard, whether intended or not, those jongbu contributed to sustaining or reinforcing the descent-line principle, which enabled them to enjoy a stable position.
Exploring how deeply jongbu were involved in the matter of family succession and how actively they interacted with the descent-line order revealed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the dominant patrilineal order in late Joseon society.
이 논문은 조선후기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와 종부의 관계를 관련 예학적 담론과 실제 종부들이 개입된 가계계승 분쟁 사례 분석을 통해 고찰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가계계승은 국초부터 부계 중심의 종법 원리에 따른 적장자의 제사승계를 원칙으로 하였다. 조선중기 이후로 부계질서가 심화됨에 따라 제사에는 단순 사후봉양의 의미를 넘어 종법적 가계계승의 의미가 강화되어 나타났다. 16세기 중엽을 기점으로 아들 없는 집안에서는 가계계승을 위한 立後가 사회 전반에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17세기 이후에는 입후를 통한 가계계승이 일반적으로 행해졌다.
조선후기로 갈수록 적장자의 제사‧재산상속상 지위와 역할이 중시됨에 따라 그 처이자 한 집안의 맏며느리인 여성들의 위상과 역할도 중요해졌다. 이 가운데서도 종가의 맏며느리인 종부는 종가의 봉사손인 종자[종손]의 처로서 그에 상응하는 의례적 권한을 부여받았고, 집안에서 족인들의 존중을 받는 위치에 있었다. 종부는 조선시대 일반 맏며느리를 의미하는 총부에 포함되는 개념이면서도 종법적 구조에 의해 부여된 지위라는 점에서 총부와 구별되는 개념이기도 했다. 종부는 종가의 형성과 발전 및 종통 개념과 관계된다는 점에서 주로 조선후기의 맏며느리를 의미했다. 종부의 주된 권리이자 의무는 봉제사 접빈객으로, 종손인 남편을 도와 종가의 제사를 받들고, 종가를 방문하는 손님들을 대접하는 데에 있었다. 이런 점에서 종부는 곧 <>에서의 主婦에 해당하는 존재였다.
그런데 조선후기의 종부들은 남편이 아들 없이 사망한 이후에도 가계계승 문제, 즉 봉사와 입후 문제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는 봉사권과 입후권으로 대표되는 조선전기의 고유한 총부권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총부권은 조선후기에 들어서 소멸된 것이 아니라, 종부의 권한으로 전환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전환의 내용은 총부권의 지속과 단절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봉사에 있어서 조선전기의 총부는 본인이 사망할 때까지 직접 남편과 선대의 제사를 주관하는 것이 가능했다면, 조선후기의 종부는 입후가 성사되기 전까지 임시로 주관하는 것만이 허용되었고, 이마저도 소수의 사례로 나타난다. 또 입후에 있어서 총부는 상대적으로 독자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 가능했다면, 조선후기의 종부는 입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입지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변화를 맞게 되었다. 이는 조선후기로 갈수록 제사와 입양을 통한 가계계승 의식이 심화되고, 그 과정에서 남편 부계친족집단의 영향력이 강해졌던 시대적 변화와 궤를 함께한다.
그렇지만 중요한 것은 조선후기에도 봉사권과 입후권을 내용으로 하는 종부권은 축소된 형태로나마 지속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축소된 범위 내의 종부권에 한해서는 종법적 논리 속에서 확고하게 보장되어 간 측면이 있었다. 무엇보다 종자의 처로서 종부의 위치는 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이 긍정되는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다.
부인이 제사를 주관하는 부인봉사는 가묘제를 비롯한 유교적 제사질서 확립에 어긋나는 것이었기 때문에 후기로 갈수록 더욱 부정되어갔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종손의 자리가 비어있는 경우 누가 제사를 주관해야 하는지에 대해 종부가 주관해야 한다는 입장과 집안의 남자 친족이 섭행해야 한다는 입장 간의 논쟁이 존재했다는 사실은 상황이 결코 단순하지만은 않았음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논자들은 支子의 섭사를 우선하는 입장에서 부인주제는 상제례를 주관할 유복친의 남자 친족이 없는 아주 부득이한 상황에서만 행해지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들은 부인은 봉사하는 의리가 없다는 유교적 대전제와 함께 남녀의 바른 위치와 명분을 엄중하게 여겼다.
반면 종부의 봉사를 우선하는 입장은 남녀의 구분보다 종자와 지자의 구분을 중시하고, 이를 통해 종통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에 있었다. 그리고 종자를 통한 종통의 계승은 지자가 아닌 종자의 생존해 있는 처, 즉 종부를 통해 지켜질 수 있는 것이라고 여겼다. 이들은 탈종의 우려가 있는 지자의 섭사보다 종자의 처를 통한 부인주제가 낫다고 판단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들의 논의 속에서 종부는 종자의 처로서 지자에 대응하여 종통을 지키는 위치를 얻게 되었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해 조선후기의 부인봉사는 비록 임시적인 단계일지라도, 그리고 비록 예외적일지라도 쉽게 소멸되지 못하고 19세기 중후반까지 논의의 대상이 되었다.
부인봉사와 달리 부인의 입후는 남편의 부계친족을 후사로 세운다는 점에서 종법 원칙에 부합했기 때문에 일찍부터 옹호되었다. 그러나 조선중기에 총부의 입후권과 兄亡弟及이 대립할 때 총부의 입후권을 지지하는 쪽은 소수에 불과했으며, 그 논리도 총부권을 존중해오던 조선의 국속을 함부로 고칠 수 없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이에 반해 조선후기의 관련 논의는 대부분 종법을 중시하는 뜻에서 형망제급으로 아우가 뒤를 이었더라도 후에 종부가 입후를 한다면, 그 계후자에게 종통을 돌려줘야 한다고 주장되었다. 이때 종부는 사망한 종자 계열을 대표하는 존재로 자리매김하면서 적손을 세우는 역할을 부여받았다. 종부의 봉사를 강하게 반대했던 논자들도 종부의 입후를 통해 종통을 이어야 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었다.
