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mpirical Effects of Natural Resource Endowment Dependence and Institutional Quality on External Debt in Sub-Saharan Africa :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천연자원 의존도와 제도의 차이가 대외부채에 미치는 실증효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은빈

Advisor
정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ExternalDebtNaturalResourceInstitutionalQualitySub-SaharanAfricaDebtRelief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통상전공), 2022. 8. 정혁.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level of debt distress is increasing again in sub-Saharan Africa where many low-income and lower middle-income countries are located. This is particularly alarming because most of these countries have low diversity in economic activities along with low level of institutional quality and per capita GDP to service debt. And yet, they are in need of large-scale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s and investments.
The debt crisis of the region in 1980s and 1990s was alleviated after thirty-one sub-Saharan countries received extensive debt cancellation and reduction under Heavily Indebted Poor Country (HIPC) debt relief initiative and Multilateral Debt Relief Initiative (MDRI) in 2000s. Only after a decade since the implementation of substantial debt relief package, the external and public debt burden started to increase at a rapid pace and currently twenty-one countries are either at high risk of external debt distress or already in distress. This evidence supports that although debt relief programs prevented further economic deterioration temporarily, it did not lead to long-lasting economic growth in the region.
This study surmises natural resource endowment dependence and institutional quality as the determinants of external indebtedness and investigates the empirical effects of natural resource dependence and institutional quality on external debt in sub-Saharan Africa using panel data of 44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over the period of 1996-2019.
The results show that natural resource endowment dependence strongly and robustly reduces external debt in sub-Saharan Africa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and external debt supports that natural resource rents are often used as payments for debt servicing. This result is alignment with natural resource curse since reliance on commodity exports for the revenues to service debt or finance public investments are not sustainable and it signals lack of economic diversification, which could also mean that less investment will go to productive sectors such as manufactur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stitutional quality and external indebtedness shows that political institution reduces external indebtedness, but economic institution has ambiguous effect on external debt. This is more apparent pre- and during HIPC initiative period (1996-2010) and this explains that with structural reforms before HIPC initiative and MDRI, countries with better macroeconomic stability were granted more debts while political instability hindered them to access loans.
최근 저소득 및 중하위 소득 국가가 대거 위치한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부채 문제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국가가 낮은 1인당 국내총생산지수 및 제도수준 함께 경제 활동의 다양성이 낮기 때문에 특히 우려된다. 또한 이들 대부분 국가는 대규모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와 투자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중 31개국은 2000년대에 고채무빈곤국 채무구제제도 (Heavily Indebted Poor Countries, HIPC) 및 다자간부채탕감제도 (Multilateral Debt Relief Initiative, MDRI)를 통하여 대규모 부채 탕감 및 감면을 받았다. 그러나 이로부터 10년도 지나지 않아 2010년부터 대외 및 국가 부채 위기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21개국이 대외부채 위기에 높은 위험수준이거나(high risk) 이미 위기에 처해 있다 (in distress). 이것으로 보아 부채 탕감 프로그램이 일시적으로 경제 악화를 방지했지만 이 지역의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19년까지 41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천연자원 보유량과 제도수준을 대외부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추정하고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천연자원 의존도와 제도수준이 대외부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결과적으로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천연자원 의존도와 대외 부채 감소 간의 강한 연관성 발견할 수 있었고, 성장과 대외 부채 사이의 부정적인 관계가 천연자원의 이익이 대부분 부채 상환에 대한 지불로 이어진다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 결과는 자원의 저주와 동일한 선상의 증거를 제시하고 있고, 부채 상환 또는 공공 투자 자금 조달을 위하여 자원수출에 의존하는 것은 지속가능하지 않고 경제적 다각화의 부족을 의미한다.
제도의 차이와 대외 부채의 상관관계에서 보여지는 결과로는 정치제도가 대외채무를 감소시키는 반면, 경제제도는 대외채무에 미치는 영향이 모호함을 보여준다. 이는 HIPC 이니셔티브(1996-2010년) 기간동안 더욱 분명하게 나타나며, HIPC 이니셔티브 및 MDRI 이전의 구조 개혁으로 거시경제적 안정성이 더 좋은 국가에 더 많은 부채를 부여한 반면 정치적 불안정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대외부채에 대한 접근성이 부족했음을 설명하고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87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4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