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후기 경상도 향리의 향직 계승과 지향 : The Succession of Duty and Social Orientation for Hyangri in Gyeongsang-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성학

Advisor
김건태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향리호적양반신분 상승향직향직 탈락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2.2. 김건태.
Abstract
조선은 신분의 상하 이동이 매우 활발한 나라였다고 한다. 조선에 대해 관심이 많았던 일본인 아메노모리 호슈(1668~1755)는 조선에서는 천하의 사람들이 모두 경쟁하는 데 몰두한다. 이 나라에서는 아랫사람이 윗자리로 올라가는 일이 곧잘 벌어지기 때문에 자연히 사람들이 머리를 굴리는 일이 많고 뇌물도 행해져 아침에는 출세하고 저녁에는 망하니 조용할 날이 없다고 묘사했다. 조선후기 향리 역시 과거에 응시하고 조상 현창 사업을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양반으로의 신분 상승을 도모한 계층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향리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인정받는 양반이 되는 것에는 결국 실패했다고 한다. 조선후기 향리가 지방 관아의 실무를 담당하며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생각하면 자신들의 직임을 버리고 실패할 확률이 높은 양반이 되려고 한 그들의 도전이 다소 무모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간과할 수 없는 또 하나의 문제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향리의 수를 제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는 점이다. 향리의 수적 제한은 자연히 향직에서 배제되는 자들을 발생시키기 마련이었다. 이러한 사정에서 이제 향직은 불가피한 의무가 아니라 선택의 문제였다. 향리들은 그들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 혹은 강화하기 위해 어떤 선택을 했으며, 또 향직에서 배제된 자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이것을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핵심이다. 이상의 연구를 위해 대구와 안동의 향리의 가계를 살펴보았다. 대구는 호적이 19세기 후반까지 남아있으며, 안동은 향리 선생안과 고문서 등이 다수 남아있어 연구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조선후기 향리의 수는 빠르게 늘어났다. 지방 관아의 업무가 비대해지면서 실무를 수행하는 향리의 수도 늘어난 것이다. 대구 호적에도 향리의 수가 늘어나는 현상이 발견된다. 지방 향리의 수가 늘어났기 때문에 호적에도 향리의 수가 늘어나는 것은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조선후기 호적에는 유학의 수가 급증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유학은 과거를 준비하는 관료 예비군을 의미했고, 양반이 사용하는 직역이었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유학의 비중이 점차 높아져 양반으로 보기 어려운 자들도 유학으로 기재되었다. 읍치에서 힘이 강했던 향리 역시 유학으로 호적에 등장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향리는 지속적으로 향리 직역으로 등장한다. 人吏, 府吏, 鄕吏, 貢生과 같은 다양한 직역으로 등장하던 향리는 시간이 지나면서 공생으로 기재되는 비중이 점점 커진다. 공생은 고려시대 鄕貢 제도를 통해 선발된 자를 지칭하는 것이다. 고려시대 지방관이 능력 있는 자를 선발하여 界首官試를 열었고, 이 시험에 합격한 자들을 향공이라 불렀다. 이처럼 공생의 어원을 추적하면 과거를 준비하고 관료 예비군의 성격을 가졌으니 유학과 매우 흡사한 존재였다. 이런 까닭에 향리는 유학 대신 공생으로 호적에 등장했다.
