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료학습환경에서 학습자 행위자성 연구 : How Learners Learn Without a Teacher: A Qualitative Case Study on Students of 42 Seoul, an Adult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Peer-Learning Environment
42서울 교육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현

Advisor
유성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동료학습학습자행위자성이노베이션아카데미42서울에콜42성인학습직무교육코딩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 2022. 8. 유성상.
Abstract
A group of people wanting to learn to swim are gathered around a pool. As an instructor, you take them to the pool and demonstrate the 4 main strokes of swimming. Then you say "well, go learn yourself to swim in 5 days. 5 days left for the exam!" and leisurely leave them there. What will happen to the pool after that? Can they learn how to swim? If they can, through what process would it be possible?
42 Seoul covered in this study is an adult vocational training program on computer science to produce software develop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ubject of learners by selecting 11 people who applied to and joined the 42 Seoul program as research participants under the condition of a peer learning environment. I answere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by qualitatively describing and analysing their learning experience through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First, what was the reason that they participated in 42 Seoul, and their learning context before participating?
Second, how do learners' previously formed experiences and contexts of learning affect the structuring of new learning experiences in the peer learning environment of 42 Seoul?
Third, how has their learner agency changed in the environment?
I accepted the suggestion of Lindeman(1926) that each person can discover the meaning of adult education only by participating oneself in the process of adult education. So I applied to and joined through the curriculum of 42 Seoul for about one and half years a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underwent as wel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motivation for applying to 42 Seoul and their previous learning context are as follows; The study participants had different learning histories and contexts, but the reasons for taking the educa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histories and contexts. The first are those who majored in computer science in college. They stated their level of learning felt not so enough that they had applied to the 42 program to improve it.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had had no experience in learning relevant contents of computer science tended to choose a new career path amid the social pressures caused by recent industry changes due to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econd, different aspects appeared between the context and the structure of their learning experiences according to whether they had relevant ones to the 42 Seoul Program. In addition, the learners circulated the behavioural loop of individual learning and peer-based one, forming relationships with emotionally close peers and exchanging information in which they devoted much of their time to learning.
Finally, as a result of peer learning, a change appears in the learner's agency. The participants self-generated new information and learning methods in a peer learning proces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reated new learning trajectories by interacting with peers to imitate or share the learning strategies with others while trying to modify their own, previous ones.
The above result can be modeled into three aspects (SAC, Structure, Agency and Culture): the participants agency, the structure and the perceived culture that mediate or influence it(SAC, Structure, Agency and Culture). According to the morphogenetic approach proposed by Archer(2020), each of them correspond to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 of 42 Seoul based on peer learning as a structure, the agency of learners whose attitude and behavior level change according to their histories of learning, and the internalized culture through participating the curriculum of 42 Seoul. The aspect in which these three elements are mediated through the research participants works as a low-level ideology that maintains the specific results of participants learning in 42 Seoul.
This study has limitations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ho joined 42 curriculum after passing the exam of the Preparatory Course of it, La Piscine, could not address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did not learn effectively in a peer learning environment. Peer learning is an excellent learning method for those who want to start learning in an area where instructors cannot exist in the first place or where teaching resources are scarc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use cases of peer learning will increase in the world's education scene after the pandemic, where demand for online learning with no physical instructor is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follow-up studies on a more diverse peer learning environment designed by mixing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do not fit well with the methodology of peer learning or existing teaching strategies within it.
수영을 배우려는 한 무리의 사람들이 수영장에 모였다. 강습 책임자인 당신은 그들을 수영장으로 데리고 가서 주요 영법(泳法)을 시연한 다음, 자, 닷새 동안 알아서들 배우세요. 닷새 뒤 시험입니다!라고 말하고는 유유히 수영장을 빠져나간다. 그 후 수영장에선 무슨 일이 일어날까? 사람들은 수영을 배울 수 있을까? 만약 그들이 수영을 배웠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서 배울 수 있었을까?
