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교사의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 : 개념도 방법을 중심으로. :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Barriers to Counseling-seeking Behavior : Applying Concept Mapping Methodolog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일-
dc.contributor.author주소현-
dc.date.accessioned2022-06-22T15:34:34Z-
dc.date.available2022-06-22T15:34:34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00000017097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3563-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971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22.2. 김동일.-
dc.description.abstract교육 현장에서 교권 침해 및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초등교사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불편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초등교사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심리적 불편감을 완화하는 것을 조력하기 위하여 교육부와 정부에서 각종 상담 기관이 설립되고 상담 서비스가 제공되었으나, 교사들의 저조한 이용률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들이 심리상담을 받아보고자 하는 의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상담을 받는 행동으로까지 이어지지 않는 장애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 서울, 경기, 대전 등에 근무하는 교직 경력 2년 이상의 초등학교 담임교사 18명을 대상으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개념도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초점질문을 개발하고 연구 참여자들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18명의 연구 참여자들에게 초등교사로서 전문적인 심리상담 서비스를 이용해보고자 하는 의도가 있지만 실제로 행동으로 옮기기 어렵다면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라는 초점질문을 제시하였고 1차로 수집된 일대일 면담자료에 대한 질적분석을 통해 초등 담임교사의 관점에서 상담 추구 행동의 장애요인에 관한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1차 면담 이후 수집된 170개의 진술문을 종합 및 편집하였고 최종적으로 52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2차 자료 수집 과정에서는 15명의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사성 분류 과정 및 중요도 평정이 이루어졌다. 유사성 분류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분석과 군집 분석을 시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인식한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은 최종 52개의 진술문으로 정리되었다. 차원의 개수는 총 2개로, X축은 자기 초점–타인 초점과 Y축 접근방식 및 자원에 대한 이해 부족–상담의 기능에 대한 이해 부족 차원으로 명명되었다. 52개의 진술문에 대해 군집 분석을 시행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초등교사들의 인식에 기반하여,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 군집은 정보 및 기회의 부족(군집 1), 자기 자각 및 자기 돌봄 부족(군집 2), 도움 추구에 소극적인 신념과 태도(군집 3), 그리고 낙인에 대한 두려움과 상담에 대한 낮은 신뢰(군집 4)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4개 군집에서 가장 높은 중요도 평정 결과가 나타난 군집은 자기 자각 및 자기 돌봄 부족(군집 2)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상담 추구 행동의 장애요인을 경험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교사들을 내담자로 상정한 교사 상담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교사를 포함한 교사들의 심리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상담 기관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지 방향성을 제공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되고, 교육대학교 등 초등 교원 양성기관의 심리상담 관련 교육과정의 편제와 내용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dc.description.abstractDue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job stress in schools, the psychological discomfort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been increasing compared to that of the past. Accordingly, in order to take care of mental health of teachers and to alleviate their psychological discomfort, the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established counseling centers and various counseling services were provided for teachers. However, despite all these efforts, low utilization rates was reported. This study explores why such institutional support, on its own, does not lead to actual counseling behavior, despite teachers high intention to receive psychological counseling,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18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Seoul, Gyeonggi, and Daejeon with more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is study used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for analysis.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or concept mapping research, focus questions were first developed a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asked,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f you have an intention to use professional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but it is still difficult to actually execute this intention, what are the barrier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itial one-on-one interview data, statements were collected. After the first interview, through the process of synthesizing and editing, 52 statements were extracted. In the second data collection process,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importance evaluation were conducted by 15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Multi-dimensional(MDS)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then conducted based on similarity classification data. Afterword, a conceptual map was finally confi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barriers to counseling-seeking behavior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were summarized in the final 52 statements. The dimensional analysis of statements was named in two dimensions: 'self-focused – other-focused' and 'lack of understanding on approaches and resources -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function of counseling'.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4 clusters were discovered. Based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luster of barriers to counseling-seeking behavior was organized into 'lack of information and opportunity (group 1), 'lack of self-awareness and self-care' (group 2), 'passive attitudes and beliefs for help-seeking' (group 3), and 'fear of stigma and low trust' (group 4). The cluster with the highest importance evaluation results in the above four clusters was found to be 'lack of self-awareness and self-care' (group 2).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crutinized empirically the barriers to counseling-seeking behavior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ontributed to the study of teacher counseling that assumes teachers as cl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how counseling center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psychological support for teachers should be improved. Also, It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how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psychological counseling-related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uch as the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0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1
제 2 절 연구 문제 07

