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파트 소비인식에 따른 단지 주출입구의 변천 : Changes of Apartment Complexs Main Entrance in accordance with Consumption Awareness of Apartm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상호

Advisor
서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아파트단지주출입구정문소비인식과시차별화전략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2. 8. 서현.
Abstract
In the present day, apartment housing represents the residential style of Korea. It is a very uncommon phenomenon to recognize apartment housing as luxurious lifestyle in Korea, and how the flow of society supports this trend is an unprecedented occurrence whe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When apartment housing was first introduced in late 1950s, majority of the population did not welcome the unfamiliar residential style that was portrayed in the percentage of distribution. However, apartment housing has now become the most admirable residential life. Together with the residential value, apartment housing added on status value that confirmed ones social position, and this transformed how apartments were recognized. This study is to dive deeper into how this change of awareness is being expressed as physical realization on apartment complexes.

To form an awareness on an object it requires to be exposed and be experienced to the mass public in various ways. Therefore, this study endeavored to observe the facet of apartment complexes and advertisements that is most exposed and be experienced by the public to identify the awareness on apartment housing. Of the physical component of an apartment complex that has the highest visual exposure and experience frequency due to its accessibility is the complex main exit.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of strong visibility and a space for experience, the complex main exit has physically shown the change of awareness on apartments outstandingly at the equilibrium where the demand of the residents as consumers required the expression of their social position and the supply of the constructors and their strategic needs crossed togethe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lated to apartments in various fields; however, limitations were found in them as they each only partly focused on a specific area of study. A combination of expertise on different areas of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compound product called apartment housing.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stablish the causal relationship of architecture and sociology in the transformation of apartment complex main exit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hanges in these two perspectives.

This study targets the apartment complexes established after the 1970s with more than 300 households in Gangnam 3rdDistrict. Common factors of complex main exits in different years and similar changes in the timeline were first garner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The empirical factors that acts in awareness formation, such as pedestrian-vehicle relations, security office, and crossing gate, and visual factors, such as frame type structure, exterior building materials, and apartment complex names, were selected and set as the components for frame of present condition investigation of apartment complex main. Complete enumeration survey was then executed on the apartment complex main exits within the study scope.

Setting a standard to divide each time period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results of present condition investigation of each. The standard was set with newspaper advertisements while considering the periods when consumption awareness on apartment housing were deduced in the preceding research on the change on consumption behavior toward apartments. Constructors created advertisements showing different aspects of the apartments they wished to emphasize, and this established the awareness on apartment housing. Subsequently, apartment complexes were built based on the emphasized aspects in the advertisements, and those accents in constructor commercials were also expressed in the complex main exits. Intrinsically, it was proper to deduce the periods of consumption awareness set in the preceding research is suitable to be the standard required in this study. As a result, newly defined periods of apartment consumption awareness are as follows: from early 1970s to early 1990s, from early 1990s to early 2000s, and from early 2000s to the present. The core content of this study is diving into the diachronic change of complex main exits and its relations to consumption awareness of apartment housing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the main exits in different time periods, dividing the results of present condition investigation by the set standard.

After conducting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transition of the consumption awareness of apartment housing and the complex main exits happened in an extremely similar direction. Consumption awareness of apartment housing started as functional consumption in the 1970s and, after undergoing a transition period in the late 1990s starting from the foreign-exchange crisis, transformed to ostentatious consumption in the 2000s. Following these transitions, functional aspects of the main exits were emphasized in the , and the functional aspects were maximized and some ostentatious points were partly stressed to express the transitioning period in the . Finally, ostentatious aspects of the complex main exits were majorly highlighted and even demonstrated exclusive characteristics in the . As a conclusion, main exits of apartment complexes transformed to strengthen the functional aspect for the convenience of the residents and furthermore added on exclusive characteristics as a portrayal of ostentation.

