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역사회 노인의 스마트기기 접근 및 활용수준과 정신건강의 관계 : Relationships between Smart device Accessibility and Use on Mental Health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희제

Advisor
김홍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인정보소외계층스마트폰외로움스트레스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2.2. 김홍수.
Abstract
현재 한국은 기대수명 연장 및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한 인구 고령화와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에 따른 정보화의 진전으로 일상생활의 디지털 전환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있으며, 디지털 기기가 노년기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노인의 디지털 기기 이용은 노년기 역할 상실과 사회적 단절 현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삶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성공적 노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디지털 기기 이용은 제한적이다. 이는 성별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를 달리 형성해왔던 노인 집단 내에서 기기 접근 및 활용수준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디지털 건강자원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COVID-19로 온라인 서비스가 일상화되면서 노인의 디지털 취약성은 더욱 악화되고 있지만 성별을 고려한 노인의 스마트기기 접근∙활용과 관련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접근수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이하 SNS) 활용수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대하여 성별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단면 연구로서 서울시 일개 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취약계층 노인 1,22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독립변수의 경우 인구∙사회경제적, 건강 관련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스마트기기 접근과 활용수준은 각각 스마트폰 보유 여부와 SNS 모임 개수 및 참여 빈도로, 정신건강은 외로움과 스트레스로 구분하였다. 통계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스마트기기 접근∙활용과 정신건강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사회경제적 및 건강 관련 요인과 스마트기기 접근∙활용수준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남성, 여성노인 집단에 대하여 이부모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으며, 스마트기기 접근∙활용수준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노인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76.2%였으며 남성이 79.2%, 여성이 73.9%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접근수준 차이를 보였다. SNS 활용수준에서는 전체 노인의 평균 SNS 모임 개수는 0.67개, 일주일간 평균 SNS 참여 빈도는 1.03회였다. 스마트기기 접근∙활용 관련요인 분석 결과, 남성과 여성노인 모두 스마트폰 보유 여부와 연령, 교육수준, 사회활동 참여수준이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이외에도 남성노인의 경우 경제활동 참여 여부가, 여성노인의 경우 소득수준, 만성질환 개수가 각각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SNS 모임 개수의 경우, 남성과 여성노인 모두 사회활동 참여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이외에도 여성노인은 연령, 혼인상태, 교육∙소득수준이 유의했다. SNS 참여 빈도의 경우, 남성노인은 연령, 신체활동 수준이, 여성노인은 교육∙소득수준, 만성질환 개수, 사회활동 참여수준이 SNS 참여 빈도와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스마트기기 접근∙활용수준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는 여성노인에 한해서만 스마트폰 보유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외로움의 경우 남성과 여성노인 모두 SNS 모임 개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SNS 참여 빈도는 남성에 한해서만 유의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노인의 스마트기기 접근∙활용수준 뿐만 아니라 그 영향요인, 그리고 정신건강과의 관계까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노인 집단 내 다양성, 특히 COVID-19 상황에서 더욱 디지털 영역으로부터 소외될 수밖에 없는 취약계층 노인을 고려한 디지털정보화 격차 해소 방안의 필요성에 대해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기기 이용은 외로움과 스트레스에 대하여 상반된 영향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기초로 이와 관련하여 후속연구가 진행되어 정보화 시대 속 노인의 정신건강 문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In Korea,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daily life is expected to accelerate due to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digital devices on life in old age is increasing. The elderlys use of digital devices can effectively respond to role loss and social disconnection in old age and can contribute to successful aging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life. Nevertheless, the use of digital devices by the elderly is limited. It seem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access and use level of devices in the elderly group, who have formed various socioeconomic status according to gender, which may lead to a gap in digital health resource. Although the digital vulnerability of the elderly is exacerbating as online services have become more daily due to COVID-19, there are few studies on access and use of smart devices by the elderly considering gend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s access level to smart devices,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usage level, and mental health, focusing on gender.
As a cross-sectional study, this research performed analysis on 1,225 elders aged 65 and over from the vulnerable class living in a small area in Seoul. Independent variables composed of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and smart device access and usage levels were classified into smartphone possession and number and frequency of social media meetings, respectively, and mental health was classified into loneliness and stress. For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study subjects' access and use of smart devices and their mental health status. In addition,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and the level of access and use of smart devices, this study examined all, male, and female elderly groups using the two-part model.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ccess and use of smart devices and mental health.
The results showed that 76.2% of all elderly owned a smartphone, with 79.2% for men and 73.9% for women,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ess level according to gender. In terms of SNS usage level, the average number of SNS meetings among the elderly was 0.67, and the average frequency of SNS participation per week was 1.03.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related to access and use of smart devices and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possession, age, education, and social activity for both male and female elderly.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was a significant factor for male elderly, and income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female elderly. As for the number of SNS meetings, both male and female elder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activity, and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income were significant for female elders. As for the frequency of SNS participation, age and physical activity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male elderly, and education and incom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social activity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female elderlys SNS participation frequency.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 and use level of smart devices and mental health and verified that stres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possession only in the female elders. While the number of SNS meeting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oneliness of both male and female elderly, the frequency of SNS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only for males.
The above analysi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of not only the elderlys access and use level but also their influence factors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gender. Therefore, this study can provide a basis of the need for a solution to the digital gap considering the diversity within the elderly group, especially the vulnerable elderly who are further alienated from the digital realm in the era of COVID-19.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smart devices showed opposite effects on loneliness and stress. Based on this study,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properly respond to mental health issues of the elderly in the information ag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3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0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