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건축설계 단계에 따른 재가노인건강주거모델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dex for the Wellness Model in Elderly Housing for the Architectural Design Stag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경원

Advisor
최재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인주거건강주거EBD평가지표설계단계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2. 8. 최재필.
Abstract
노인인구는 급증하고 있으나, 고령자를 배려하는 주거시설은 부족하여 가까운 미래에 고령자들의 사용에 적합한 주택이나 건물을 공급하는데 심각한 문제를 마주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정책은 민간 노인복지주택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에 관심을 가지고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실버주택 공급을 계획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는 고급형과 저소득층 노인 주택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을 뿐, 중간 계층으로의 공급은 빈약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고령인구증가에 대비하는 주거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대비한 방책을 늘리고 정부의 정책과 맞물려 진행될 수 있는 디자인 및 연구가 필요하다.

2020년 노인실태조사 에 의하면 노인의 대다수는 건강이 허락하는 동안 현재 집에서 거주하기를 원했으며, 절반 이상의 노인은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재가 서비스와 함께 현재의 집에서 계속 거주하기를 희망하였다. 기존에 주거하고 잇는 거주지에서 노후를 보내기를 희망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주택을 거주자의 노화에 대응하여 안전하고 자립적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거환경 제공이 요구된다.

노인을 위한 주택개조와 관련되어 주택의 물리적 환경의 문제점에 따른 노인주택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다만, 물리적 환경의 문제점과 개조에 대한 고령친화적 물리적, 시설적 환경 조성 (무장애:BF, 유니버설디자인:UD)에 관한 연구들은 일반적 지침사항 제시를 갖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집수리사업, 주거환경 개선 사업 등의 정책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최저소득층 주거복지의 일부에 포함되어 취약계층과 요양등급의 노인들에 집중되어 있고 대부분, 물리적 장애물 제거 중심의 사업으로 주택개조의 활성화 기대에 부응하는 기반 조성에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국내 노인주거의 실태 및 한계를 인식하고 고령화 사회의 지향점으로써 노인주거환경이 건축과 도시의 물리적 개념에서 환경개념으로 확장되어, 기존의 노인주거환경 평가지표를 통합하고 심리적/신체적 긍정적 근거를 제시한 근거기반 (Evidence-based) 의료/보건 연구를 접목하여 고령자의 스트레스 감소 및 면역력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축환경디자인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논문에서는 각 장의 내용과 필요에 따라 2가지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첫번째, 사용자 관점에서의 FS(Functional Scenario) 분석방법을 기반으로 주사용자인 노인 중심의 노인주거시설 공간 계획의 특성을 파악하여 평가지표를 반영하고, 두번째, 전문가 AHP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파악된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반영하기 위해 평가요소별로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평가지표를 건축설계 단계별로 구분하여 건축계획, 기본설계, 실시설계에 이용 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두었다.

2장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노인 건강과 주거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노인건강과 건축환경에 대해 고찰하고, 국내외 노인주거제도와 평가지침 관련 연구들을 파악하면서, 본 연구의 필요성과 차별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거건축환경의 일반적 특성과 노인의 심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건축공간환경에 대한 특수성을 고찰하고 건축환경분야 인증제도와 평가지침 고찰을 통해 평가모델의 구성 및 특성을 분석하여 본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3장에서는 FS(Functional Scenario)를 활용하여 주 사용자인 노인의 입장에서의 필요와 요구가 중심이 될 수 있는 노인주거 환경에 대한 시나리오를 문헌조사와 미디어를 통해 도출하였다. 도출된 FS항목들을 토대로 노인건강에 대한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고찰하여 주거환경에 관련된 노인건강 평가의 개념모델의 틀을 설정하고, 평가항목을 선정하여 체계화하였다. 노인주거환경에 관련이 있는 물리적 환경적 측면에서 평가지표를 도출하기 위해 Universal Design (신화경, 2010), Healthcare at Home General Annotation (CHD, 2019), WELL v2™ (IWBI, 2020)의 평가지표와 의료 건축 환경 연구자료를 종합하여 주거공간별로 해당하는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기본/계획설계 단계별로 요구되는 노인주거 설계 중점방안 시나리오 및 전략을 제안하였다. 3장에서 체계화된 평가지표항목에 노인건강 의료, 건축, 복지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AHP기법을 활용하여 평가 항목 간의 상대적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시켜 EBD노인건강주거모델 평가지표를 도출하였고, 이를 건축설계 단계인 계획기본단계와 실시단계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평가항목들이 표준화된 지표 값과 가중치에 의해 정량화된 평가점수를 도출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구축하였다.