It was possible to observe how the change in consumption awareness of apartment housing influenced the physical visualization of complex main exits in different time periods and,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se timelines, perceived the flow of diachronic change.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in that complex main exit, which distinguishes the apartment complex from the rest, is at the core of the analysis. Moreover, this research finds significance in simultaneous analysis and conclusion deduced connecting architectural perspective in recognizing the transformation of apartment complex main exits together with sociological standpoint in sensing the change in awareness of apartment housing.
오늘날 아파트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주거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대한민국에서 아파트가 고급주거로 인식되는 것은 매우 독특한 현상이고 이를 지지하는 사회적 흐름 또한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전례 없는 현상이다. 1950년대 말에 처음 소개된 아파트는 대다수 국민들로부터 환영받지 못하는 생경한 주거양식이었고 이는 미분양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아파트는 한국사회에서 최고의 선망 주거양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아파트에 주거의 가치 이외에 사회적 지위를 대변하는 지위재의 가치가 추가되었고 그 과정에서 아파트의 인식도 변화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식변화가 어떻게 아파트 단지에 물리적으로 다양하게 가시화되어 표현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어떠한 대상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대중에게 다양한 형식으로 노출되고 경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대상으로 아파트의 광고와 아파트 단지 중 대중에게 가장 많이 노출되고 경험되는 부분을 관찰하고자 했다. 아파트 단지를 이루는 물리적 구성요소 중 가장 가시적 노출빈도가 높고 접근성이 좋아 경험빈도도 높은 곳은 주출입구이다. 이렇게 높은 가시성과 경험되어지는 공간이라는 특성 때문에 아파트 단지의 주출입구는 소비자인 입주민들의 사회적 위상 표현 요구와 공급자인 건설사의 전략적 필요가 결합하여 아파트에 대한 인식변화를 물리적으로 가장 잘 표현해왔다.

아파트와 관련된 연구는 그간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었다. 하지만 그 연구들은 각각 한 분야에서만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는 한계가 있다. 복합적인 산물인 아파트를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들의 결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학과 사회학의 관점에서 아파트 단지 주출입구의 변화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그 인과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에 건립된 강남3구의 300세대 이상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예비조사를 통해 다양한 연도의 단지 주출입구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던 요소들과 연도별로 변화가 관찰되었던 요소들을 취합하였다. 그 중 인식의 형성에 관여하는 경험적 요소인 보차관계, 경비실, 차단기와 가시적 요소인 문틀형 구조물, 외장재, 아파트 단지 이름을 선정하여 현황 조사의 틀인 아파트 단지 주출입구의 구성요소로 설정했다. 그리고 해당 범위에 속하는 아파트 단지의 주출입구와 그 구성요소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현황조사의 결과를 시기별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기 구분의 기준이 필요했다. 이에 신문광고를 중심으로 아파트에 대한 소비행태 변화를 분석한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아파트의 소비인식 시기를 참고하여 시기의 기준을 설정하고자 했다. 건설사는 강조하고자했던 아파트의 다양한 측면들을 광고로 만들었고 이를 통해 아파트의 인식이 형성되었다. 그 후, 광고를 통해 강조되었던 측면들을 기반으로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고 건설사가 광고를 통해 강조했던 측면들이 단지 주출입구에도 표현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필요한 시기구분 기준에 선행연구의 소비인식 시기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새롭게 정의한 아파트의 소비인식 시기는 1970년대 초부터 1990년대 초까지인 , 199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인 , 200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인 이다. 현황조사의 결과를 아파트의 소비인식 시기로 나누어 시기별 단지 주출입구 구성요소의 변화를 분석하고 단지 주출입구의 통시적인 변화와 아파트 소비인식의 연관성을 고찰한 것이 본 연구의 핵심내용이다.

연구 결과, 아파트의 소비인식과 단지 주출입구의 변천은 매우 흡사한 방향으로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아파트의 소비인식은 1970년대 기능소비로 시작하여 1990년대 말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과도기를 겪은 후 2000년대에 과시소비로 변했다. 그에 맞춰 에는 단지 주출입구의 기능적인 측면들이 강조되었고 에는 기능적인 측면들이 극대화되고 과도기적 표현으로 과시적 측면이 일부 강조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에는 단지 주출입구의 과시적인 측면들이 대거 강조되었고 배타적인 성격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아파트 단지의 주출입구는 입주민의 편의성을 위한 기능적인 측면들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했고 나아가 과시를 통한 배타적인 성격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파트의 소비인식 변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단지 주출입구에 물리적으로 가시화되어 표현되었는지를 시기별로 살펴보았고 시기들의 종합적인 고찰을 통해 통시적인 변화의 흐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를 이루는 경계 공간 중 단지 주출입구를 중점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또한 아파트 단지 주출입구의 변화라는 건축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아파트의 인식변화라는 사회학적 관점과 함께 분석하고 서로 연결 지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59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2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