호적의 향리 수가 늘어난 만큼 향리 직임을 수행하는 성관도 다양했다. 대구의 경우 달성 서씨가 상층 향리 직임을 가장 많이 수행했다. 그러나 달성 서씨가 배출한 향리의 수는 그리 많지 않았다. 이런 현상은 다른 지역에도 확인된다. 특정 성씨가 호장과 이방과 같은 소수의 최상위 직임을 독점하는 대신 다른 직임은 다른 성씨와 나누어 수행했다. 즉 달성 서씨 향리 가계 구성원이라 할지라도 모두가 향리 직임을 수행할 수는 없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향리 가계원은 향리 직임을 수행하는 것을 원했는지, 원하지 않았는지가 궁금해진다. 조선후기 향리 직임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에 향리들은 부자가 함께 입사하거나 아들 세 명이 동시에 입사하지 않는다는 규약을 만들었다. 만약 향리가 향직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했다면 굳이 이런 규약은 필요하지도 않았을 것이며, 또 자기 아들을 향리로 만들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향리는 자신의 직임을 직계자손에게 계승시켰고 따라서 대부분의 향리는 대를 이어 향리 직임을 수행했다. 향리는 향리 직임을 수행하는 것을 가장 안정적인 길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반면 향리 직임에서 배제된 자들은 그 상황을 큰 위기로 인식했다. 자연히 향리 직임을 두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렇듯 제한된 향직을 두고 향리 가계는 어떤 식으로 대응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구의 관아의 향리를 배출한 달성 서씨 판서공파와 영리를 배출한 달성 서씨 학유공파의 가계 분화를 살펴보았다. 대구 관아에서 요직을 다수 배출한 달성 서씨 판서공파의 경우 27%만이 향직을 수행할 수 있었다. 향직을 수행하지 못한 자들은 읍치에 남아 하급 관속으로 관에 의지해 살아가기도 하고, 外村으로 거주지를 옮기기도 했다. 대구 감영의 영인리청 향리를 배출한 달성 서씨 학유공파의 경우 73%가 향리가 될 수 있었다. 향직에서 배제되는 자의 비중도 상대적으로 낮았고 읍치를 떠난 자들도 거의 없었다. 이런 결과는 향리 후손이 향직을 수행할 수 있을 때는 물론이고, 향직에서 배제된 경우라도 가능하면 굳이 읍치를 떠나지 않으려 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대구의 명문 향리 가계에서 태어났지만 향직에서 배제된 자들 중 일부는 읍치를 떠나 새로운 곳에 정착했다. 이들이 이거해 간 곳은 읍치와 멀지 않았으며, 특정 성씨가 강성하지 않은 마을이었다. 한 마을에 정착한 향리후손은 서서히 세를 키워나갔다. 그러나 이들의 사회적 위상은 그리 높지 않았다. 마을 내의 다른 성씨에 비해서는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었으나, 양반의 동성촌락과는 비교가 되지 않았다. 혼인 역시 여전히 읍치의 관속과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그 나머지도 인근 마을에서 혼처를 찾았다. 결국 향직에서 배제되어 읍치를 떠나 한 마을에 정착했음에도 여전히 양반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들은 그나마 특정 마을에 정착에 성공한 경우였다. 그렇지 못한 자들은 여러 마을을 떠돌며 사회적·경제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한 삶을 살 수밖에 없었다. 이런 결과를 통해 향리들이 왜 향리가 되는 것을 선호했는지 알 수 있다.
읍치를 떠나 새로운 마을에 정착한 향리 후손은 관과의 연결고리가 끊어졌기 때문에 다양한 활동을 통해 새로운 권력의 원천을 만들어 내야만 했다. 안동의 안동 권씨 동정공파는 경상 감영의 영리를 다수 배출한 명문 향리 가문이다. 이런 명문 가문의 구성원 일부도 향직에서 배제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이들은 읍치를 떠나 새로운 마을에 정착한 후 과거에 응시하고, 조상을 추숭하는 사업을 펼쳤다. 이들은 읍치를 떠났고, 더는 향직을 수행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자신을 향리로 여겼다. 이들의 이런 활동은 양반을 지향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었다. 16세기 이후 士族과 吏族은 완전히 다른 정체성을 가진 집단이 되었다. 지방 양반의 명부인 鄕案에는 이족과 혼인 맺은 자들을 배제해 나갔다. 안동의 양반 역시 이들을 여전히 향리로 인식했다. 이들이 생원시, 진사시에 합격했음에도 불구하고 양반 가문과의 혼인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읍치를 떠난 향리의 활동에 대한 평가는 기준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양반으로의 신분 상승을 기준에 둔다면, 이들은 실패한 자들이다. 안동의 명문가와 전혀 혼망이 이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는 것에 기준을 둔다면, 이들의 활동은 성공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후손은 과거 합격과 조상 선양사업을 통해 그들이 정착한 마을에서 100년 넘게 강한 위상을 가졌기 때문이다.
