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통합 과학 교실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및 자기 효능감과 수업 실천 연구 : A Study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Self-Efficacy and Teaching Practices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in Inclusive Science Class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영범

Advisor
Sonya N. Martin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SEN)통합 과학 교실교사 인식수업 실천교사의 자기 효능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지구과학전공), 2022.2. Sonya N. Martin.
Abstract
According to the special education report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number of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in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as well as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need students assigned to mainstream schools.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was further emphasized in the 「Special Education Act for the Disabled」. Studies have shown that a teachers perceptions and self-efficacy play a role in their practices and interactions with students in the classroom.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examine the impact of teachers perceptions and self-efficacy for teaching science to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equality in science education and to further realize the goal of Science for All by examin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self-efficacy and teaching practices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in inclusive science classes.
In this study, an explanatory sequential mixed methods was conducted, consisting of two phases. In Phase 1,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nd in Phase 2,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Phase 1, an online survey was adapted from a study of science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in Singapore. This survey was revised through several discussions from various researchers and teachers in Korea to produce the Inclusive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Used Practices (I STEP UP) survey. The I STEP UP survey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s about SEN students (Teachers Perceptions, TP), self-efficacy for teaching SEN students (Self-Efficacy, SE), and science teaching practices implemented in inclusive classes (Instructional Practices, IP).
A total of 142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in Phase 1. Data collect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The overall response trend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variance (One-way MANOVA), and as part of the ad hoc test, a Scheffe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I STEP UP) data responses.
In Phase 2,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science teachers to probe more deeply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teachers using this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for analysis. The transcribed data were repeatedly read and common parts of words and phrases frequently used were categorized. A total of 11 concepts were extracted from the interview analysis. The qualitative research data was analyzed to supplement the explanation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dat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data showed that,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in inclusive science classrooms correlated with teaching practices. This result was consistent with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positive self-efficacy correlates with effective teaching practice. The variables corresponding to a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eachers perceptions, self-efficacy, and teaching practices.
However,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experiences (teaching career, SEN students interaction, special education training, and degree of student disability) influenced at least one of the factors of teachers perceptions, self-efficacy, and teaching practices.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beliefs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laws, class readiness) also affected at least one of the factors of teachers perceptions, self-efficacy, and class practices. Variables of experience and beliefs related to the efforts after becoming a teacher had a greater influence on inclusive science classes than on a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The importance of subsequent efforts for teacher training and self-development was also confirmed.
As a result of integrating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ponse trends with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four conclusions. Firs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that science teachers in inclusive science classes had negative expectations of SEN students. Secon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eachers' self-efficacy in inclusive science classes was found to be necessary. Third, it was found that teachers in inclusive science classes were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 classroom, but were unable to apply teaching methods successfully with SEN students. Fourth,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teacher curriculum and system was found.
