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상 속 여성들의 이야기 에서 나타나는 발코니의 실존적 의미 : A Study on Existential Meaning of Balconies in Female Narratives: Based on Korean Novels, Plays and Films
소설, 연극, 영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방예림

Advisor
백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발코니여성과주거이야기속공간적배경코로나-19와주거공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2. 8. 백진.
Abstract
Only balconies in Korean balconies have been discussed limitedly on functional aspects; a mean to maximize residential area, to use as a spare room or to store loads. In Korea, balconies only exist on paper solely to be used for expansion, never to be realized. However, the abnormality from the outbreak of Covid-19 pandemic and application of local architectural guideline to avoid unilateral façades brought balconies to attention.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balconies inherent in the contextual foundation of daily situations.
In discovering of meaning of a space serving as a situational background, it is imperative to witness how space contributes to the situation while dissolving into the background, by using peripheral vision. Hence the situations are derived from fictional realist narratives, which depicts the authenticity and ingenuity in daily lives (however banal they might seem). Following a close observation of inter-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and their changes during the given situations, analyses are draw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spatial displacement and mise-en-scene.
Several narratives placed on balconies have been chosen in this research to observe how balcony is depicted and presented as a foundation of situational background. Also, to investigate how balconies engage in everyday lives of Korean female housewives, only works that include female protagonists have been chosen. Korean novels, films, and a play were selected in case of narratives, and each genre has a way of storytelling per se, but shares a common ground that space exists in relations to its background in a situation.
The concept of balconies was applied to Korean apartment as an auxiliary kitchen space, storage or a pantry, and a succession to an exterior space in Korean traditional housing, madang. However balcon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emales unrecognized. Six narratives unveil different symbolic meaning and values, all disclosing realities of female housewives. For instance, balconies were used to provide situations which express solidarity and empathy towards other females, breaking free from shame and vulnerability. Furthermore, female protagonist would be awaked to the sense of folly and reclaim their independence while at the balcony. Through narratives, balconies reveal sexual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every day throughout the history but also how they empathize, unite, and reestablish their identity with each other.
Females have been restrained to stay home and become housewives, while at the same time deprived of personal private space. Female spaces in housing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the following: a master bedroom, a kitchen, a dining area, a balcony, and a dressing room, all of which are serving spaces to maintain household except for a master bedroom, which is shared by the couple. Therefore no place is found for females to have privacy at home but for a balcony. This outdoor space whilst inside home becomes a haven or an asylum for females to avoid social isolation and take a break from serving their families.
However, the loss of balconies in Korea has robbed female housewives of this sacred space. Meanwhil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numerous changes in daily lives starting with lockdowns and social distancing. The longer people stay indoors at home, the more unhesitant people became to go outside. Lack of social contact induced depression which prevailed globally resulting in Covid-Blue syndrome. What had been limited to female housewives-the feelings of helplessness without any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interaction-has proliferated to the common and Koreans who were deprived of outdoor space felt desperate need for balconies. To overcome spatial constraints, measures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have been developed such as untact meetings and gatherings, new systems to accommodate working from home and home education, and arrangement of communal spaces to shelter civic life at home. These new attempts to cope with shapeshifting reality liberated women in ways that they can now continue their careers and social life while at home. Although this temporary fix cannot be the ultimate solution to womens rights but provides a stepping stone to suggest alternatives other than termination of their careers.
아파트 발코니에 대한 논의는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전용면적 확장을 위한 서비스 면적, 개인의 취미를 즐기기 위한 자투리 공간, 큰 짐을 보관하는 수납공간 등-으로서 그 기능을 한정시켜 진행되어 왔다. 현재 발코니는 확장을 염두에 둔 평면계획으로 인해 도면상으로는 존재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구축되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하지만 벽면율의 적용과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져온 비일상으로 인해 주거생활의 변화로 발코니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황의 배경으로서 발휘되는 발코니가 내재하고 있는 역할과 의미를 살피고자 한다.
배경으로서 작용하는 공간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공간이 주변시로 사라짐으로써 상황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관찰한다. 상황의 개연성을 위해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한 작품들을 설정하여, 보다 현실적인 개인의 삶의 모습과 일상적인 상황을 관찰한다. 상황 속 인물들의 관계 형성과 관계의 성격 변화 등을 관찰한 후, 공간의 연출과 구성방식을 이해하도록 꼴라주와 다이어그램 해석을 통해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한다.
상황의 기반으로서 발코니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이야기 구조를 가진 소설, 연극, 영화의 형식을 갖춘 작품을 선정한다. 여성 주인공이 등장하고 주부의 일상을 보여줄 수 있는 리얼리즘의 장르를 갖추고 아파트 발코니가 배경으로 등장하는 작품을 선정하였다. 박완서의 와 , 조경란의 <2007, 여름의 환> 소설 세 편, 이영은의 연극 한 편, 김도영의 <82년생 김지영>, 손지수의 영화 두 편을 통해 발코니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발코니에서 일어나는 상황이 담긴 작품을 선정하여 발코니가 인물들의 상황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작가는 발코니라는 배경을 어떻게 사용하고 표현했는지 알아본다. 이 분석을 토대로 발코니가 지니는 의미와 상징성을 추론한다. 작품의 형식은 소설, 연극, 영화로 한하여 각 장르가 갖는 표현 방식에 유의하여 분석한다. 예컨대, 소설에서는 발코니의 서술적 묘사를, 연극에서는 발코니를 표현하기 위한 무대 장치, 배우 동선, 소품 사용 및 극 전개 양상을, 영화에서는 배우들의 연기를 뒷받침하기 위한 배경적 요소로써, 장면 구성방식인 미장센(mise-en-scene)을 살펴본다.
