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혼합적 토지이용이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Mixed Land-Use on Travel Behavior: An Analysis on Horizontal and Vertical Mixed Land-Use
수평적 용도혼합과 수직적 용도혼합 효과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정민

Advisor
박인권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혼합적 토지이용수평적 용도혼합수직적 용도혼합용도혼합지수통행거리위계선형모형mixed land-usehorizontal land-use mixvertical land-use mixland-use mix indextravel distancehierarchical linear model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2.2. 박인권.
Abstract
Mixed land-use is a major means for sustainable cities and low-carbon, green-growth cities. It enables efficient urban transport and energy consumption. Mixed land-use is commonly classified into horizontal land-use mix and vertical land-use mix. Each refers to mixed-use on flat surface and vertical clusters. In compact cities such a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horizontal range but also the vertical range in terms of land-use.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limited their criteria to horizontal land-use mix. Also, studies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two types of land-use mix on travel behavior are still yet to be explo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s of a horizontal and vertical land-use mix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mixed land-use on daily travel distance. First, the study calculate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and-use mix index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by using the building floor-use data. Horizontal land-use mix, measured by the Entropy Index using weighted floor-use data, is defined at the level of mixed land-use in horizontal scope with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Vertical land-use mix, measured using Gini Coefficient, is defined through the distribution(evenness) of complex-use building. Then, the study constructed the multi-level regression model using the travel data from the 2016 Household Travel Diary Survey to verify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e gender, age, occupation, et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clude the indices of horizontal and vertical land-use mi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land-use mix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weekday daily travel distance and commuting travel distance. Meanwhile, only vertical land-use mi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daily(non-commuting) purpose travel, and both land-use mix indic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weekend model. Next, the degree of influence of each index on travel was compared through the marginal effect. In the daily travel distance model, the effect of vertical land-use mix was 1.18 times higher than that of horizontal land-use mix, whereas in the commuting model, the effect of horizontal land-use mix was 1.44 times higher than that of vertical land-use mix.

According to these results, each type of mixed land-use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ravel behavior by purpose.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in land-use planning or transportation planning. Recently, the need for flexibility of the zoning system has been actively discussed. These results can be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ustainable cities and desirable land-use mix strategies.
혼합적 토지이용은 효율적인 도시 교통 및 에너지 소비를 가능하게 하여 지속가능한 도시, 저탄소 녹색성장 도시를 위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혼합적 토지이용은 크게 건축물 차원에서 용도혼합이 이루어지는 수직적 용도혼합과 지구 또는 지역 내에서 다양한 기능이 혼합되는 수평적 용도혼합으로 분류된다. 수도권과 같은 고밀압축도시에서는 토지이용에 있어 수평적인 범위뿐만 아니라 수직적인 범위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주로 수평적인 용도혼합에 한정하여 이루어졌으며, 두 유형의 용도혼합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수직적 용도혼합과 수평적 용도혼합의 개념을 정의하고 각 유형별 혼합적 토지이용이 1일 통행거리 및 목적별 통행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수도권을 대상으로 건축물대장의 층별개요 데이터를 활용하여 행정동 단위로 수평적 용도혼합지수 및 수직적 용도혼합지수를 산출하였다. 수평적 용도혼합은 토지면적 가중치를 준 엔트로피 지수(Entropy Index)를 통해 수평적 범위에서 행정동 내 용도혼합의 정도를 나타내었다. 수직적 용도혼합의 측정은 건축물별 엔트로피지수의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를 활용하여 행정동 내 용도복합건축물의 분포(균등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수준 회귀모형(multi-level regression model)을 구축함으로써, 통행자 개별 특성과 용도혼합지수를 포함한 지역적 특성이 개인별 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평적 용도혼합과 수직적 용도혼합은 모두 주중 1일 통행거리와 통근 목적 통행거리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상생활 목적 통행에는 수직적 용도혼합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주말모형에서는 두 용도혼합지수 모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더불어 두 용도혼합지수가 통행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지수의 한계효과를 비교하였다. 1일 통행거리 모형에서는 수직적 용도혼합의 효과가 수평적 용도혼합의 효과보다 1.18배 높게 나타난 반면, 통근 모형에서는 수평적 용도혼합의 효과가 수직적 용도혼합의 효과보다 1.44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1일 통행거리, 통근 목적 통행, 일상생활 목적 통행에 있어 용도혼합 수준이나 분포가 통행행태에 각각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토지이용계획 혹은 교통계획 수립에 있어 이러한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최근 토지이용 유연화 필요성이 적극적으로 논의되는 가운데, 본 연구결과는 지속가능한 도시의 개발 및 관리와 향후 바람직한 토지복합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6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39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