이 연구에서 다루는 42서울은 컴퓨터공학 및 소프트웨어 개발 실무자 양성을 위한 성인 대상 직무교육 프로그램으로, 위와 같은 수영장의 비유를 실제로 구현한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동료학습환경으로 조건화된 42서울 프로그램을 수행한 1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의 학습경험을 연구 사례로 삼아 그 학습자 행위자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이들의 학습경험을 질적으로 기술하고 분석함으로써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해 답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42서울 참여 계기와, 참여 전 학습맥락은 무엇인가?
둘째, 42서울의 동료학습환경에서, 학습자가 기존에 지니고 있는 학습경험과 맥락은 새로운 학습 경험의 구조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동료학습환경 속 연구참여자의 학습자 행위자성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연구자는 성인교육의 과정에 동참하고 난 뒤에야 비로소 성인교육에 관한 각자의 의미를 발견할 것이라는 에두아르드 린드만(Lindeman, 1926)의 제안을 수용하여, 연구배경이 되는 42서울 교육 프로그램에 직접 지원하고 4주간의 예비과정을 거쳐 1년 반 가량 본과정 교육생으로 교육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연구참여자의 교육참여 계기와 그 이전의 학습맥락은 다음과 같이 드러났다; 연구참여자의 42서울 교육참여전 학습 이력과 경험 맥락은 저마다 다르지만 이력에 따라 둘로 분류된다. 첫째는 대학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이들로, 자신의 학습 수준에 부족함을 느껴 교육에 참여했다고 답했다. 반면 관련 내용 학습경험이 없는 이들은 산업부문의 변화로 야기된 사회적인 압력을 통해 새로운 진로 탐색의 방편으로 선택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두 번째로 학습자의 기존 경험맥락과 학습경험의 구조화 사이에는, 42서울 교육프로그램과 관련된 학습 경험 또는 학습형식 경험의 유무에 따라 다른 양상이 드러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개인학습과 동료학습을 순환하며 정서적으로 친밀하거나 정보를 교환할 관계를 형성하고 이 관계를 바탕으로 하루 중 많은 시간을 학습에 몰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행위자성이 변화되는 양상은 동료학습을 계기로 나타난다. 연구참여자들은 동료학습과정에서 얻은 새로운 정보와 학습방식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동료들과의 상호 작용 속에서 그들의 학습전략을 모방하거나 전에 없던 수정된 전략을 시도하면서 다시 이것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등의 방식으로 새로운 학습궤적을 만들어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연구참여자의 행위자성, 이를 매개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구조, 인식된 문화라는 세 측면(SAC, Structure, Agency and Culture)으로 그 양상을 모형화할 수 있다. 아처가 제안한 형태발생론적 접근에 따라(Archer, 2020) 각각은 구조로서의 42서울의 종합적 동료학습환경, 개인의 학습 이력에 따라 태도와 행동 수준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 행위자성, 교육프로그램 참여를 내면화된 학습문화로 대응된다. 이 세 요소가 연구참여자를 통해 매개되는 양상은 42서울이라는 프로그램의 구체적 성과를 유지시키는 낮은 수준의 이데올로기로 작동한다.
이 연구는 42서울 프로그램 참여자의 선발 단계이자 예비과정인 4주간의 교육을 거쳐 본과정에 합격한 사람들만을 연구참여자로 삼은 까닭에, 동료학습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없었던 이들의 경험을 다루지 못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동료학습은 처음부터 교수자가 존재할 수 없는 영역 또는 교수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학습을 시작하려는 이들을 위한 훌륭한 학습방법으로, 온라인 학습에 관한 관심과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는 팬데믹 이후 세계의 교육 장면에서 활용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료학습이 잘 맞지 않는 이들의 경험사례 또는 기존의 교수전략을 혼합하여 기획한 더 다양한 동료학습환경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07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9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