이렇듯 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을 긍정하는 논의에서는 종법적 가계계승을 중시하는 맥락에서 종자의 처라는 종부의 예적 지위와 그에 따른 역할이 강조되었다. 총부에서 종부로의 전환을 거치면서 봉사와 입후 문제에서 종부의 실제적 권한과 입지는 축소되었지만, 그 축소된 범위 내에서의 종부권은 종자와 지자의 구분을 강조하는 종법적 논리에 의해 오히려 더 단단하게 지지받는 모습을 보였다. 후기로 갈수록 종자와 지자의 구분이 엄중해지고, 지자의 탈종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는 분위기 속에서, 종자의 처라는 종부의 위치와 그에 따른 역할은 지자로부터 종통을 지킬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예학적 담론의 분위기는 조선후기 종부와 관계된 가계계승 분쟁과 그에 대한 국가의 처분에서도 확인된다. 남편을 여의고 아들도 없는 종부들은 자신들의 생존과 입지 확보를 위해 집안의 가계계승 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 가운데 더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종부들이 있었고, 이 경우에 분쟁이 발생할 수 있었다. 종부가 개입된 가계계승 분쟁은 크게 입후를 둘러싼 주도권 분쟁과 종부로서의 지위 자체를 위협하는 계승방식과의 분쟁으로 나뉜다.
전자의 경우 종부들은 먼 친족이라도 더 좋은 조건의 후사를 들여 자신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자 했고, 그 과정에서 생가 혹은 종중과 갈등을 빚었다. 특히 남편 종중과의 대립은 종부라는 특성에서 비롯된 조선후기 입후분쟁의 특징이었다. 종부에게 아들을 들이는 문제는 종중에게는 곧 종통을 이어갈 종손을 들이는 문제였기 때문에 이는 여성 개인은 물론 개별 가족의 문제를 넘어서는 것이었다.
조선후기 종중의 발달과 함께 입후와 관련된 사항은 종중 내의 합의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후에 제도적인 절차를 따르는 모습을 보였지만, 기본적으로 종중과 종부의 합의가 우선되어야 했다. 조선시대 입후법의 원칙상 양자를 들이는 주체는 부모가 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 종부가 종중의 공론을 따르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양자의 이해관계가 합치되지 않을 때 갈등은 불가피했고, 경우에 따라서 그 갈등은 국가의 해결을 요하는 분쟁으로 확대되어 몇 해가 넘도록 지속되었다.
본 논문에서 다룬 종부와 종중의 분쟁 사례에서는 모두 종부의 뜻대로 일이 처리되었다. 국가의 처분에서 종부의 입후는 모자관계를 맺는 데 있어 어머니의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는 이유뿐 아니라, 종중에 의한 탈종을 경계하기 위한 맥락에서도 옹호되었다. 조선후기 가문의 중요한 결정들은 종중 남성들의 주도만으로 이루어진다고 여겨졌던 통념과 달리, 종부의 위치에 있었던 여성들이 입후에 영향력을 행사한 지점은 중요하게 지적되어야 할 부분이다.
또 다른 한편에서 종부들은 종부로서의 지위 자체를 위협하는 가계계승의 여러 이변들에 대응하여 자신의 입지를 지키고자 했다. 남편인 종손이 부재한 상황에서 종부는 지손에 의한 탈종 위협, 시댁 어른에 의한 차자로의 移宗, 사망한 남편의 罷繼 등의 현실에 직면했고, 이는 모두 종부의 지위 박탈이라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종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국가에 문제제기를 하였고, 그 과정에서 종자와 지자의 구별을 강조하며 종자 계열을 대표하는 존재로서 자신을 내세웠다. 종부의 주장은 국가와 지배층이 추구해 나간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에 부합하는 것이었기에 국가는 종부의 손을 들어주었다. 그 결과 지손의 탈종 죄는 엄중하게 다스려졌고, 종통은 적장에게로 다시 돌려졌으며, 파양된 종손은 다시 종가로 입후됨으로써 종부들은 종가의 맏며느리 지위 및 그에 수반되는 의례적 위상과 경제적 권익을 지킬 수 있었다. 의도했든 하지 않았든 이 여성들은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의 확산에 기여, 협력하는 존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그 대가로 안정적인 지위를 누릴 수 있었다.
종가에서의 첩자계승은 첩자를 봉사손으로 세우는 것을 기피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비록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일은 아니었지만, 이는 종부의 지위를 위협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변수로 작용했다. 이와 관련한 분쟁은 첩자계승을 도모했던 첩과 그에 대응하여 입후를 도모했던 종부의 갈등이었다. 종부에게 있어 이 문제는 단순히 첩에 대해 적처의 위치를 확고히 하는 것을 넘어, 종가의 맏며느리이자 종손의 어머니라는 지위를 확실히 하는 문제와 관련되었다. 이 때문에 18세기에 崇善君 李澂(1639∼1690)을 받드는 한 불천위 종가의 종부는 20여 년을 남편에게 소박당했음에도 남편 사망 직후에 서둘러 돌아와 입후를 추진했던 것이다.
조선후기 사회에서 가계계승 문제는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를 넘어서는 것으로, 이는 해당 친족집단 전체의 문제였으며, 나아가 종법질서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국가적 문제이기도 했다. 이에 한 가문의 가계계승에 깊이 관여하면서 영향력을 행사한 여성들은 해당 부계친족집단 내의 구성원으로서는 물론,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를 만들어가는 데도 일정한 기여를 하며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9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7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