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능적 문해의 관점에 따른 금융문해교육에 대한 분석 : Analysis of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Functional Perspective on Literacy: Focusing on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Course in University A
A 대학의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강좌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왕주희

Advisor
오헌석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금융문해문해교육금융교육기능적문해교육소비자보호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 2022. 8. 오헌석.
Abstract
With the rapid financialization of the economy, financial literacy is a sub-area of literacy that is essential for adults. This is proven by the fact that interest in various ways of investment, including stock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recently, while those in economically vulnerable positions are also increasing. Research on financial education and financial understanding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under the clear recognition that financial literature is essential for adults living in modern society, but has mainly been conducted in consumer studies or financial-related fields. For this reason, research on financial education significantly lacks the perspective of literacy and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apture the meanings of literacy education inherent in the scene of financial education by analyzing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produced and operat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in light of the concept of financial literacy. Furthermore, this study sought the direction in which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can develop as a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while seeing the education as an example that embodies the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necessary for practicing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and explored implications for overall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ingle complex case study based on the case of University A.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and observed University A's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in the fall semester of 2021, and interviewed Professor B and fiv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and the main educational goals of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derived through this and the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used to achieve the goal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had five major educational goals: preventing damage from financial fraud, promoting effective decision-making, enhancing the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understanding of modern financial society, and changing practical behavior. Students who experienced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understood the context of the macro economy, and through this, they were a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about finance than before. In addition, students came to think by combining their understanding of finance and survival, and they either had specific changes in financial behavior or planned future changes and continuous lear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bove contents in light of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at make up financial literacy,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can be seen as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that reflects the components of financial literacy.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allows students to learn knowledge around the terms they will encounter in real financial life and the macro economic context that must be considered to make practical decisions. In addition, procedural knowledge was delivered in detail to acquire decision-making skills, and by repeatedly emphasizing reading training while taking open-book tests, the skills to read and understand was intended to be promoted. Finally, regarding attitudes, the intention was to improve reading skills persuaded the importance of long-term perspectives and rational judgments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financial society. Furthermore, students gained motivation to continuously learn about finance and confidence in their future financial lives through the wide financial world they learned through the intention was to improve reading skills and the specific guidelines provid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has two implications for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First, it shows what knowledge enables skill acquisition and change in attitude. This is because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allows students to acquire decision-making skills through procedural knowledge and induces changes in attitudes through knowledge of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society. Second,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reveals the need for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for higher education learners, while showing what specific methods such education can use. Higher education learners had difficulty participating in communication on finance even though they already had basic numerical, language, and general cognitive skills.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promotes an understanding of financial terms and macroscopic contexts, allowing learners to utilize numerical, language, and general cognitive abilities within the realm of fin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for continuous learning was more important tha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financial life immediately.
Although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deals with most of the components of financial literacy, it has its limitation due to the fact that it has the focus on the delivery of knowledge. For more active changes in financial behavior,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seems to need to use experience-oriented educational method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amount of knowledge "Practical Finance for College Students" wants to convey, to allow learners to acquire skills and attitudes by participating in decisions actually necessary for financial life, and to induce positive changes in financial behavior.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경제의 금융화에 따라 금융문해는 성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문해의 하위 영역이다. 최근 주식을 비롯해 다양한 방식의 투자에 대한 관심이 급격함과 동시에 경제적으로 취약한 위치에 처한 이들 또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이를 방증한다. 금융교육과 금융이해력에 대한 연구는 금융문해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성인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는 분명한 인식 하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주로 소비자학 또는 금융 관련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로 인해 금융교육에 관한 연구는 문해와 문해교육의 관점이 현저히 부족하다.
본 연구는 금융감독원에서 제작하고 운영하는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을 금융문해의 개념에 비추어 분석함으로써 금융교육의 장면 안에 내재된 문해교육으로서의 의의를 포착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이 금융문해교육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한편 해당 교육이 금융문해교육의 실천에 필요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구체화하는 사례로 보고 금융문해교육 전반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 대학의 사례를 기반으로 단일복합사례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21년 2학기 A 대학의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을 참여관찰 하였으며, 해당 과목을 담당하는 B 교수 및 수강생 5인과 인터뷰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 분석 방법을 활용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의 주요한 교육 목표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되는 교육 내용 및 방법이 금융교육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방식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용금융은 크게 다섯 개의 교육 목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금융사기 피해 예방, 합리적인 의사결정 촉진, 직접 읽고 이해하는 능력 증진, 현대 금융 사회에 대한 이해, 실질적인 행동의 변화이다. 한편 실용금융을 경험한 수강생들은 거시적인 경제의 맥락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금융에 관한 의사소통에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수강생들은 금융에 대한 이해와 생존을 결부시켜 생각하게 되었으며, 구체적인 금융 행동의 변화가 생겼거나 향후의 변화 및 지속적 학습에 대한 계획을 세웠다.
금융문해를 구성하는 지식, 기술, 태도에 해당되는 내용에 비추어 이상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용금융은 금융문해의 구성요소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금융문해교육으로 볼 수 있다. 실용금융은 실제 금융생활에서 접하게 될 용어와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거시적 경제 맥락을 중심으로 지식을 익히도록 하였다. 또한 의사결정의 기술 습득을 위해서는 절차적 지식을 상세하게 전달하였으며, 오픈북 방식의 시험이나 직접 교재와 언론 보도를 읽어 보면서 읽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강조하여 읽기 능력의 증진을 의도하였다. 마지막으로 태도와 관련하여 실용금융은 현대 금융사회의 특징을 활용해 장기적인 관점과 이성적 판단의 중요성을 설득하였다. 나아가 수강생들은 실용금융을 통해 알게 된 폭넓은 금융의 세계와 제공받은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통해 금융에 관해 지속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동기와 향후의 금융 생활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실용금융이 금융문해교육에 대해 시사하는 바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실용금융은 기술의 습득과 태도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지식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실용금융은 절차적 지식을 통해 의사결정의 기술을 습득하도록 하며, 금융 사회의 특징에 대한 지식을 통해 태도의 변화를 유도하기 때문이다. 둘째, 실용금융은 고등교육 학습자를 대상으로하는 금융문해교육의 필요성을 드러내는 한편 그러한 교육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고등교육 학습자들은 이미 기본적인 수리, 언어, 일반적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금융에 관한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실용금융은 금융 용어와 거시적인 맥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으로써 학습자가 금융의 영역 안에서 수리, 언어, 일반적 인지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들은 당장의 금융생활에 대한 참여 동기보다는 지속적인 학습에 대한 동기가 더욱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용금융은 금융문해의 구성요소를 충실히 다루고 있는 금융문해교육이나, 지식의 전달을 중심에 둔 교육이라는 한계를 갖는다. 보다 적극적인 금융 행동의 변화를 위해 실용금융은 경험 중심의 교육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본 연구는 실용금융이 전달하고자 하는 지식의 양을 최소화하고 학습자가 실제로 금융 생활에 필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해보면서 기술과 태도를 습득하도록 하며 금융 행동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07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80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