제 2 장 이론적 배경 08
제 1 절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08
1. 초등교사의 개념 08
2. 직무스트레스의 정의 10
3.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11
4.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13
제 2 절 상담 추구 행동과 상담 추구 의도 15
1. 상담 추구 행동 15
2. 상담 추구 의도 18
3. 계획된 행동이론(TPB)의 한계: 의도-행동 불일치 19
4. 초등교사의 상담 추구 행동 관련 선행연구 22

제 3 장 연구 방법 27
제 1 절 개념도 27
제 2 절 연구 참여자 29
1. 아이디어 진술문 생성 과정 참여자 29
2. 초점질문 개발 참여자 34
3. 아이디어 진술문의 종합 편집 및 적절성 평가 참여자 34
4. 아이디어 진술문의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 평정 참여자 35
제 3 절 연구 절차 35
1. 개념도 준비 단계 37
2. 아이디어 진술문 산출 단계 38
3. 아이디어 진술문 종합 및 편집 단계 40
4. 최종 아이디어 진술문 분류 및 평정 단계 45
5. 개념도 분석 단계 46
6. 개념도 해석 단계 46
제 4 절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47
1. 타당도 확보를 위한 노력 47
2. 신뢰도 확보를 위한 노력 48

제 4 장 연구 결과 49
제 1 절 초등교사의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의 내용 49
제 2 절 초등교사의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원과 군집 53
1. 초등교사의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원 53
2. 초등교사의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에 대한 군집 60
제 3 절 초등교사의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의 중요도 69
1. 초등교사의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의 내용별 중요도 69
2. 초등교사의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의 군집별 중요도 71
제 4 절 군집별 대표진술문 72
1. (군집 1) 정보 및 기회의 부족 72
2. (군집 2) 자기 자각 및 자기돌봄 부족 78
3. (군집 3) 도움 추구에 소극적인 신념과 태도 80
4. (군집 4) 낙인에 대한 두려움과 상담에 대한 낮은 신뢰 88

제 5 장 논의 97
제 1 절 요약 및 논의 97
1.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 내용에 대한 논의 98
2.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 차원과 군집에 대한 논의 99
3.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논의 114
제 2 절 연구의 의의 117
1. 이론적 측면에서의 의의 117
2. 실제적 측면에서의 의의 118
3.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의 의의 120
제 3 절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제언 122

참고문헌 125
부 록 141
부록 1. 연구 참여자 모집의 글 142
부록 2. 연구 참여자용 설명문 144
부록 3. 면담 질문지 148
부록 4. 진술문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 평정 안내 150
부록 5. 평균연결법(average linkage) 덴드로그램 155
부록 6. 중심연결법(centroid linkage) 덴드로그램 156
부록 7. 다차원분석 결과 좌표값 157
부록 8.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의 중요도 전체 내림차순 158
부록 9.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IRB 심의 결과 통보서 161
Abstract 162
-
dc.format.extentvii, 16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초등교사-
dc.subject직무스트레스-
dc.subject상담 추구 의도-
dc.subject상담 추구 행동-
dc.subject장애요인-
dc.subject교사 상담-
dc.subject교원 상담-
dc.subject.ddc371.4-
dc.title초등교사의 상담 추구 행동 장애요인 : 개념도 방법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Barriers to Counseling-seeking Behavior : Applying Concept Mapping Methodolog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oo Sohyu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2-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097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7▲000000000054▲00000017097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