Joseon was a country with very active status movement. Japanese Amenomori Hoshu(雨森芳洲 1668~1755) who was interested in Joseon described that all the people are immersed in competing in Joseon. It is easy for the lower person to go up to the top, so there is no day to be quiet because people use bribes and become prosperous in the morning and ruin in the evening. Hyangri(鄕吏)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also known to be a class that sought to raise its status as Yangban(兩班) in various ways, such as taking the state examination(科擧 gwageo) and worshiping the ancestors. Considering that Hyangri in the late Joseon Dynasty exercised considerable influence by taking charge of the practice of local government offices, their challenge to abandon their positions and become a Yangban with a high probability of failure seems somewhat reckless. In this dissertation, I would like to find out whether Hyangri did this activity to become a Yangb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hat Hyangri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ing to maintain their social position. For the this study, the households of Hyangri in Daegu and Andong were examined. Daegu household register(hojeok, 戶籍) remained until the late 19th century, and Andong was advantageous for research as it had a number of list of Hyangri(seonsaengan 先生案) and old documents(gomunseo 古文書).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umber of Hyangri increased rapidly. As the work of local government offices has become enlarged the number of Hyangri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Hyangri is also found to increase in the Daegu household register(hojeok, 戶籍). Since the number of local Hyangri has increased, it is probably too natural for the number of Hyangri to increase in the household register. However,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the number of Yuhak increased rapidly in the family regis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Yuhak meant a bureaucratic reserve force preparing for the state examination(gwageo 科擧) and was originally only Yangban could use that. However, Hyangri continues to appear as a occupation(jikyeok 職役) of Hyangri. Hyangri, which used to appear in various occupations such as Inri(人吏), Buri(府吏), Hyangri(鄕吏), and Gongsaeng(貢生), has a growing proportion of Gongseng in 19th century. Gongseng refers to a person selected through the Hyanggong system(鄕貢制度) of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Goryeo Dynasty, local government officials selected people and held a Gyesugwan examination(界首官試), and those who passed this test were called Hyanggong(鄕貢). In this way, tracking the etymology of Gongseng prepared state examination, and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bureaucratic reserve, which was very similar to Yuhak. For this reason, Hyangri appeared in the household register as Gongseng instead of Yuhak. As the number of Hyangri increased, there were also various surname to serve as Hyangri. In the case of Daegu, Dalseong Seo(達城 徐) lineage performed the most in the upper-class Hyangri positions. However, the number of Dalseong Seo lineage who performed the Hyangri was not very large. This phenomenon is also seen in other regions. Instead of monopolizing a top positions, such as Hojang(戶長) and Yibang(吏房), other lower positions were divided into other surnames. It means that not all of members of the of Dalseong Seo Hyangri clan could not be Hyangri. If so, we reached the question of whether member of Hyangri wanted to perform the position of Hyangri or not. Competition intensifi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the value of the Hyangri position increased. Hyangri made a rule that the father and son would not join together or three sons would not join at the same time. Therefore, if Hyangri judged that it was more advantageous not to perform Hyangri, they could not have made their son Hyangri. However, Hyangri succeeded his position to his descendants. Hyangri thought that carrying out the position of Hyangri for generations was the most stable path. On the other hand, those excluded from the Hyangri position perceived the situation as a big crisis. Naturally, fierce competition took place for the position of Hyangri.
Let's find out how the Hyangri family member responded to the limited position through differentiation of Dalseong Seo Panseogongpa(判書公派), which performed the local government of Daegu, and Dalseong Seo Hakyugongpa(學諭公派), which performed GyeongSang GamYoung(慶尙監營) officer. In the case of Dalseong Seo Panseogongpa, which produced a large number of key positions in Daegu office, only 27% of them were able to perform Hyangri duties. Those who could not carry out their Hyangri duties remained in downtown(邑治), relying on government officials at lower levels, or some of them moved their residences to villages(外村). In the case of Dalseong Seo Hakyugongpa, which produced GyeongSang GamYoung Hyangri, 73% of them could be Hyangri. The proportion of those excluded from local government posts was relatively low, and few left to villages.
Some of those who were born to prestigious Hyangri households in Daegu but were excluded from their local duties left downtown and settled in a new place. The place they moved to was not far from downtown, and it was a village with no strong surname. Hyangri, who settled in a village in this way, gradually grew up. However, their social status was not very high. Compared to other surnames in their village, they were able to lead a stable life, but they were not comparable to single-lineage village(同姓村落) of Yangban. Marriage was still the most common with the a low-level officer in downtown, and the rest of them married with family who lived in close village. These were those who succeeded in settling in a village. Otherwise, the rest wandered around several villages and had no choice but to live a socially and economically unstable life. From these results, we can see why the Hyangri preferred to become Hyangri.
The descendants of Hyangri, who left downtown and settled in a new village, had to create a new source of power through various activities because their connection with the government office was cut off. After leaving downtown and settling in a new village, they took a the state examination and carried out honor their ancestors. They left downtown and no longer served as Hyangri, but regarded themselves as Hyangri. Their activities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ir aim for Yangban. After the 16th century, Sajok(士族) and Ijok(吏族) became groups with completely different identities. In Hyangan(鄕案), a list of local Yangban, all those who married with ijok were excluded. Andong Yangban also still recognized them as Hyangri. Even though they passed the Siknyonsi(式年試) and Jinsasi(進士試), they could not marry with Yangban family at all. The evaluation of Hyangri who left downtown depends on the criteria. Based on the standards of Yangban, these are those who have failed. However, if they are based on maintaining high social status, they seem to be successful settlements. Because their descendants had a strong status in this village for more than 100 years.
Through the above review, it can be seen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Hyangri to maintain their position is to perform Hyangri duty. Hyangri knew this so well that they handed over their position to descendant. Of course fierce competition was inevitable in the process, and a small number of winning households dominated the positions of the upper class.
On the other hand, the descendants of Hyangri, who were excluded from the Hyangri, were in considerable crisis. For Hyangri who perform Hyangri duty, the government office automatically guaranteed power. But those excluded from the Hyangri duty had to create a new source of power. Some of the descendants of Hyangri, who were excluded from the Hyangri duty, left downtown and settled in a new place, and tried to maintain their social status through various activit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0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43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