5장은 검증 단계로, EBD 노인건강주거 건축 계획 기본 설계단계를 중심으로 평가지표를 검증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1996-2000년에 완공된 아파트, 고급형/보급형 노인특화 아파트 총 6개의 평면을 검증하여 평면에 기반한 계획/기본설계단계에 해당하는 노인주거설계 중점방안 시나리오 및 전략에 따른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점수를 도출하였다

비록, 모든 평가지표에 대해 평면분석만으로 검증이 되지 않는 평가지표를 제외하더라도, 재가노인건강주거 모델 평가지표 (계획/기본설계) 검증을 통해 몇가지 흥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기 완공된 노인특화형 고급형 아파트와 보급형 아파트의 공간별 점수는 일반아파트의 산출점수와 비교 했을 때 유의할 정도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노인특화형 아파트를 비교해 보면, 침실의 경우 고급형 아파트의 점수가 높게 산출되었으나, 주방과 거실의 경우에는 보급형 노인특화형 아파트의 점수가 고급형 노인특화형 아파트의 점수보다 더 높게 산출되었다. 이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사실은 노인건강에 대한 특수성의 관점이 노인 특화 아파트의 계획 및 기본설계단계에 특별히 고려되어 있지 않았으며, 이는 설계 단계별로 제공된 노인주거 평가지표를 통해 노인주거에 고려되어야 할 항목들이 설계 기획 단계부터 파악되고 적용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국내 노인주거의 경우 최저소득층이 아닌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중간계층에 대해서는 정부의 정책이나 공급에 있어서 소홀이 다루어지고 있지만, 현재 공급되고 있는, 상위계층을 위한 고급화와 자기 완결적 시설공급과 최저소득층을 위한 공공주도형 고령자 주거계획의 접근에 대해 문제와 해결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FS(Functional Scenario)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용자 필요와 요구를 기반으로 건축설계 단계별 재가노인주거모델 평가지표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노인건강과 일상생활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노인주택공급이나 노인주거 환경리모델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rapid growth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problems in providing housing for use by the elderly. Although the government of Korea is seeking to revitalise the welfare housing system for the elderly, on the whole, private and public supplies have been reached to those in high-income and low-income households. Therefore, regardless of their economic stat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rucial housing issues in terms of design and research that is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policies.

According to the survey in 2020 , most of the elderly demographic (aged 65 and over) prefer to live in their current home while their health permits, and more than half of this group expressed their wishes to continue living in their current homes with community support services, even when they have mobility challenges. As most of the elderly demographic wishes to spend their remaining years in the home that they are accustomed to, there is a real need to provide suitable housing in which safe and independent living is feasible for the elderly demographic.

Resear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emphasising the need for suitable elderly housing that addresses the issue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However, most research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only provide general physical environment guidelines / recommendations for the elderly demographic. In addition, even though government policies, such as housing repair and renovation projects, are in progress in Korea, they have been conducted as a part of the housing welfare system mostly for those in the lowest income bracket.

This study recognises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demographic in Korea, and expands its physical architectural concept to the wider contex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or the wellness modelling in housing for the elderly demographic, which is focussed on the architectural design stages (i.e. Schematic design, Design development, and the Construction documents stages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The study further expands on the existing architectural built environment studies with a therapeutic perspective, that is effective in reducing stress and increasing the wellbeing of the elderly demographic, by implementing proven medical / health applications (there is evidence for these). Based on relevant architectur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the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space plan for the elderly using Functional Scenario (F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methods.

This study will yield findings that aid in elderly housing renovation project(s) and new-build project(s). Furthermore, the proposed Evaluation Index (EI) is intend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Korean Wellness in Elderly Housing (WEH) certification system in the near futur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59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3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