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문화 국영문 사전 편찬의 방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to Prepare the Korean-English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소영; 고정희; 오영창

Issue Date
2021-12
Publisher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Citation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3, pp.87-116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에 관한 지식 구축에 기여하여 국내외적으로 한국학의 저변 확대에 일조할 한국문화 국영문 사전 편찬을 기획 및 예비하는 데 목표를 둔다. 교수학습뿐 아니라 학술 연구에 있어서까지 기본적으로 활용되는 참고 자료로서 사전은 기초 정보의 보고이자 범용 지식 자료이다.그간 한국문화와 관련된 지식 사전은 특정 전문 분야로 세분되어 다수 편찬되었지만, 보편적 지식을 다룬 사전은 드물게 편찬되었다. 한국학후속세대 증가에 동기를 부여하고 한국문화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고양할 일반론적 기초자료 마련은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는 그와 같은 기초자료의 하나로서 한국문화 국영문 사전의 편찬을 염두에 두고, 이 사전이 기반해야 할 이론적 패러다임, 내면화해야 할 성격과 원리를큰 틀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문화를 어떤 성격의 지식으로 체계화해야 할 것인지 방향을 잡기 위해, 역사적으로 축적된 상징적 의미에 문화의 본태가 있음을 확인하고, 한국문화 지식의 체계화가 한국문화 교양의 전통 수립과 궤를 같이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한국문화 국영문 사전은 총론적 ․ 중핵적 지식 구성, 단계별 조직화, 통시성과 공시성을 아우른 자기참조성에 기본 성격을 두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 국영문 사전의 이론적 토대와 성격을 밝힌 뒤, 집필의 원론을 마련하고자 사전의 단계별 구성 원칙과 표제어의 서술문 작성 원칙을 개괄하였다.한국문화 국영문 사전이 방향성 설정만으로 실체화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문화와 교양과 인문의 화학적 결합을 시도하여 한국학의 양적, 질적 발전에 이바지할 기본서로서 문화사전 기획의 청사진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편찬의 실행 속에서 요구될 구체적 탐구사안들을 향후 과제로 남긴다.
ISSN
1738-2793
URI
https://hdl.handle.net/10371/185822
DOI
https://doi.org/10.15652/ink.2021.18.3.08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