Finally, by synthesizing the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two implications were identified. First,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eachers must improve their expertise in SEN students, raise expectations, and strengthen coope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schools and the government should recruit assistant teachers to assist in teaching, developing various evaluation criteria and science teaching materials, and improving the teacher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ers, schools, and the government must make efforts together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교육부의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특수교육 대상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일반 학교에 배치되는 특수교육 대상자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한「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통합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교사의 인식 및 자기 효능감은 실제 수업 실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함에도 통합 과학 교실의 교사 인식, 자기 효능감, 수업 실천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통합 과학 교실의 과학 교사의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지도할 때의 과학 교사의 자기 효능감, 통합 과학 교실의 수업 실천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 과학 교실에 있는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이 소외되지 않도록 과학 교실에 참여하는 모든 학생의 교육 권리를 보장하는 것은 과학교육의 평등을 실현하며 이는 나아가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Science for All) 역시 실현하게 할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순차적 설명 혼합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설계 단계에서 양적 연구를 먼저 수행하고 그 후에 수집된 양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기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질적 연구 자료는 먼저 수집된 양적 연구 결과를 설명하고 지지하는 데 사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연구는 2단계로 구성되었으며, 1단계에서는 양적 연구를 수행하고 2단계에서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며 최종적으로 2가지 종류의 자료를 합쳐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1단계 양적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연구 도구를 개발했다. 본 연구는 국제 연구 프로젝트의 일부분으로, 본 연구에 선행하여 연구된 싱가포르의 연구에서 사용된 온라인 설문 문항을 틀로 채택하였다. 이 온라인 설문 문항은 다양한 연구자와의 여러 차례 논의 후 수정되었으며 이 과정을 거쳐 연구 설문 도구 I STEP UP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이 연구 설문지는 통합 과학 교실의 교사의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는 문항 목록A(Teachers Perceptions, TP),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가르칠 때의 교사의 자기 효능감을 조사하는 문항 목록 B(Self-Efficacy, SE), 통합 과학 교실의 수업 실천을 조사하는 문항 목록 C(Instructional Practices, IP)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를 이용한 양적 연구에는 총 142명의 참가자가 모집되었다. 양적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통계 분석되었다. 평균 및 표준편차를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전체적인 응답 경향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상관관계 분석, 일원배치 다변량분산분석(One-way MANOVA) 및 애드혹 테스트(ad hoc test)의 일환으로써 쉐페 검증(Scheffe Test)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2단계 질적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양적 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 간 논의를 통해 심층 면접을 수행하기 위한 반구조화된 질문을 개발하였다. 이 인터뷰 질문들을 활용하여 10명의 교사를 심층 면담하였다. 심층 면담하는 과정은 녹음한 뒤 전사하였다.
질적 연구 분석을 위해 전사한 자료를 반복하여 읽으면서 답변에 자주 사용되는 단어 및 어구의 공통된 부분을 범주화하여 질적 연구 분석에 도움을 줄 범주화 목록을 생성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질적 연구 자료는 양적 연구 자료의 설명을 보충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다.
양적 연구에서 상관관계 분석 결과 통합 과학 교실에서 교사의 수업 시 자기 효능감은 수업 실천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긍정적 자기 효능감이 효과적인 교수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부합하는 결과였다. 그리고 변인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의 개인 배경(성별, 나이, 최종 학력)에 해당하는 변인은 교사 인식, 자기 효능감, 수업 실천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교사의 경험(교수 경력,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과의 상호 작용, 특수교육 연수 이수 시간, 가르친 학생의 장애 정도)과 관련한 변인은 교사 인식, 자기 효능감, 수업 실천의 영역 중 적어도 1가지 이상의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 또 교사의 신념(특수교육 법안 지식수준, 수업 준비성)과 관련한 변인도 교사 인식, 자기 효능감, 수업 실천의 영역 중 적어도 1가지 이상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교사가 된 이후에 후속적인 노력에 해당하는 경험과 신념의 변인이 교사의 개인 배경보다 통합 과학 교실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사 연수 및 자기 개발의 후속적인 노력의 중요성 역시 발견하였다.
질적 연구에서 전사된 자료를 반복하여 읽으면서 생성된 범주화 목록은 총 11가지였다. 이 생성된 범주화 목록은 과학의 어려움, 특별한 과학 프로그램, 그룹 활동 시 역할 분담, 개별과제 제공,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 통제의 어려움, 소통을 위한 노력, 보조 선생님의 필요성,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위한 평가 기준의 필요,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에 대한 부정적 인식, 통합 과학 교실의 어려움이었다.
양적 연구의 응답 경향 분석과 질적 연구의 심층 면담 분석을 통합하여 혼합 연구를 이용한 4가지 분석 결과를 내릴 수 있었다. 첫째, 통합 과학 교실의 대부분의 과학 교사들은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에 대해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통합 과학 교실에서 교사의 자기 효능감 향상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셋째, 통합 과학 교실에서 교사는 수업 개선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었음에도 일부 부적절한 교수 방법을 사용하였다. 넷째, 교사 교육과정 및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양적, 질적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두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공적인 통합 과학교육을 이루기 위해서는 교사는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하고, 긍정적 인식을 높이며, 특수교사와 협동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성공적인 통합 과학 교육을 이루기 위하여 학교와 정부는 수업을 보조할 보조 교사를 충원하고, 다양한 평가 준거 및 과학 교수 자료를 개발하며, 교사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한다. 즉, 성공적인 통합 과학교육을 위해서는 교사, 학교, 정부가 함께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0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2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