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건강운동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와 운동결과기대가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in Exercise Particiipa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보람

Advisor
권성호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건강운동참여자기본심리욕구운동결과기대운동지속의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2. 8. 권성호.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운동참여 환경에서 건강운동참여자가 운동을 지속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인 기본심리욕구, 운동결과기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운동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코로나19 이후 3개월 이상 개인형-폐쇄형 운동을 지속하고 있는 건강운동참여자 267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운동결과기대, 운동지속의도 자료를 수집하여 IBM SPSS Statistics 26.0 및 AMOS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기본심리욕구 중 유능성에서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체적 운동결과기대에서 연령에 따라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운동 참여유형(온라인, 오프라인, 온·오프라인병행)에 따른 차이는 기본심리욕구 중 유능성과 관계성에서 유의하였으며, 운동결과기대에서는 사회적 운동결과기대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기본심리욕구와 운동결과기대 운동지속의도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한 결과, 기본심리욕구의 3요인(자율성, 유능성, 관계성)과 운동지속의도와의 관계에서 운동결과기대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건강운동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가 운동결과기대를 매개하여 운동지속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프라인 운동참여가 유능성, 관계성, 사회적 운동결과기대 측면에서 온라인 참여보다 높은 만족 수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운동프로그램의 특성이 가진 한계로 보여지나, 한편 코로나19로 인한 운동참여 제약 상황에서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또한 부분적으로 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나 운동결과기대 수준을 유지하여 운동지속에 도움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향후 건강운동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에 맞게 운동결과기대를 높일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방식이 적절히 병행되어 운동프로그램이 구성된다면, 외부적 운동환경 제약 상황에서도 참여자들이 중단없이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in COVID-19 environment,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Methods] Self-administration method was applied to 267 exercise participants for more than 3 months since COVID-19,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BM SPSS Statistics 26.0 and AMOS 21.0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ults] Competence was significant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age, physical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type of exercise participation(online, offline, online and offline), competence and social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were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factors(autonomy, competance, and relatednes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health exercise participants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by mediating the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Also, offline exercise participants ha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online participants in terms of competence, relatedness, and social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Nevertheless, the online exercise program partially maintained the level of participa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or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If the online exercise program is properly organized to maintai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participants can continue exercise without drop-out and be less affected by environmental chang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1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37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