주거는 여성의 공간으로, 가사노동은 여성의 몫으로 고착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중산층의 보편적인 주거형태인 아파트에서는 여성들을 위한 전용공간이 따로 마련되어있지 않다. 외부에서 각자 개인의 사적 시간을 보내는 다른 가족 구성원들과 달리 집에 고립되어 있는 여성들에게 이와 같은 결핍은 결정적이라고 보여진다. 여성과 관련된 정책이 발전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주거공간은 여성에게 불리하게 구축되어 왔으며, 가사노동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처럼 겉으로는 보이지만 결국 여성들에게 가사노동이 편중화될 뿐, 근본적인 여성해방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오늘날 다양성에 대한 인식 개선과 개인의 기호성향에 대한 존중이 보편화되어 여러 유형의 여성상이 발전하고 있지만, 현재 주거건축은 자녀가 있는 부부중심의 가족유형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가족규범에 맞지 않는 사람들은 소외되고 있다.
발코니는 주방의 보조공간, 외부 작업공간으로서의 마당의 기능을 내부화한 공간으로 국내 아파트에 도입되었지만 한국 사회에서 그 중 여성 전업주부들의 일상에서는 다양한 의미로 재생산되었다. 여섯 편의 이야기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발코니의 상징과 가치는 모두 서로 다르면서도 여성으로서 겪는 차별과 희생을 드러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소설에서 나타나는 발코니는 타인(다른 여성)을 상기시키며 공감하는 상황을 드러내는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연극에서는 여성이 사회로부터 각인된 수치심을 이겨내고 같은 아픔을 가진 타인과 연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영화에서는 발코니에서 사회적/제도적 억압을 딛고 자아실현을 위해 나아가는 계기가 되는 상황이 일어났다. 이야기를 통해 발코니는 여성 전업주부들의 일상적 모습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여성들이 서로 공감하고, 연대하고, 주체적인 삶을 되찾는 상황을 보여준다. 이처럼 발코니는 여성, 특히 주부들에게 자기희생과 사회적 고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해방공간 또는 도피처로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발코니가 도피처가 되기 위해 기여하는 공간적 요소는 다음과 같다. 발코니는 주거 내 외부공간으로서 단열을 하지 않아 외기의 비교적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또한 확장하지 않은 발코니는 거실의 바닥면보다 낮고, 가사노동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기능으로 물을 사용하기 위한 방수 기능이 있는 마감재를 사용한다. 발코니의 찬 바닥 때문에 사용자는 대부분 슬리퍼를 신는데 우리나라의 방 문화에 따라 방에서 나와 신발을 신는다는 것은 외부에 나감을 뜻한다. 따라서 집에 갇혀있는 여성들은 밖에 나가는 대신 발코니에서 외부세계로 나가고자 하는 갈망을 해소한다. 발코니에서는 공통적으로 밖을 바라보는 자세를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집 내부 거실 등을 등지고 밖을 향하는 모습이다. 인간은 신체를 가지기 때문에 관심의 대상을 향해 정면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밖을 향해 바라보는 자세를 통해 발코니의 주 사용자인 여성들은 자신의 관심 대상이 집 밖의 세상에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발코니가 서비스면적으로 사용되면서 폭이 1.5미터 이상부터 전용면적에 포함되는 법률에 따라 발코니는 1.5미터 간격의 폭을 갖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이 좁은 폭의 공간은 협소하여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하기 불편하고 입식가구를 들여놓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가족들이 찾지 않는 불편한 공간인 발코니는 여성들이 자신만의 사적인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성에게 집의 의미는 국내 역사적인 사건에 의한 남성의 부재에서 기인한 다층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민주주의의 발전과 자본주의의 확산으로 인해 경제적인 가치로 그 의미가 축소되었다.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전용면적을 최대화하고자 발코니는 전용면적의 확장 수단으로 전락하였고 물리적 공간으로써는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발코니의 부재는 여성들의 유일한 사적 공간이자 도피처의 상실을 야기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실이 오늘날 사회의 변화-미투운동을 비롯한 페미니스트 운동과 강압적인 가부장제도에 대한 저항-를 마주하여 더 이상 도망칠 곳 없는 여성들을 위한 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고취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며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자, 점차 사람들은 답답함과 외로움을 느끼며 발코니를 찾기 시작하였다. 여성 주부들에게만 국한되어 있던 발코니에 대한 필요성이 코로나-19라는 비일상에 의해 공동의 경험으로 확산되었고, 발코니의 실존적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와 비대면 회의 및 수업을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고 발코니 확장으로 얻은 알파룸을 홈오피스나 홈카페 등 가족 구성원의 소유에 구애 받지 않는 공유 전용공간을 통해 여성들이 사회생활을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59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8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