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피드백 제시 시기가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the Effect of Feedback Timing on Pragmatic Errors Correction of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거절 화행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이범

Advisor
민병곤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오류수정피드백피드백제시시기피드백효과학습자반응학습자인식화용적오류거절화행한국어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2. 8. 민병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immediate feedback and delayed feedback on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pragmatic errors correction.
As the role of feedback becomes more important in second language education, the research on feedback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y are mainly pointed on feedback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feedback presented by Lyster & Ranta (1997), and the research for the feedback timing is very insufficient. Among previous studies of Korean education, only a small number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learners' preferences for the feedback timing. However,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many experimental studies about the feedback timing have been conducted. But, these studies mainly explored the effect of the feedback timing on the correction of English grammar errors. The impact of feedback timing on pragmatic errors correction has not been explored. So this study will examines the effects of feedback timing on pragmatic errors correction.
In Chapter I, I clarifi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presents research questions in detail. Subsequentl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 the feedback timing and the correction of pragmatic errors, I revealed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and disscussed some aspects this study will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studies.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pporting the discussion of the study was argued from two espects: the theory of feedback timing and the theory of correction feedback of pragmatic errors. Through this, I explained the definition and type of feedback timing, then I also discussed the type of the pragmatic errors. So that the analysis frameworks were prepared.
In Chapter Ⅲ, I explaine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It contains research subjects, research procedures, research tools and task, and pilot test.
In Chapter IV, I analysed the result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I analysed the differences in learner response to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the differences in effects of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on pragmatic errors correction, and differences in learners' perceptions of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And then I discuss the analysis results in depth.
In Chapter Ⅴ, I summarized the research results and pointed ou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differences in learners' response to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learners who received immediate feedback usually had better reponses than the learners who received delayed feedback because they interact more actively with teachers. However, for alerters errors, syntactic down-graders errors, lexical & phrasal down-grader errors, the learners who received delayed feedback on them had better reponses. And for the result of analysing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if the feedback is given in a short time, the effect of immediate feedback is better, but if the feedback is giving in a long time, there is not a big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And for the result of analysing the differences in learners' perceptions of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although there was no a statistical difference,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we can know that learners sometimes perceive feedback differently due to the feedback timing.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as the first study in Korean education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feedback timing. In this study, I did not just compare the frequency of pragmatic errors of learner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but also checked learners' responses and perceptions to the immediate feedback and the delayed immediate feedback to approach the impact of feedback. And I hope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teachers in Korean class when they are giving feedback to Korean learners.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범하는 화용적 오류를 중심으로 교사가 학습자들의 발화 중 오류가 생길 때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경우와 학습자의 발화가 끝나고 나서 지연적으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경우가 각각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적 관점에서 피드백의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한국어 교육에서도 교사 피드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이들은 주로 Lyster & Ranta(1997)에서 제시한 피드백의 유형 분류에 따른 각 피드백 유형에 대해서만 관심을 두고 있고 피드백의 제시 시기에 대한 탐색은 아주 미흡한 상황이다. 국내 연구 중, 단지 소수의 연구에서만 피드백의 제시 시기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을 뿐이다. 이와 달리, 국외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는 실험을 통해 피드백의 제시 시기가 학습자의 제2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해당 연구들은 주로 제2언어 영어 교육에서 피드백의 제시 시기가 학습자가 범하는 문법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정확한 발음, 어휘, 문법뿐만 아니라 주어진 맥락에 적절하게 발화하거나 이해하는 능력인 화용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가 범하는 화용적 오류에 대해 다른 시기에 제시되는 피드백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거절 화행 상황을 설정하여 학습자가 거절 화행을 수행할 때 범하는 화용적 오류에 대해 즉시 피드백(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 제시되는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학습자가 과제 수행 완료 후 제시되는 피드백)의 영향을 살펴보고 비교하기로 하였다.
