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쇠 수준에 따른 노인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among older people by level of frailty: A national representative stud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나리

Advisor
윤주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쇠자살생각노인가족관계가족지지우울증상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2. 8. 윤주영.
Abstract
현재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노인 자살률 또한
OECD 국가 평균인 20.9명보다 3.8배 높은 80.3명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계청의 2025년 고령 인구수가 1,000만 명에 육박할 것으
로 예상한다는 자료에 고려하면, 고령 인구의 자살 문제는 향후 더욱 심
각해질 전망이다. 고령 인구수뿐 아니라 고령 인구 내 노쇠 노인 수의
증가도 우리나라의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노쇠 코
호트 연구를 통하여 전 노쇠와 노쇠 노인 수는 총 노인 수의 54.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추세는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쇠 수준에 따라 노인 인구집단의 여러 가지 특성들이 다르게 나타나므
로, 노쇠 수준에 따른 노인의 자살 생각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2020년 10월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면제심의 신청을 승
인받아 2017년도 전국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인구학적 요인, 건강 관련 요인, 대인관계 관련 요인과 노쇠
수준(건강, 전 노쇠, 노쇠)은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변수 간 상관관계는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고,
노쇠 수준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변수 간 다중공선성 검
정을 위해 공선성 검증을 진행하였다. 노쇠 수준에 따른 인구학적 요인,
건강 관련 요인, 대인관계 관련 요인과 자살 생각과의 영향요인 분석은
복합표본 로지스틱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 생각은 노인의 노쇠 수준(건강, 전 노쇠, 노쇠)이 악화할수
록 증가하였다. 노쇠 수준별 자살 생각 유무를 비교하였을 때, 건강한 노
인은 3.0%, 전 노쇠 노인은 6.1%, 노쇠 노인은 11.1%의 결과를 보였다.
노쇠 노인은 전체 노인의 26.4%로 2,486명이었으며, 그중 275명(11.1%)
이 자살 생각을 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노쇠 수준별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건
강한 노인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만성질환 수와 우울 증
상이며, 전 노쇠 노인에서는 성별, 연령군, 주관적 건강 상태, 흡연 여부,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와 짐스러움 느낌이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노쇠 노인에서는 연령군, 우울 증상, 배우자와의 만
족도와 자녀와의 만족도가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건강한 노인은 주로 개인의 만성질환과 우울 증상
등과 같은 개인의 관점에서 자살 예방 관련 중재가 필요한 반면, 노쇠할
수록 개인의 관점이 아닌 대인관계 간의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노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 예방 중재에는 건강한 노
인과 다르게 가족 개입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노인 자살 생각을 위
한 중재 개발 시 노쇠 수준별로 다각화된 전략을 개발해야 함을 제언하
는 바이다.
Background: South Korea is a super-aged society, and frailty has
become a prevalent issue among older people. Further, South 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of older people in the world, which is a
warning signal for the near future. Considering that frailty level
affects psychosocial factors among older people, it is worth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health-related and
interpersonal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SI) according to
frailty level.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I
among robust, pre-frail, and frail older people.
Methods: A total sample of 10,047 Korean older people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re included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comprehensive Korean frailty index (i.e.,
robust, pre-frail, and frail groups).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Results: The robust (3.0%), pre-frail (6.1%), and frail (11.1%) groups
had experienced SI. No common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SI
among the groups; however, younger age and low satisfaction with
spouses were common associated factors in the pre-frail and frail
groups. The analysis results using total sample showed that related
factors with SI were younger age, higher number of chronic diseases,
lower level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more depressive symptoms,
and more satisfactions with spouses and children. In the analyses
using specific samples by frailty levels, robust older people with a
high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more
likely to have SI. In the pre-frail group, the highly associated factors
with SI were female, younger age, lower level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more feeling of burdensomeness, and lower satisfaction with
spouse. In the frail group, those with younger ages, more depressive
symptoms, less satisfied with their spouses and child had more SI.

Conclusions: Satisfaction with family members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 factors in lessening SI, suggesting that
older people need more family support and care (i.e., attention and
positive interpersonal interaction) as frailty progresses.
Implication for practice: Health professionals should be competent
in caring for a variety of SI factors at the demographic,
health-related and interpersonal levels among older people. There
should be multicomponent care, including family members dealing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pressive symptoms. SI occurs
from complex problems at each frailty level; therefore, experts should
broaden these perspectives and provide interventions for each frailty
level.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52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1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