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간 이식 병동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 수행 실태 : Hand hygiene practices of inpatient caregivers in the liver transplant war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남궁송희

Advisor
강자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간이식병동입원환자보호자손위생수행률은닉관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2. 8. 강자현.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and hygiene status for caregivers of patients admitted to the liver transplant ward with a high risk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This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the caregivers of inpatients in the liver transplant ward by confirming the differences in hand hygiene compliance and hand hygiene methods used by sex, estimated age group, estimated caregiver group, and 5 moments of hand hygiene.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in 3 wards, where only liver transplant patients were treated exclusively in one tertiary general hospital with 2,743 beds in Seoul, Korea. Using the covert observation method, a total of 4 researchers who are infection control nurses observed hand hygiene for 20 days, excluding weekends from January 3 to January 28, 2022. Two out of four observers observed 10 days each during the 20 days of the study. If one observer observes hand hygiene in the same ward every day, covert observation may not be guaranteed. Therefore, 3 researchers alternately took charge of the 3 wards, 1 each, and conducted observations in rotation. More than 200 cases of hand hygiene opportunities were observed in each ward.
The observation tool of this stud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patient caregivers after obtaining permission from the author of the previous study (Jung & Kang, 2019), which was partially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hand hygiene observation tool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Data on the subjects sex, estimated age group (child, adolescent, adult, elderly), estimated caregiver group (family member, private caregiver, not sure), and at each of 5 hand hygiene points, whether or not hand hygiene was performed were recorded.
From 454 caregivers, 663 indications were collected, and as a result of observation, the overall hand hygiene compliance was 13.0%. According to the estimated ag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nd hygiene compliance of 16.0% (64/400) for adults and 8.4% (22/263) for the elderly (p=0.004). Groups estimated to be children or adolescents were not observed. Also, the hand hygiene compliance by 5 moments of hand hygiene differed (p<0.001): 36.8% (7/19) for after touching a patient; 29.7% (11/37) for after body fluid exposure risk; 14.3% (22/154) for before touching a patient; 11.0% (41/372) for after touching patient surroundings; 6.2% (5/81) for before clean/aseptic procedu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y sex and estimated caregiver group.
Blood, urine, saliva, sweat, etc. were observed as the types of body fluids of patients whose caregivers were exposed in relation to the behavior after body fluid exposure risk. The moment after disposing of the patients wet clothes such as linen or wet diapers into the washroom was the most observed. The hand hygiene compliance rate was relatively high in the behavior after diaper change. At the time of before clean/aseptic procedure, most of the behaviors that correspond to food assistance and drinking water were observed, and some hand hygiene was performed only before food assistance.
There were 73 cases of hand hygiene using alcohol gel and 13 cases of hand hygiene using water and soa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hand hygiene methods by sex, estimated age group, estimated caregiver group, and 5 hand hygiene moments.
Considering the hospital culture and environment in Korea where most family members or private caregivers reside and care for patients, the hand hygiene of caregivers should not be overlooked. However, the hand hygiene compliance of caregivers in the liver transplant ward confirmed in this study was 13.0%, which is low, similar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Korea. This shows that basic infection control education and guidelines such as hand hygiene education for caregivers are necessary. In addition, hand hygiene is performed after touching body fluids, especially conspicuous contaminants such as excrement, but the result of not sanitizing hands when other visible contamination does not occur shows that caregivers awareness needs to be improve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vestigation of hand hygiene performance for caregivers in liver transplant wards and other general wards in various regions and medical environ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hand hygiene compliance of inpatient caregivers.
본 연구는 의료관련감염 발생 위험이 높은 간 이식 병동 입원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손위생 수행 실태를 파악하고, 세부 항목별(성별, 추정 연령 그룹별, 추정 보호자 그룹별, 손위생 시점별) 손위생 수행률의 차이와 사용하는 손위생 방법의 차이를 확인하여 간 이식 병동 입원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감염관리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로, 서울에 위치한 2,743병상의 일개 상급종합병원 내 간 이식 환자만 전담으로 치료하는 3개 병동에서 시행되었다. 은닉관찰 방법을 이용하여 2022년 1월 3일부터 1월 28일까지 주말을 제외한 20일동안 연구자를 포함한 감염관리 전담간호사 총 4인이 손위생 관찰을 시행하였고, 4인 중 2인의 관찰자는 연구 기간 20일 중 10일씩 나누어 진행하였다. 1명의 관찰자가 매일 같은 병동에서 손위생을 관찰하게 되면 은닉관찰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3명의 관찰자가 매일 1개 병동씩 3개 병동을 번갈아 담당하며 순환해서 관찰을 실시하였다. 각 병동 당 손위생 기회 순간 200건 이상을 관찰하였으며, 세계보건기구(WHO)의 손위생 관찰 도구를 방문객의 특성에 맞게 일부 수정, 보완한 선행 연구(정민영 & 강자현, 2019)의 연구 도구를 원 저자의 허락을 받은 후, 입원환자 보호자의 특성에 맞추어 다시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성별과 추정 연령 그룹(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추정 보호자 그룹(가족 구성원, 간병인, 추정 모호) 및 5가지 손위생 시점별 손위생 수행 여부를 기록하였다.
총 454명의 보호자로부터 663건의 손위생 기회 순간을 관찰하였으며, 관찰 결과 전체 손위생 수행률은 13.0%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손위생 수행률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추정된 연령 그룹별 손위생 수행률은 성인 16.0%, 노인 8.4%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4). 아동 또는 청소년으로 추정되는 그룹은 관찰할 수 없었다. 추정된 보호자 그룹에 따른 손위생 수행률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손위생 시점별 손위생 수행률은 환자 접촉 후 36.8%, 체액 노출 위험 후 29.7%, 환자 접촉 전 14.3%, 환자의 주변 환경 접촉 후 11.0%, 청결/무균적 처치 전 6.2%의 순서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체액 노출 위험 후 행위와 관련하여 보호자가 노출된 환자의 체액의 종류로 혈액, 대소변, 타액, 땀 등이 관찰되었으며, 환자의 젖은 환의나 린넨 또는 젖은 기저귀와 같은 오물을 오물실에 버린 후의 순간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손위생 수행률은 기저귀 교환 후의 행위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청결/무균적 처치 전 시점에서는 식사 보조 및 식수 제공 전에 해당하는 행위가 대부분 관찰되었으며, 식사 보조 전 행위에서만 손위생을 일부 시행하였다. 알코올 젤을 이용한 손위생은 73건,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위생은 13건으로 성별, 추정 연령 그룹별, 추정 보호자 그룹별 및 손위생 시점별 손위생 방법의 빈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간 이식 병동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 수행률은 13.0%로, 간병인을 포함한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손위생 교육과 같은 기본적인 감염관리 교육 및 지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체액, 특히 배설물과 같은 눈에 띄는 오염물을 만진 후에는 손위생을 시행하지만, 그 외 눈에 보이는 오염이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손위생을 하지 않는 결과는 보호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다양한 지역과 의료 환경에서의 간 이식 병동 및 그 외 일반 병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손위생 수행 실태를 확대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 수행률을 증진시키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38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0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