먼저 피드백의 제시 시기와 한국어 화용적 오류 수정 피드백 두 가지 측면에서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밝혔고 본 연구가 어떠한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화되는지 논의하였다. 그 다음, 이 두 가지 측면에서 본 연구의 논의를 뒷받침해 주는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피드백 제시 시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분석틀과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분석틀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실험 대상은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63명이고 사전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을 즉시 피드백 집단, 지연 피드백 집단, 통제 집단에 각 21명씩 배정하였다. 3주의 피드백 처치 전, 후에 구어 담화완성테스트를 통해 사전, 사후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실험 끝난 후 학습자의 피드백 제시 시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은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 분석 및 논의 부분이다. 녹음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즉시, 지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 반응 차이를 밝혔고 사전-사후 테스트 결과 비교와 실험 주차별 학습자 오류 양상 분석을 통해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의 효과 차이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사후 설문지에 대한 양적 및 질적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에 대한 인식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화용적 오류에 대해 피드백을 제시할 때 즉시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가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더 활발하고 오류 수정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시도하여 지연 피드백 집단 학습자보다 반응이 좋았다. 하지만 호칭/지칭어 오류 같은 주로 발화 시작 부분에 나타난 오류를 수정할 때 즉시 피드백을 제시하면 학습자가 갑자기 긴장을 하게 되고 미완성 발화 부분도 많아서 피드백에 대한 반응이 별로 좋지 않았다. 다음에 통사적 완화장치, 어휘·구 완화장치 등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에 대해 학습자의 발화가 모두 끝나고 나서 교사가 천천히 설명해 줄 때 학습자의 반응이 더 좋았다. 하지만 존대법 오류와 같이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또 연속으로 범할 가능성이 높은 오류는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받을 때 학습자가 빨리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과제가 끝나고 반복적으로 동일한 오류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 것보다 반응이 더 좋았다. 그리고 화용적 관례어 오류는 보통 학습자가 관례어의 화용 용법에 대해 잘 몰라서 범한 오류인데, 이런 오류는 과제가 끝나고 다른 오류와 같이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보다 오류 발생 즉시 피드백을 제시할 때 반응이 더 좋았다.
둘째,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의 화용적 오류 수정 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사후 테스트 결과 비교를 통해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이 모두 학습자의 총 화용적 오류뿐만 아니라 호칭/지칭어 오류, 통사적 완화장치 오류 그리고 존대법 오류 수정에 효과적이지만 두 가지 피드백의 효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것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실험 주차별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양상을 분석한 후, 이는 피드백 제시 시기가 아예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수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이 아닌 점을 발견할 수 있다. 1, 2주차 실험 때 지연 피드백 집단 학습자보다 즉시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빈도가 유의미하게 적게 나타났는데 3주차 실험 때 지연 피드백 집단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빈도가 대폭 감소해서 즉시 피드백 집단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주로 1, 2주차 때 지연 피드백 집단 학습자보다 즉시 피드백 집단 학습자가 피드백을 받고 과제 수행에 적용해서 연습하는 기회가 많고 3주차 때부터는 지연 피드백 학습자도 앞 차시 실험의 피드백을 적용해서 충분히 연습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1, 2차시만 피드백을 제시할 경우, 즉시 피드백의 효과가 더 좋지만 더 긴 시간 동안 여러 회의 피드백을 제시할 경우,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의 효과 차이가 명확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오류인 어휘·구 완화장치 오류의 경우, 즉시 피드백보다 지연 피드백으로 학습자의 과제 수행이 끝난 후 천천히 설명해 주는 것이 효과가 더 좋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화용적 관례어 오류는 주로 학습자가 관례어의 화용 용법을 잘 몰라서 범하는 오류이기 때문에 이를 수정할 때 지연적으로 다른 오류와 같이 수정하는 것보다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이 학습자에게 더 깊은 인상을 주고 수정 효과도 더 좋았다.
셋째,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 집단 학습자가 설문지의 모든 문항, 즉 피드백의 필요성, 유용성에 대한 인식, 피드백을 인지하는 정도 및 정의적 요인에 관한 문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설문지 질적 분석을 통해서 개별 학습자가 피드백의 제시 시기의 영향을 받아 피드백을 다르게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처음으로 실험, 교실 관찰, 설문 조사 3 가지 연구 방법으로 다방면에서 피드백 제시 시기의 영향을 탐구한 연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피드백의 제시 시기와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수정과 연결하여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렇게 본 연구에서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차이,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의 수정 효과 차이,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차이를 밝혀냈고 이는 장차 실제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가 언제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에 피드백을 제시해야 할지 고민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08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8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